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ulaca oleracea L.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2초

마치현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에서 지방 분해 및 Hormone Sensitive Lipase (HSL)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on Lipolysis and Hormone Sensitive Lipase (HSL) Gene Expression in 3T3-L1 Adipocytes)

  • 이막순;김종태;김철진;조용진;김양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8호
    • /
    • pp.742-747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lipolytic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in 3T3-L1 adipocytes. The Portulaca oleracea L. was extracted with extrusion method using twin-screw extruder under $58{\sim}60rpm$ screw speed, $4{\sim}5kg/hr$ feed rate, $140^{\circ}C$ extrusion temperature. The lipolytic action of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was estimat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glycerol and free fatty acids (FFA) released from 3T3-L1 adipocytes and by measuring the cellular lipid content in 3T3-L1 adipocytes. The hormone sensitive lipase (HSL) mRNA level was analyz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 The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at 1 to $100{\mu}g/ml$ suppressed lipid accumulation. The release of glycerol and FFA into the medium, and the mRNA level of HS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at dose-dependent manner. In conclusion, the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was suggested to have the lipolytic effect through release of lipolytic products (FFA and glycerol) of triacylglyceride to the culture medium and suppression of lipid accumulation via up-regulation of HSL gene expression in 3T3-L1 adipocytes.

마치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뇌세포 보호효과 (Neuroprotective Effect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Portulaca oleracea L.)

  • 임남경;정길생
    • 생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79-383
    • /
    • 2013
  • Portulaca oleracea L. is known to have many biological benefits such a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allergic and anti-tumo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P. oleracea L. against glutamate-induced oxidative stress in mouse hippocampal HT22 cells. P. oleracea L. 70% ethanol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have the potent neroprotective effects on glutamate-induced nerotoxicity by induced the expression of heme oxygenase (HO)-1 in HT22 cells. Especially,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higher protective effect. In HT22 cell, P. oleracea L. treatment with ERK inhibitor (PD98059) and c-JUN N-terminal kinase (JNK) inhibitor (SP600125) reduced P. oleracea L. ethyl acetate fraction induced HO-1 expression and P. oleracea L. ethyl acetate fraction also increased ERK and JNK phosphorylation. Furthermore, we found that treatment of P. oleracea L. caused the nuclear accumulation of Nrf2. In conclusion,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70% ethanol extract of P. oleracea L. significantly protect glutamate-induced oxidative damage by induction of HO-1 via Nrf2, ERK and JNK pathway in mouse hippocampal HT22. Taken together these finding suggest that P. oleracea L. ethyl acetate fraction is good source for taking active compounds and may be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brain disorder that induced by oxidative stress and neuronal damage.

Cactus의 광합성과 질소동화작용에 관한 연구 - 한국산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 - (A Study on Photosynthesis and Nitrogen Assimilation in Cactus -Portulaca oleracea L.-)

  • 장남기;김희백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5-142
    • /
    • 1996
  • Crassulacean acid metaholism (CAM) was investigated in leaves and stems of the succulent $C_4$dicot Portulaca oleracea L. Under 14-hour days, stem tissues showed much greater fluctuation of acidity than leaf tissues. But leaf and stem tissues showed almost same CAM-like pattern of acid fluctuation under 8-hour days. Stem tissues of R oleracea grown under the naturai environment showed high CAM activity, but no CAM activity was seen in leaves of those plants. In the naturally growing plants, the rapid acidification was seen in intact stems at dawn, but defoliated stems showed only a gradual increase. RuBP carlboxylase activity was very high at 2:00 P.M. in both leaves and stems. However, its activity at 1:00 A.M. and 5:30 AM. was hardly detected. particularly, activity of PEP carboxylase in leaves was very high in the early morning, though that in stem tissues was littl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_2$ passed through open stomata at dawn may be assimilated by PEP carboxylase in leaves, and then $C_4$ products move to stems. The levels of nitrate concentration and of nitrate reductase were higher in stems than in leaves. The levels were also higher in the light than in the dark. It would be suggested that considerable amount of nitrate absorbed from roots ho assimilated in stems, and nitrate transferred to leaves via stem tissues be reduced there. Key words: Portalaca oleracea, Cactus, Photosynthesis, Nitrogen assimilation, Crassulacean acid metabolism (CAM).

