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 waterway Risk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45초

Questionnaire Survey on the Risk Perception in the Istanbul Strait

  • Aydogdu, Y. Volkan;Yurtoren, Cemil;Kum, Serdar;Park, Jin-Soo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517-523
    • /
    • 2010
  • There are enormous challenges in the Istanbul Strait-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gested and narrow waterways in the world - from the view point of risk determination and risk mitigation for the local traffic. Previously several traffic parameters such as; traffic volume for local vessels, traffic flow and potential encounters of local traffic, in addition to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degree of dangers in the southern entrance of the Istanbul Strait. Furthermore, risky zones were also determined in this waterwa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ose, a group of expert was surveyed. These experts were pilots, Vessel Traffic Services Operators (VTS-O), Local Traffic Vessel Captains and Master Mariners who had several experience of navigation through the Istanbul Strait. In order to assess experts perceptions of danger and to propose further studies based on this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program version 13.0. Finally, some differences and/or shares on risk perceptions of expert in the Istanbul Strait are considered.

IWRAP에 의한 해상교통안전성 평가 실효성 분석

  • 김광일;정중식;박계각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3-145
    • /
    • 2012
  • 해상교통안전성평가는 크게 해양 안전 및 환경측면에서, 세부적으로는 해당해역의 특성을 파악하여 항로수립, 해상교통안전진단 및 해상교통영향평가 등을 수행 하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IWRAP은 IALA Waterway Risk Assessment라는 평가도구로 항만수로의 위험도(선박의 충돌 및 좌초확률)를 분석하는 정량적인 평가모델이다. 정량적인 해상안전 평가방법은 통항량, 선속, 길이, 선박의 통항분포로부터 해상에서 통항의 위험도를 평가하므로 인적, 지리적, 환경적 등 주관적인 요소들이 많은 정성적인 평가방법에 비해 적용이 간단하다. 본 연구에서는 IWRAP을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로의 활용을 위해 목포항 진입수로를 대상으로 IWRAP분석을 하여 그 실효성을 평가 하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of the Frequency of Unsafe Ship-Handling Situations and the Frequency of Marine Accidents at the Kurushima Strait

  • Yasuda, Masaru;Inoue, Kinzo;Usui, Hideo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Asia Navigation Conference
    • /
    • pp.184-190
    • /
    • 2006
  • It is requested to be evaluated whether environmental change in marine traffic passage by maintenance work affect ship handling, safety, when re-design of traffic passage is planned. In the maintenance work, it is also important to evaluate the change of risk and also benefits. However, in a current evaluation index,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benefit. The recently developed safety index that is led by employing the Unsafe Ship-handling situations model (US-model) is able to estimate risk level of marine accident in a process of a ship handling. We have already reported the relation of the ratio of 10-3 in harbors (Yokohama, Kobe, and Osaka in Japan) [1]. In this study, we acquired the relation of the ratio between the US value and the marine accident at a narrow waterway; Kurushima Strait in Japan, using a ship handling simulator. And we experimented to estimate a marine accident reduction achieved by the maintenance work of the altered shape of passage.

  • PDF

영상처리기법을 활용한 연도교와 선박간의 충돌사고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isk Assessment of Collision Accidents Between Island Bridge and Ship Using an Image Processing Method)

  • 장다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1111-1119
    • /
    • 2022
  • 신안군 해역의 섬을 통한 관광사업이 활발해지면서 도서 간을 연결하는 해상교량은 현재까지 총 13개가 완공되었다. 그러나 통항로에 설치된 해상교량은 선박통항에 있어 위험성을 주며, 특히 섬과 섬을 연결하는 연도교의 경우 수로의 폭이 매우 좁아 그 위험도는 더욱 높다. 본 연구는 신안군 해역의 연도교에 대한 해상교통조사를 토대로 교각과 선박의 충돌위험도를 항만수로의 위험도 평가 모델인 IWRAP(IALA Waterway Risk Assessment Program)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신안1교가 충돌확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항선박의 대부분은 연안 여객선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안1교는 대상해역의 교각 중 가장 충돌사고가 많이 발생한 곳으로 본 연구에서는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신안1교 해역환경의 위성사진을 영상처리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해도에는 볼 수 없는 장애물이 교량 근처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장애물을 피해 교량의 통항유도방식인 양방향 통항과 달리 한 방향으로 통항이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영상처리기법을 활용한 위험원인 분석방법은 향후 연도교의 위험요인 분석을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상 교통량의 효율적 관리 방안에 관하여 -(1) 교통 관제 해역의 경우- (A Study on Optimum Control of Marine Traffic -In the Domain of Control Sector-)

