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 labor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5초

우리나라 물류기업 특성요인과 근로자 임금격차에 대한 분석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Logistics Companies and the Wage Gap of Workers in Korea)

  • 구경모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39-15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개별적 기업을 대상으로 표본을 수집하여 심층적으로 근로자 임금(평균연봉)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기업의 근로자 평균연봉과 함께 초임 평사원의 평균연봉에 대해서 깊이 있는 분석을 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초임 평사원의 학력별로 초대졸, 대졸, 대학원졸 평균 연봉에 미치는 기업 규모, 자본과 노동의 생산구조, 사업의 주된 분야의 영향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물류기업의 초임 평사원의 평균연봉 차이는 매출액에 미치는 주된 사업이 결정적 요인변수이며, 학력과 관련하여 초대졸과 대졸은 외항여객화물운송업 및 항만운영및하역관리업이 높은 연봉을 제공하였고 육상화물운송업 및 창고업은 낮은 연봉을 제공하고 있었다. 그 외에도 우리나라 물류기업은 본사지 위치, 종업원 수,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 매출에 미치는 주된 사업의 4개 특성요인간에 모두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 같은 사실이 서울 소재의 외항여객화 물운송업이나 기업물류대행업, 복합운송및국제운송중계업은 대기업이며, 인건비 비중은 낮으며 자본·기술·정보 집약적 투자에 더 많은 비중을 가진 사업구조라는 사실이다.

인천항 항만하역 재해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and Preventive Measures for Cargo Handling Accidents in Incheon Port)

  • 남영우;이창호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5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 /
    • pp.592-598
    • /
    • 2005
  • The port, differently from general working places, is a closed area required for security, customs, and quarantine procedures. The loading and unloading is being done differently by ports, cargoes, and ships. To do loading and unloading, a lot of equipment and different types of labor are required, which flow is complicated and safe management is essential. As above mentioned the port is very unique and very deteriorated working place in its working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reduce and prevent from port accidents. As first step to do this, we have collected 923 accidents happened at Incheon Port during the period of 1994 to 2003. We have thoroughly analyzed characteristics, harmfulness, and risk of the loading/unloading they have done, as well as the accident frequency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accidents. As second step to further analyze, We have employed DMAIC technology, an advanced process of 6 sigma presently in spotlight as the best program for management innovation. This analysis results in recognition of important accident characteristics, causes and effects analysis, critical causes of accident, and suggestions to decrease accidents.

  • PDF

A Dispatching Method for Automated Guided Vehicles to Minimize Delays of Containership Operations

  • Kim, Kap-Hwan;Bae, Jong-Wook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5권1호
    • /
    • pp.1-25
    • /
    • 1999
  • There is a worldwide trend to automate the handling operations in port container terminals in an effort to improve productivity and reduce labor cost. This study iscusses how to apply an AGV(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to the handling of containers in the yard of a port container ter-minal. The main issue of this paper is how to assign tasks of container delivery to AGVs during ship operations in an automated port container terminal. A dual-cycle operation is assumed in which the loading and the discharg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lternately.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 formulations are suggested for the dispatching problem. The completion time of all the dis-charging and loading operations by a quayside crane is minimized, and the minimization of the total travel time of AGVs is also considered as a secondary objective. A heuristic method using useful properties of the dispatching problem is suggested to reduce the computational time. The perfor-mance of the heuristic algorithm is evaluated in light of solution quality and computation time.

  • PDF

A Study on the Type of Automatic Yard Operation for a Container Terminal

  • Choi, Hyung-Rim;Park, Nam-Kyu;Yoo, Dong-Ho;Kwon, Hae-Kyoung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1-82
    • /
    • 2006
  • In order to cope with improvement of labor cost and cargo volume, Korean ports, especially Busan port, are in need of many new facilities. Of course, current facilities should be fully used, and at the same time it needs to make every effort to maximize its productivity as well as cost saving. To this end, this study has decided to focus on automatic yard operation suitable to the domestic container terminal environments, making a survey of many advanced container terminals, trying to find out their common factors, and finally suggesting several alternative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se factors. Also,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present value of initial investment and operating cost by alternative, and at the same time pres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go handling volume and cost/revenue of the optimal alternative, so that it may be of help in decision making.

  • PDF

내륙 컨테이너 기지의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On the Site Selection of Inland Container Depot)

  • 남만우;이철영;박창호;이광희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5-57
    • /
    • 1990
  • Today, about 95% of totoal import import and export container cargo in Korea is being transported through the Busan Port. The 59% of these cargos is being handled at BCTOC and the rest is at the existing piers. As the Off-Dock Container Yards(ODCY) within Busna City are located at 33 different places, it causes serious problems in the container cargo transport and inland traffic near Busan district. The container carriers to the inland market or other terminals cause heavy traffics to the Busan Traffic System. Hence, this impacts to the cost of the cargo handling equipment and cargo storage, the usage of labor resources, the control of natural environment etc. To solve those problems, it is required to build Inland Container Depot(ICD) in the Southeastern Economic Area. In this study therefore, we try to calculate the required area of Inland Container Depot(ICD) for Busan Port which deals which deals with the container cargo. We also investigate the sites for ICD being suggested outside of Busan City. We use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Method to decide the best one. The result shows that the best is the Site B(Dong Myen, Yangsan Kun).

