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phyra yezoensis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3초

해조류 추출물로부터의 Photosensitizing 효과를 지니는 항 적조물질 탐색 (Screening of Seaweed Extracts for Algicidal Substances Using a Photosensitization Effect)

  • 진형주;진덕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22-127
    • /
    • 2007
  • Photosensitized extracts of 28 seaweed species were tested in vitro to examine the variation in their algicidal activities against the toxic microalga Cochlodinium polykrikoides. When both seaweed extracts and microalgae were exposed to UV and visible light, methanol extracts of Porphyra yezoensis showed 5.7- and 4.4-fold increasesin light-dependent algicidal activity, respectively. When only seaweed extracts were exposed to both UV (365 nm) and visible light (white lamp) at the same time, methanol extracts of Enteromorpha linza and Carpopeltis affinis showed 3.3- and 3.4-fold increases in algicidal activity, respectively. When UV-photosensitized extracts were left in the dark, the algicidal activity of Ecklonia cava increased 13-fold after 5 h. When visible light-photosensitized extracts were left in the dark, the algicidal activity of Monostroma nitidum increased by 3.3-fold in 1 h.

김(Porphyra yezoensis)을 첨가한 Sponge cake의 품질특성

  • 권병민;김동수;류홍수;유병진;서재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85-187
    • /
    • 2001
  • 해조류는 다른 수산생물에 비해 그 용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과학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구미선진국 및 일본 둥지에서는 해조류가 건강식품 생리활성 물질의 원료로서도 각광을 받고 있으며, 식량자원으로서도 재평가되고 있다. 이 같은 해조류는 비타민 A, B$_1$, B$_2$, C, D, E와 많은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칼슘, 요오드, 철, 아연 등과 같은 필수 미량 원소의 함량이 높고, 특징적인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중 김(Laver)은 알래스카만에서 캘리포니아주까지 북동부에 자라고 전 세계 50여종 정도 분포하며, 그 중 한국의 남해안 일대에는 10여종 정도가 분포하교 있다. (중략)

  • PDF

김 부산물로부터 Porphyran의 추출 및 품질특성 (Extrac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phyran from Laver(Porphyra yezoensis) Waste)

  • 김선재;마승진;장윤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46-450
    • /
    • 2005
  • 시판김, 변색김 그리고 폐기용 김의 수분함량은 12.1%, 14.2% 그리고 12.3%,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35.7%, 31.7% 그리고 35.2%, 단백질 함량은 32.1%, 33.4% 그리고 32.5%, 지방 함량은 4.2%, 5.4% 그리고 4.3%로 나타났으며, 회분 함량은 15.9%, 15.1% 그리고 15.7%를 나타냈다. 비타민 C의 경우 시판김은 35.9 mg%, 변색김은 21.4 mg% 그리고 폐기용 김은 34.4 mg%를 나타내, 비타민 C 함량은 시판 김과 폐기용 김이 변색 김이 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당의 경우는 시판 김이 15.6%, 변색 김이 13.4% 그리고 폐기용 김이 15.7%를 나타내 시판 김과 폐기용 김의 총당이 거의 동일한 함량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시판 김과 변색 김 그리고 폐기용 김으로부터 얻어진 porphyran의 화학적 조성을 비교해 보면 총당 함량은 시판 김 porphyran이 54.5%, 변색김 porphyran은 45.7% 그리고 폐기용 김 porphyran은 56.2%를 나타내어 시판 김과 폐기용 김 porphyran의 총당은 거의 비슷한 함량임을 나타냈지만 변색 김에서는 그 함량이 낮게 측정되었다. 총당 중에 황산기의 함량으로 표현하였는데 시판 김 porphyran은 17.6%, 변색 김은 13.9% 그리고 폐기용 김은 17.3%를 나타내었고, 단백질 함량은 각각 12.3%, 12.4% 그리고 12.1%로 동일한 값을 나타냈다. 김 제품으로부터 추출된 3,6-anhydrogalactose은 시판 김 porphyran이 13.8%, 변색김 porphyran이 9.1% 그리고 폐기용 김 porphyran은 13.9%를 나타내어 시판 김과 폐기용 김에서 추출한 porphyran의 3,6-anhydrogalactose는 거의 같은 수준으로 들어 있으며 시판 김과 폐기용 김 porphyran의 화학 조성과 함량은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김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or Alcohol Soluble Extracts from Laver, Porphyra yezoensis)