  • PDF

염산-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흰쥐 위염에 대한 마치현의 항산화 작용 (Anti-oxidant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 L. on HCl-ethanol Induced Gastritis in Rats)

  • 김재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5-40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or not a pretreatment with Portulaca oleracea has an antioxidant effect in HCl-ethanol induced gastric mucosal damage. Methods : We elucidated the level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ipid peroxidation, and two important constituents of antioxidant defense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GSH) in these effects. Results : The oral administration of crude extract from P. oleracea attenuated the gastritic lesion area, submucosal edema and hemorrhage, and mucosal necrosis induced by HCl-ethanol. The MDA levels of contro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rats given the P. oleracea pretreatment. While the GSH levels of control were decreased, the GSH activity on the gastric mucosal layer maintain normal level in rats given the Portulaca oleracea pretreatment before HCl-ethanol induced gastritis significantly increased. However, the SOD activites were not altered by P. oleracea. Conclusions : The administration of Portulaca oleracea have a protective antioxidant effect against the gastric lesion induced by HCl-ethanol and may therefore be a promising drug for gastritis and gastric ulcer.

쇠비름 첨가 설기떡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Portulaca oleracea L.)

  • 전미라;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1447-1452
    • /
    • 2016
  •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쇠비름을 선택하여 쇠비름 페이스트를 만든 후 0, 1, 3, 5%를 첨가한 설기떡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쇠비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산도와 환원당이 증가하였다. 색도는 쇠비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쇠비름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증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uperoxide dismutase 유사 활성은 쇠비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IC_{50}$ 값과 $EC_{50}$ 값이 낮아져 항산화능이 높았다. 기호도는 쇠비름을 첨가할수록 외관의 기호도는 증가하지만 향미, 맛, 조직감, 전체적 기호도는 3% 쇠비름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5% 쇠비름 첨가군이 감소함을 보였다. 특히 전체적 기호도는 쇠비름 3%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쇠비름 첨가가 떡의 항산화능과 기호도를 증가시켜 설기떡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를 통해 쇠비름을 첨가한 설기떡의 항산화능이 우수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쇠비름의 향미와 맛을 고려하여 볼 때 쇠비름을 3% 첨가하여 제조하면 외관, 향미, 맛, 전체적 기호도 등 선호도 측면에서 적당할 것으로 생각한다.

쇠비름을 첨가한 모닝빵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orning Bread Containing Portulaca oleracea L.)

  • 이보담;이수진;전미라;윤소원;김미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24-53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functional bread containing Portulaca oleracea L. (0%, 1%, 3% or 5%). The weight was higher in the bread with Portulaca oleracea L. (POL), compared with the control bread. The height and volume were lower in the bread containing POL. As the concentration of POL increased, the pH decreased and the acidity increased. The sugar concentration ($^{\circ}Brix$) and reducing sugar (%)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POL. On the hunter color system, L (lightness) and a (redness) values for the crumbs of breads with more POL were lower, but the b (yellowness) value was higher.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POL.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and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r the breads with POL increased with increasing POL. The sensory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preference score for the breads containing POL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Mice에서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의 고지혈증 개선효과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Diet Containing Portulaca oleracea L. Ethanol Extract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 원향례;김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38-543
    • /
    • 2011
  •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의 고지혈증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57BL/6J mice에게 9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섭취시켰다. 마지막 4주 동안은 고지방식이에 쇠비름 에탄올 저농도투여군(HFD+POE 75) 및 쇠비름 에탄올 고농도투여군(HFD+POE 125)으로 나누어 하루에 한 번씩 경구투여 하였으며 고지방식이군(HFD)은 증류수를 투여하였다. HFD+POE 75군 및 HFD+POE 125군의 체중변화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식이효율은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중 ALT 함량은 HFD군에 비해 HFD+POE 125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AST 함량은 그룹 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식이 4주 때에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 경구투여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심순환기 질환의 위험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알려진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위험지수는 고농도의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 경구투여로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고지방식이에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 경구투여로 혈중 및 간장 중의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중성지질이 저하되었는데 이는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혈증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나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의 어떤 성분에 의한 지질 저하효과를 나타내는지와 어떠한 기전에 의해 지질 저하효과를 나타내는지 보다 자세한 연구가 요구된다.

