• 제목/요약/키워드: Positive Psychology

검색결과 732건 처리시간 0.024초

The Effect of Gamification on Employee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s of Culture and Engagement

  • HAMZA, Ibrahim;SAROLTA, Tovolgyi;SHATILA, Khodor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5호
    • /
    • pp.213-224
    • /
    • 2022
  • In recent years, gamification has been a hot issue due to its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success. The proper application of game elements in an organizational context is required for gamification implementations. Gamification remains an area of active research for its behavior molding potential. Employee engagement is a critical component in assessing employee behavior and is considered crucial for organizational success.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online between March 2021 and February 2022. Our targeted sample encompassed low and mid-level personnel of Asian and Middle eastern employees working in Hungary. The questionnaire was introduced using google forms. Our sample size consisted of 203 respondents (N = 203). Research results indicated gamification's significance in increasing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and therefore boosting organizational engagement levels. Gamification improved employees' task performance and the overall quality of work.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mediating role between gamification and employees' behavior.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loyee behavior are in close correlation. Research findings also proved engagements' mediating effect on employees' behavio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gamification in human resources has risen in popularity, especially in terms of its impact on employee behavior and performance. The study's findings demonstrated that gamific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collaboration.

얼굴표정의 긍정적 정서에 의한 시각작업기억 향상 효과 (Accurate Visual Working Memory under a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in Face)

  • 한지은;현주석
    • 감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605-616
    • /
    • 2011
  • 본 연구는 시각작업기억에 저장이 요구되는 얼굴 자극이 보유한 긍정적, 부정적 그리고 중립적 정서가 기억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참가자들은 유쾌, 불쾌 및 무표정의 세 가지 표정 유형 중 하나가 무선적으로 부여된 얼굴들의 표정을 기억한 후 잠시 후 제시된 검사 얼굴들에 대한 대조를 통해 기억항목과 검사항목 간 얼굴 표정의 변화 유무를 보고하였다. 얼굴 표정의 변화에 대한 탐지정확도를 측정한 결과 기억항목의 노출시간이 500ms이었을 경우, 긍정적 표정을 보유한 기억항목에 대한 변화탐지는 부정 및 중립 표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확했다. 반면에 노출시간이 1000ms로 연장되자 이러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적 정서가 시각작업기억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며, 특히 긍정적 정서에 의한 기억 촉진 효과는 기억 표상 형성에 있어서 요구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촉박한 경우에 나타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작업기억과 정서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비교적 단순한 과제인 변화탐지과제를 사용하여 긍정적 정서가 시각작업기억 표상 형성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웰니스리더십과 성과: 조직분위기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llness Leadership and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 Climate)

  • 차윤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79-285
    • /
    • 2018
  • 최근 조직내 구성원들의 긍정심리가 성과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면서 많은 조직들이 구성원들의 정서를 긍정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키려는 노력 해 오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기업들은 그동안 개인적인 영역으로 생각되어오던 구성원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조직의 체계적인 지원 및 제도 운영의 필요성을 제기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이러한 제도적 지원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리더 역할을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더들의 웰니스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를 검증해 보고 리더행동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건강지원조직분위기의 역할에 대해 실증해 보았다. 이를 위해 IT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215부의 설문응답을 모아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리더의 웰니스리더십과 구성원들의 지각된 팀성과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하였다. 건강지원분위기는 웰니스리더십과 팀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이러한 실증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영학적 관점의 실무적 및 학문적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제1형 당뇨병 아동의 긍정적 심리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감을 중심으로 (Exploring Positive Psychology of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Focusing on Subjective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Life)

  • 손민;김의연;이지은;김광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83-90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subjective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and explore related factors.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used a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children at a diabetes camp.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o explore positive and negative psychological factors. The questionnaire included Subjective Happiness Scal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Perceived Stress Scale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for Children (CES-DC),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Results: Data from 15 childre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rrelation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ubjective happi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satisfaction with lif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stress. Satisfaction with life was positively correlated social support,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stress.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positive psychology factors were closely 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and may alleviate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ve feelings. Therefore, researchers and clinicians should include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s in their health management model for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부정이탈디자인 제품의 선호도와 구매의사에 미치는 성격의 영향 (The effect of personality on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f negative novelty design product)

  • 정은경;곽해리;김유경;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243-25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형성에서 긍정/부정이라는 정서적 방향성이 분명하게 이탈된 디자인을 활용한 제품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사에 성격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기존의 긍정적 전형성에서 부정적으로 이탈된 디자인 제품과 기존의 부정적 전형성에서 긍정적으로 이탈된 디자인 제품에 대한 참가자들의 선호도와 구매의사가 측정되었으며 여기에 미치는 개인 특성으로 외향성, 신경증, 심미적 성향이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참가자들은 부정적으로 이탈된 디자인 제품보다 긍정적으로 이탈된 디자인 제품을 훨씬 더 선호하였고 구매의사도 더 높았다. 부정적으로 이탈된 디자인 제품의 선호도에는 신경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신경증이 높을수록 부정이탈 디자인 제품을 더 선호하였다. 또한 부정이탈 디자인 제품의 구매의사에 대해서는 선호도와 외향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는데, 즉 내향적인 사람일수록 높은 선호도가 실제 구매의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반면 긍정이탈 디자인 제품에 대해서는 성격의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정적인 정서를 유발하는 전형성 이탈 디자인 제품에 있어서는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 선호도 및 구매의사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 PDF

