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ition determining system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2초

Integration of in-situ load experiments and numerical modeling in a long-term bridge monitoring system on a newly-constructed widened section of freeway in Taiwan

  • Chiu, Yi-Tsung;Lin, Tzu-Kang;Hung, Hsiao-Hui;Sung, Yu-Chi;Chang, Kuo-Chun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3권6호
    • /
    • pp.1015-1039
    • /
    • 2014
  • The widening project on Freeway No.1 in Taiwan has a total length of roughly 14 kilometers, and includes three special bridges, namely a 216 m long-span bridge crossing the original freeway, an F-bent double decked bridge in a co-constructed section, and a steel and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bridge. This study employed in-situ monitoring in conjunction with numerical modeling to establish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the three bridges. In order to determine the initial static and dynamic behavior of the real bridges, forced vibration experiments, in-situ static load experiments, and dynamic load experiments were first carried out on the newly-constructed bridges before they went into use. Structural models of the bridges were then established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and in-situ vehicle load weight, arrangement, and speed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performing comparisons employing data obtained from experimental measurements. The results showed consistency between the analytical simulations and experimental data. After determining a bridge's initial state, the proposed in-situ monitoring system, which is employed in conjunction with the established finite element model, can be utilized to assess the safety of a bridge's members, providing useful reference information to bridge management agencies.

Methodology for the Observations of Stellar Occultations by Small Bodies of the Solar System

  • Salazar-Manzano, Luis E.;Quintero, Edwin A.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8권1호
    • /
    • pp.1-21
    • /
    • 2021
  • The observation of stellar occultations constitute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iques for determining the dimensions and establishing the physical parameters of small Solar System bodies. The most substantial calculations are obtained from multiple observations of the same event, which turns the observation of stellar occultations into highly collaborative work and groups teams of observers through international networks. The above situation also requires the participation of both professional and amateur observers in these collaborative networks. With the aim of promoting the participation of professional and amateur groups in the collaborative observation of stellar occultations, we present the methodology developed by the Astronomical Observatory of the Technological University of Pereira (OAUTP) for the observations of occultations due small Solar System bodies. We expose the three fundamental phases of the process: the plan to make observations, the capture of the events, and the treatment of the data. We apply our methodology using a fixed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to observe stellar occultations due to MBAs (354) Eleonora (61) Danae (15112) Arlenewolfe (3915) Fukushima (61788) 2000 QP181 (425) Cornelia (257) Silesia (386) Siegena and (41) Daphne, and due to TNOs 1998BU48 and (529823) 2010 PP81. The positive detections for the objects (257) Silesia (386) Siegena and (41) Daphne allow us to derive lower limits in the diameter of the MBAs of 63.1 km, 166.2 km and 158.7 km and offsets in the astrometric position (Δαc cos��c, Δ��c) of 622.30 ± 0.83, 15.23 ± 9.88 mas, 586.06 ± 1.68, 43.03 ± 13.88 mas and -413.44 ± 9.42, 234.05 ± 19.12 mas, respectively.

지각구조 연구에서 에어건 발파와 정밀 수심 자료를 이용한 OBS 위치 결정의 새로운 방법 (A new method for determining OBS positions for crustal structure studies, using airgun shots and precise bathymetric data)

  • 압전순;구보전륭이;서산영일랑;안등윤;립원순삼;;급천신효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1권1호
    • /
    • pp.15-25
    • /
    • 2008
  • 지각구조 연구에서 해저면 지진계(OBS)의 위치정보는 OBS-에어건 탄성파 탐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들중의 하나이다. 이 변수의 정확도을 향상시키기 위해 우리는 이용 가능한 음향 트랜스폰더에 의한 거리 정보와 함께 에어건 발파 자료와 수심 자료를 이용하여 OBS 위치를 결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였다. 음향 트랜스폰더로 얻은 거리 자료가 3 지점 미만의 것일 때에는 에어건 발파에 의해 발생하여 OBS에 기록된 수중 직접파의 주시가 OBS 위치 결정에 매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된다. 그 새로운 방법은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광역 검색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수심 격자상에서 에어건 발파로부터 나온 수중 직접파의 관측 주시와 트랜스폰더 시스템을 사용하여 얻은 음향 거리로 설명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노드를 찾는 것이다. 만약 OBS가 위치한 해저면 지형이 매우 험하다면 정밀한 2D 수심 데이터의 사용이 가장 중요하다. 국부적으로 수렴하는 최소값에 빠지지 않기 위해 첫 번째 단계에서 얻은 노드의 위치는 두 번째 단계의 초기값으로 사용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비선형 역산법이 수행된다. 만일 OBS의 내부 시계가 큰 편차를 보인다면 이 방법을 사용한 최종 OBS 위치와 함께 내부 시계에 대한 보정 또한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는 여기에서 OBS 위치 결정에 사용한 각 측정값의 영향과 오차에 대해서도 토론하고자 한다.