쇠비름 첨가 설기떡의 저장성 및 노화 특성 (Storage Characteristics and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Sulgidduk Added with Portulaca oleracea L.)

  • 이수진;이보담;전미라;김유정;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517-1524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 고유의 우수한 전통음식인 설기떡에 쇠비름을 첨가하여 쌀에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를 보완할 수 있도록 개발하여 저장 중 노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멥쌀가루에 0, 1, 3 또는 5%의 쇠비름 페이스트를 첨가하여 제조한 후 $15^{\circ}C$에서 3일간 저장하면서 수분, 당도, 경도, 노화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쇠비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보유량은 증가하였으며 5% 첨가군의 수분 보유율이 가장 높았다. 쇠비름은 당 함량이 적어 설기떡의 당도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경도는 쇠비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했고,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시료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탄력성은 쇠비름을 첨가할수록 탄력성이 증가하였다. 응집성은 쇠비름 첨가량의 증가가 설기떡 응집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쇠비름이 설기떡 내부 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결합력을 유지시키는 데는 효과가 미약한 것으로 사료된다. 씹힘성은 5% 쇠비름 첨가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회복탄성력은 쇠비름을 첨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시료군에서 감소하였다. 시차주사 열량계를 측정한 결과 엔탈피는 대조군이 123.47 cal/g으로 가장 크게 나타나고 쇠비름 첨가량이 많을수록 쇠비름 설기떡의 엔탈피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이를 통해 설기떡 제조 시 쇠비름을 첨가함으로써 노화를 억제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관능검사 결과 쇠비름을 첨가할수록 색, 쇠비름향, 쇠비름맛, 촉촉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경도는 쇠비름 첨가군에서 낮아졌다. 다음과 같은 결과로부터 설기떡 제조 시 쇠비름의 첨가는 설기떡의 수분 보유력을 높여 수분 함량의 감소를 억제하고 조직의 변화를 줄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경도의 단단함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관능평가를 통해 선호도가 가장 높았던 5% 쇠비름 첨가군이 바람직한 제조방법으로 보인다.

쇠비름 추출물의 UVB 자외선 조사에 의한 인간각질형성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against Matrix Metalloproteinase Produc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on Induced by Ultraviolet B Radiation in Human Keratinocytes)

  • 오정환;파티 카라데니즈;이정임;박소영;서영완;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892-899
    • /
    • 2018
  • 쇠비름(Portulaca oleracea.L)은 쇠비름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서 리놀렌산과 같은 불포화지방산, 페놀성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C, 미네랄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쇠비름 추출물을 이용하여 UVB를 조사한 인간각질형성세포에서 광노화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Matrix metalloproteinases는 세포의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로 MMP-1는 collagenase, MMP-2와 MMP-9는 gelatinases로 피부 진피층을 구성하는 type I collagen을 분해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 UVB를 조사한 인간각질형성세포에서 쇠비름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MMP-1, -2, -9의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type I procollagen의 발현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쇠비름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UV에 의한 ROS 생성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Nrf-2의 활성화를 통한 항산화 인자 SOD-1과 OH-1의 발현 증가로 인해 세포내 ROS 생성이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쇠비름 추출물이 UVB를 조사한 인간각질형성세포에서 MMP 인자 및 항산화 인자의 발현 조절을 통해 광노화로부터의 세포 보호 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