  • 윤명오;이철영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9-47
    • /
    • 1991
  • As per the rapid development of world economics the marine traffic volume was increased accordingly and caused frequent disasters in human lives and natural environment in the consequence of accidents. As the result of the above they started to establish Vessel Traffic System(VTS) and separation scheme in waterway from 1960' to prevent the marin traffic accident but the problem of safety at sea appears now as neither fully defined nor sufficiently analysed. At the present, the dominant factor in establishing the strategy of marine traffic has been safety of navigation concerning only with the ship, but the risk of society derives almost wholly from the nature of cargo. To measure the degree of danger for each ship there is suggested concept of safety factor numbers denoting the level of latent danger in connection with ship and her cargo. In this paper, where the strategy of VTS is put on controlling density of safety factor for control area. it suggested algorithms how to assign the vessels and also to get optimal sequence of vessels located to a sector in the sense of minimizing the passage delay. For the formulation of problem, min max and 0-1 programming methods are applied and developed heuristic algorithm is presented with numerical examp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alculation.

  • PDF

고정밀 GPS 항법정보 기반 선박통항안전시스템 설계 (Design of Transportation Safety system with GPS Precise Point Positioning)

  • 송세필;조득재;박슬기;홍철의;박상현;서상현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1-77
    • /
    • 2013
  • 해양 사고는 대부분 지형지물, 혼잡한 해상교통 및 기상악화 등에 의한 충돌 사고이다. 따라서 안전한 통항을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를 토대로 사전에 통항안전을 판단하여야 하지만, 정보가 부족하거나 부정확하다면 통항안전 판단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다양하고 정확한 환경 정보를 토대로 사전에 통항안전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의 통항안전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항로 내 지형지물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정확한 위치 정보를 토대로 현재 선박의 위치와 각 요소 사이의 수평 또는 수직 간격을 계산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선박의 3차원 위치를 구하기 위하여, PPP 기반의 GPS 항법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또한, 기상악화로 인하여 시계가 불안정하더라도 항해가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3차원 모니터링 기능을 추가하였다. 아울러 실제로 경인아라뱃길과 선박의 정보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고, 기능 및 성능을 평가하였다.

Big Data Processing and Performance Improvement for Ship Trajectory using MapReduce Technique

  • Kim, Kwang-Il;Kim, Joo-S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65-70
    • /
    • 2019
  • 최근 선박자동식별장치의 도입으로, 육상에서 선박위치, 침로, 속력, 선박종류 등 선박 항적데이터 수집이 가능해 졌다. 본 연구는 맵리듀스 알고리즘을 분산처리 환경에 적용하여 선박 항적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데이터 전처리 단계, 맵핑 단계, 리듀싱 단계로 나뉘어져 있다. 데이터 전처리 단계는 선박의 동적 및 정적 데이터를 통합하고, 비관심지역의 선박정보는 필터링한다. 맵핑 단계는 선박 위치를 지오해시 코드로 변환하여 맵리듀스의 키 데이터로 할당하고, 선박의 ID는 값 데이터로 분리한다. 리듀싱 단계에서는 키 데이터가 같은 키-값 쌍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그리드에서 선박의 수를 계산하여 시각화 한다. 제안한 방법은 항적데이터 분석에 있어서 기존 프로그램 성능에 비해 1~4배 성능 개선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