성인여성의 자기존중기억 주제에 관한 연구: 성취 혹은 관계 (Themes of self-esteem memories in female adults: Achievement or relationship)

  • 김영경;고진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313-321
    • /
    • 2019
  • 본 연구는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자기존중기억 내용의 주제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기존중기억(self-esteem memory)이란 자기에 대해 현저하게 긍정적으로 또는 부정적으로 생각했던 사건에 대한 기억을 말하는데, 성취에 관한 내용과 관계에 관한 내용으로 대별될 수 있다. 연구 참가자는 청년기 여성(M=21.56) 18명, 중년기 여성(M=54.13) 15명, 노년기 여성(M=74.35) 20명으로 총 53명의 성인여성이었으며, 긍/부정적 자기존중기억을 각 4가지씩 총 8가지를 회상, 구술하도록하여 그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고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성인여성은 긍정적인 자기존중기억과 부정적인 자기존중기억 모두 성취보다는 사회적 관계에 관한 내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그러한 경향은 청년의 긍정적 기억에서 또 중년의 부정적 기억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개인이 강조되는 서양문화와 비교해 집단주의적 성격이 중시되는 우리 문화 특성과 공동체적 특질이 두드러진 여성의 특성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추후에 자기존중기억의 주제에 대한 성차 및 생애 주기별 차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자기자비와 관계만족에서 갈등대처행동의 매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분석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 박찬미;설경옥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46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role of self-compassion i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mong dating couples. Further, we examine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s mechanisms to explai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Method: Two hundred forty two dating couples were recruited. Actor and Partner Independence Model(APIM) was used to examin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s well a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total of 4 APIMs, two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i.e., positive emotional reactions, active coping) and two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i.e., negative emotional reactions and hostility, avoidance) were analyzed.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had only actor effect in the link between self-compa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at is, self-compassionate men and women were more likely to use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in turn, led to their higher relationship satisfaction. Both actor and partner effects were found in the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models. In terms of actor effect self-compassionate men and women were less likely to use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that, in turn, led to their higher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terms of partner effects we found that women's negative emotional reactions and hostility mediated the link between women's self-compassion and their male partners' relationship satisfaction. Men's avoidance mediated the link between men's self-compassion and their female partners' relationship satisfaction.

서두름 행동과 A형 행동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asteful Behavior and Type A Behavior)

  • 박선진;이순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2호
    • /
    • pp.153-167
    • /
    • 2012
  • 본 연구는 서두름 행동의 5요인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서두름 행동과 A형 행동의 관계를 바탕으로 서두름 행동의 5요인의 특성을 밝히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59세 이하 성인 207명이 서두름 행동 질문지와 A형 행동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A형 행동 질문지는 A형 행동 및 성격을 측정하는 기존 문항을 바탕으로 총 136개 문항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요인분석을 통해 6개 요인으로 이루어진 29개 문항으로 축소되었다. A형 행동의 구성요인으로 성공추구, 인내부족, 실패불안, 과제몰입, 활동성, 민첩성이 나타났다. 서두름 행동요인분석 결과, 서두름 행동은 기존 연구와 동일한 5가지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서두름 행동과 A형 행동의 상관분석 결과, 시간압력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성공추구, 실패불안, 과제몰입, 민첩성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불편함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과 고립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인내심부족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지루함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성공추구와 활동성 및 민첩성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보상기대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성공추구, 인내부족, 실패불안, 민첩성과 정적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재활심리분석시스템의 다중 우회기반 접근통제 모델 및 응용 (Indirection based Multilevel Security Model and Application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Analysis System)

  • 김영수;조선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301-2308
    • /
    • 2013
  • 재활심리분석시스템으로서 웹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면서 스팸메시지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의 억제를 위한 메시지통제시스템은 기술적이고 경제적 대안으로 필터시스템과 과금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나 차단오류와 과금저항으로 인한 메시지의 수신과 가용성을 제한한다. 이의 해결을 위해서 불법적인 메시지는 억제하지만 송 수신자에게 유익하고 합법적인 메시지가 폐기되고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메시지통제시스템의 우회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사용하여 메시지의 유용성과 가용성을 높여줄 수 있는 웹기반의 메시지통제시스템을 구현하여 모델의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의료기관 종사자의 진료정보 보호행위분석: 건강심리이론관점을 중심으로 (Clinical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in a Medical Institution : Based on Health Psychology Theories)

  • 손미정;윤태영;이상철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3-163
    • /
    • 2014
  •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clinical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within a medical institution in mandatory circumstance based on health psychology theories Methods: This research has developed the survey based on the variables from ealth psychology theories; and conducted the survey during the whole month in April 2013. In the end, 256 samples have been used for this research's analysis. Results: First of all, Empirical results has proved that perceived benefits, self-efficacy, and cues to action have an positive influence on clinical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Perceived barriers has an negative influence. Finally, it has proven from the research that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susceptibility do not have an impact on clinical inf ormation protection behavior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an enriched understanding about medical institution workers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on patient's clinical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