  • PDF

국내 항만배후단지 효율성 및 생산성 비교 분석 (A Study on Productivity and Efficiency Comparative Analysis of Container Terminal)

  • 심민섭;하도연;김율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7-26
    • /
    • 2024
  • 항만배후단지는 항만과 인접한 배후공간으로 항만의 기능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하지만, 국내 항만배후단지는 단순한 항만물류지원기능에 국한되어 있으며 인프라 시설, 정책 및 지원, 투자 미흡 등으로 인하여 항만배후단지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 항만배후단지 업체별 내부자료를 바탕으로 DEA 분석 및 생산성 분석을 진행하여 국내 항만배후단지의 종합적인 정책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DEA 분석결과 창고업의 경우 광양항 서측, 인천항 북항 항만배후단지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업의 경우 인천항 북항, 울산항 1공구 항만배후단지가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 투자규모별 생산성의 경우 광양항 서측, 평택당진항 1단계 항만배후단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시설 투자규모별 생산성은 광양항 서측, 인천항 북항 항만배후단지가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노동생산성은 인천항 북항, 부산항 웅동 항만배후단지가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 선정 시 취급 품목이 효율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며, 외국인 투자규모, 시설 투자규모, 종업원 수가 항만배후단지의 생산성 향상으로 직결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나타낸다.

부산항 항만안전 주요 이슈 동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ends of Key Issues in Port Safety at Busan Port)

  • 이정민;하도연;김주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4-48
    • /
    • 2024
  • 글로벌 공급망에 예측 불가능한 위험성이 확산되면서 세계의존도가 높은 항만물류산업의 위험부담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초적인 연구로 국내 항만의 안전성에 위험을 주는 다양한 이슈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항의 항만안전과 관련된 뉴스 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LDA토픽모델링 분석과 시계열 선형회귀분석을 진행하였고 부산항 항만안전 주요 이슈들의 변화와 그 동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난 30년동안 부산항 항만안전과 관련된 주요 이슈는 총 9개이며 이들을 5년 주기의 시기별로 살펴본 결과, 지난 30년 동안 해상안전 이슈, 수입화물 검역 안전 이슈, 노조파업 관련 이슈, 자연재해 관련 이슈가 지속해서 등장했다. 부산항 항만안전 주요 이슈는 주로 예측 불가능한 성격이 큰 사회환경적 유형과 자연현상적 유형으로 글로벌 불확실성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분석 결과로 도출된 항만안전 주요 이슈들을 위주로 부산항 항만안전 강화를 위한 정책을 체계적으로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예측 불가능한 위험상황을 대비한 부산항 항만안전 회복탄력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다양하게 변화하는 사회적 여건에 맞춰 항만안전 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선진적인 연구 활동이 필요할 것이다.

몰입형 인적자원관리 관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노사관계 성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 of Commitment Typed HRM Practice on Business Performance Focusing on Adjusting effects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Character)

  • 김동현;정재훈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47-258
    • /
    • 2008
  • In today's business environment faced in very quick change, Human Resource Management play a key role in sustaining corporate competitive advantage and boosting organizational competency. Based on a former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individual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 effects business performance and labor relations. Business performance is a positive influence on employee royalty and devotion. Also it is more influen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industrial relation of corporat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find the significant influence from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 and industrial relation.

항만물류산업의 총요소생산성과 그 분해요인분석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and the Decomposition Components of Korean Port-Logistics Industry)

  • 강상목;이주병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7-70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확률적 생산변경함수를 이용하여 총요소생산성 성장을 도출하고 그 내부요소를 기술효율성 변화, 기술진보, 규모효율변화, 배분적 효율변화로 구분하여 생산성 성장의 요인을 파악해 보고자 함이다. 1990-2003년간 항만물류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연간 0.019 (1.9%)로서 전산업의 증가율 0.010보다 높다. 그 내부의 주된 기여요인은 기술진보이고 기술효율성변화는 감소하였다. 총요소생산성의 주된 기여요인으로는 항만산업은 배분효율성, 해운산업은 기술진보, 수송장비산업은 규모효율변화를 들 수 있다. 총요소생산성 변화는 1990년대 후반이후에 감소하는 추이를 보였다. 항만물류산업은 전산업에 비하여 매우 낮은 수준의 기술효율성수준을 보여주고 있고 산출탄력성 관점에서는 1990-2003년간 자본의 탄력성(0.391)이 노동의 탄력성(0.227)보다 높지만 규모에 대한 보수는 0.618로서 최적규모에 상당히 벗어나 있다.

  • PDF

Estimating the Optimal Ratio of Standard Pallet Use for Logistics Standardization

  • Hong, Sung-Wook;Lee, Soon-Cheul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5
    • /
    • 2006
  • This paper analyzes how levels of logistics standardization are related to logistics costs. The study surveyed ratios of standard pallet use in order to measure levels of firms' standardization in logistics management. Research focused on how firms' logistics costs were related to their levels of logistics standardization and ratios of standard pallet use. After measuring use of standard pallets and logistics costs, optimal levels of logistics standardization were estimated based on survey data. Logistics costs and standardization were more related to labor than to freight volume or export. Results indicated that firms could reduce logistics costs by raising levels of logistics standardization; optimal levels of standard pallet use out of Korean firms' total manufacturing cargo volume were estimated at 44.26% for multi-standard pallets and 57.99% for a single standard pallet (a unit load system). The study demonstrated that adopting a single standard pallet results in better cost saving logistics systems than use of multi-standard pallet types. These results may explain why firms pursue standardization in logistics syst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