컴퓨터 그래픽스 및 영상처리를 이용한 문화 원형 복원 전문가시스템 개발 (Developing Expert System for Recovering the Original Form of Ancient Relics Based on Computer Graphics and Image Processing)

  • 문호석;손명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69-277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그래픽스와 영상 처리를 통해서 훼손된 문화재 조각들을 복원하는 전문가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글자가 새겨져 있는 평평한 면이 있는 조각들을 대상으로 하여 구축하였고, 조각들간의 상대적인 정확한 위치를 찾아 복원한다. 조각난 물체들을 정합하는 과정은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단계는 조각난 물체의 정면을 찾고, 정면에 새겨져 있는 글자들을 추출하여 최소자승법을 통해 조각의 방향을 정렬하는 과정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조각들이 정합될 대략적인 방향을 벡터 내적을 통해서 결정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기하학적인 에러 및 RGB에러 등을 통해서 조각의 세부적인 방향을 결정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조각을 정합하는데 있어서 3차원 물체를 정합 전에 정렬하는 방법을 통해서 2차원적인 이동 연산만으로 정합될 수 있도록 하여 계산량을 줄였다. 또 한 구체적인 문화재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여 그 성능을 입증하였다.

  • PDF

보편 양화사 (UNIVERSAL QUANTIFIER)에 대한 아동들의 해석 양상

  • 강혜경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7-257
    • /
    • 2001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diosyncratic understanding of universal quantifiers such as every, each or all by young children at the ages of 4 to 7, and argues that the phenomenon is explicable in terms of the maturation of both the cognitive system and the linguistic system. Evidence for this dual explanation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visual input, a picture, plays a key role in determining the children’s conceptual representation, suggesting the need for the central integration of visual and linguistic elements; and from the fact that a quantifier in the linguistic input has an intrinsic property, i.e. a <+focus> feature. I have tried to explain the nature of the cognitive factors in terms of the function of the central system, suggesting a modified form of Smith & Tsimpli’s (1995) version of Fodor’s (1983) modularity hypothesis. Conceptual representations of two kinds are in competition with each other and they are integrated into a neutral LOT (Language of Thought) representation at some point . In the process of this integration, the representations from the visual input predominate over those from the auditory input, though the quantize. (treated as new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atter) is salient in the final representations. When visual conceptual representations predominate over purely linguistic ones, quantifier spreading errors occur. By contrast, when the relevant grammatical knowledge has developed sufficiently to counteract the conceptual representations, this peculiar behaviour by children should disappear. It is argued that children have to learn two kinds of grammatical fact with regard to universal quantification: (i) they have to learn the status of the quantifier as a functional head of DP so that it has to be positioned inside DP; and (ii) they have to learn the Left-Branch Condition which specifies that movement of an element in the left-branch position is possible only by pied-piping the entire phrase.

  • PDF

암 유전자 배열에서 체세포 돌연변이 발견을 위한 유전자형 조사 시스템 (Genotype-Calling System for Somatic Mutation Discovery in Cancer Genome Sequence)

  • 박수영;정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009-3015
    • /
    • 2013
  • 차세대 시퀀싱(NGS)은 암에서 전사체 싱글 뉴클레오티드 변형 발견과 모든 지놈 발견을 가능하게 한다. 어느 한 위치에서 배열된 다수의 짧은 리드 시퀀스로부터 개인의 유전자형을 결정하는 가장 기초적인 방법이다. Byesian 알고리즘은 사후 유전자형 확률을 사용하여 파라미터 추정한다. 또 다른 방법인 EM 알고리즘은 최대 가능성 추정 방법을 사용해서 관측된 데이터에서 파라미터를 추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유전자형 조사 시스템을 제안하고 시퀀싱 에러 비율과 체세포 돌연 변이 상태 그리고 유전자형 확률의 사후 추정치에 관한 샘플 크기(S = 50, 100, 500)의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작은 샘플 크기 50에서도 Byesian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추정한 파라미터가 EM 알고리즘 보다 더 정확하게 실제 파라미터에 근접하였다.

Radioisotope identification using sparse representation with dictionary learning approach for an environmental radiation monitoring system

  • Kim, Junhyeok;Lee, Daehee;Kim, Jinhwan;Kim, Giyoon;Hwang, Jisung;Kim, Wonku;Cho, Gyuseo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3호
    • /
    • pp.1037-1048
    • /
    • 2022
  • A radioactive isotope identification algorithm is a prerequisite for a low-resolution scintillation detector applied to an unmanned radiation monitoring system. In this paper, a sparse representation with dictionary learning approach is proposed and applied to plastic gamma-ray spectra. Label-consistent K-SVD was used to learn a discriminative dictionary for the spectra corresponding to a mixture of four isotopes (133Ba, 22Na, 137Cs, and 60Co). A Monte Carlo simulation was employed to produce the simulated data as learning samples. Experimental measurement was conducted to obtain practical spectra. After determining the hyper parameters, two dictionaries tailored to the learning samples were tested by varying with the source position and the measurement time. They achieved average accuracies of 97.6% and 98.0% for all testing spectra. The average accuracy of each dictionary was above 96% for spectra measured over 2 s. They also showed acceptable performance when the spectra were artificially shifted. Thus, the proposed method could be useful for identifying radioisotopes in gamma-ray spectra from a plastic scintillation detector even when a dictionary is adapted to only simulated data. Furthermore, owing to the outstanding properties of sparse representation, the proposed approach can easily be built into an insitu monitoring system.

항공기 탑재 AESA 레이다의 공대공 모드 다표적 관리 기법 (Multiple Target Management of Air-to-Air mode on Airborne AESA Radar)

  • 김용민;노지은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580-586
    • /
    • 2023
  • 능동위상배열레이다(AESA radar;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radar)는 전자적으로 빔을 조향함으로써 빔조향 시간이 비약적으로 빨라져 기존의 기계식 빔조향 레이다에 비해 높은 추적 정확도를 갖는 다표적 처리 능력이 크게 증대되었다. 본 논문은 AESA 레이다의 다표적 상황에서 추적 표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에 관한 것으로, 표적의 우선순위에 따라 표적을 전시(display)표적과 비전시 표적으로 나누고, 전시 표적은 보장하는 추적 정확도의 수준에 따라 최고우선순위, 고우선순위, 상황인식 표적으로 나눈다. 또한 표적의 우선순위를 판단할 수 있는 규칙을 제안하고, 동시운용모드를 포함한 공대공 모드 임무간 추적 표적 관리에 대해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식은 항공기 탑재 AESA 레이다에 적용하여 SIL (system integration lab) 환경에서 검증하였다.

무인항공기 기반 해양 감시를 위한 멀티센서 데이터를 활용한 선박 위치 결정 (Ship Positioning Using Multi-Sensory Data for a UAV Based Marine Surveillance)

  • 유형석;아나 클림코브스카;최경아;이임평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2_2호
    • /
    • pp.393-406
    • /
    • 2018
  • 매년 해양에서 많은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불법 조업이 성행하고 있으며, 그 규모와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한 인명이나 재산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신속한 원격 감시 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감시 수단의 효과적인 플랫폼으로써 무인항공기가 주목을 받고 있다. 해양 사고나 불법 조업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주된 감시 대상은 선박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 기반 선박 감시 체계를 제안하고, 무인항공기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박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에서 먼저 사전에 수행된 시스템 캘리브레이션 결과와 영상 취득 시각에 취득된GPS/INS데이터를 이용해서 개별 영상을 취득한 위치와 자세를 결정한다. 또한, 개별 영상으로부터 선박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탐지한 후 탐지된 지점들의 절대좌표를 결정한다. 제안된 방법을 200 m, 350 m, 500 m 고도에서 취득된 실측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로 각각 4.068 m, 8.916 m, 13.374 m의 정확도로 선박 위치를 결정할 수 있었다. 수로측량의 최소기준에 따라 항해에 덜 중요한 해안선 및 지형 위치 항목에서 200 m 데이터의 선박위치결정 결과는 특등급, 350 m와 500 m 데이터의 결과는 1a등급을 만족한다. 제안된 방법은 다양한 목적의 해양 감시 또는 측량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차로 구분이 가능한 정밀전자지도의 성능 요구사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e Requirement of Precise Digital Map for Road Lane Recognition)

  • 강우용;이은성;이건우;박재익;최광식;허문범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7-53
    • /
    • 2011
  • To enable the efficient operation of ITS, it is necessary to collect location data for vehicles on the road. In the case of futuristic transportation systems like ubiquitous transportation and smart highway, a method of data collection that is advanced enough to incorporate road lane recognition is required. To meet this requirement, technology based 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has been researched. However, RFID may fail to yield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during high-speed driving because of the time requir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ag and the reader. Moreover, installing tags across all roads necessarily incurs an enormous cost. One cost-saving alternative currently being researched is to utilize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carrierbased location information where available. For lane recognition using GNSS, a precise digital map for determining vehicle position by lane is needed in addition to the carrier-based GNSS location data. A "precise digital map" is a map conta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road lane to enable lane recognition. At present, precise digital maps are being created for lane recognition experiments by measuring the lanes in the test area. However, such work is being carried out through comparison with vehicle driving information, without definitions being established for detailed performance specification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performance requirements of a precise digital map capable of lane recognition based on the accuracy of GNS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ccuracy of the precise digital map.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ecise digital map, simulations are carried out. The results show that to have high performance of this system, we need under 0.5m accuracy of the precise digital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