  • 홍상필;구재근;조길석;김동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16
    • /
    • 1997
  • 김의 유용성분을 식품가공에 응용키 위한 기초적 연 구로 건조김과 배소김을 에탄을 농도를 달리 하여 추출하고 추출물의 수율, 단백질, 다당, 핵산, 타우린, 클로로필 및 카로티노이드의 함량, 갈색도 및 주요 추출처리구의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단백질, 다당질 및 핵산 성분은 에탄을 농도가 낮을수록 높은 추출성을 보였으나 단백질의 경우 건조김이, 다당 및 핵산의 경우에는 배소김이 상대적으로 3배 이상 높은 추출성을 보였다 타우린은 건조김이나 배소김에 관계없이 0~70%에탄을 범위에서 1,000mg%이상의 높은 추출성 을 보였다. 카로티노이드의 경우는 95% 에탄을 농도에서 건조김 146.6mg%, 배소김 138.4mg%로서 최대를 보였으나 이 수준은 메탄올/아세톤을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경우의 66~80% 수준이었다. 유리 당과 아미노산 의 반응을 반영하는 갈변도는 배소김을 대상으로 한 경 우 50~60% 에탄을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추출수율은 물만을 용매로 한 경우가 26.3~27.5%로 최대를 보였다. 한편 주요추출물의 관능특성을 조사한 결과, 배소김의 추출물이 맛과 향 등 관능적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어 배소김을 대상으로 한 물/에탄을 추출물이 각종 식품소재로서 응용가치가 클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잇바디돌김의 함질소 엑스성분조성 및 월별변동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and Their Monthly Variation of Fresh Laver Porphyra dentata)

  • 박춘규;박철훈;박정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79-588
    • /
    • 2001
  • 한국 남해안에서 양식생산되고 있는 김류의 함질소엑스성분 조성 및 월별 변동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8년 1월부터 4월까지 월별로 전남 장흥군에서 양식된 잇바디돌김, Porphyra dentata 생엽을 매월 1회씩 채취하여 맛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함질소엑스성분 즉,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결합아미노산, ATP관련화합물, 4급암모늄염기 등을 분석하여 방사무늬김, P. yezoensis와 비교하였다. 엑스분질소함량은 760~872 mg/100 g(건물)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27~31종이 분석되었으며, 그 총량은 2,404~3,966 mg/100 g(건물)이었다. 함량이 많은 유리아미노산으로서는 alanine, taurine, glutam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등이었다. 결합아미노산은 가수분해 후 16~23종에서 증가하였으며, 유리아미노산 총량의 36.0~112.0% 수준이었다. ATP관련화합물 총량은 73.3~94.4 mg/100 g(2.04~4.43 $\mu$mol/g, 건물)이었다. Be-taine류로서는 homarine과 trigonelline이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beta$-alaninebetain과 ${\gamma}$-butyrobetaine은 일부시료에서 검출되었다. TMA는 모든 시료에서 확인되었으며, TMAO는 일부시료에서 분리되었다. 잇바디돌김 생엽의 함질소엑스성분 특징은 방사무늬김에서 처럼 유리아미노산과 결합아미노산 함량이 풍부하여 질소분포의 약 90%에 달하는 중요한 맛성분이었으나 그 성분조성의 월별 변동에는 다소 차이를 보여 대부분의 성분들이 1, 3월에 높고 2, 4월에 낮았다. 잇바디돌김은 방사무늬김에 비해 전반적으로 함질소엑스성분 함량이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

  • PDF

해조류로부터 Arbitrary 및 ITS Primer들을 사용한 직접 PCR 유전자 증폭반응의 한계 (Limits of Direct PCR Amplification from Seaweeds Using Arbitrary and ITS Primers)

  • 김용국;진형주;박선미;진덕희;홍용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1
    • /
    • 1999
  • PCR 기법을 응용한 RAPD 방법은 대상 생물의 유전정보를 전혀 모르는 상태에도 arbitrary primer를 이용하여 증폭함으로써 생물 종간의 유전적 표식자를 확인할 수 있는 간편하고 유익한 유전분석 방법이다. 이같은 RAPD 방법을 이용하여 해조류 방사무늬 김, 미역, 구멍갈파래에 대하여 DNA를 추출하지 않고 직접 생 엽체 및 생 사상체, 생 배우체를 PCR template로 사용하여 PCR product를 생산하였다. 그러나 specific primer를 이용한 nulear r DNA의 internal trancribed spacer (ITS) 부위는 생성물을 만들지 못하였다. 간편한 LiCl 방법에 의하여 추출된 DNA를 사용하였을 때는 IST 및 RAPD 모두 PCR product를 생산하였다. 방사무늬 김의 엽체 (haploid)와 사상체 (dip-loid)로 부터의 ITS 생성물은 동일하였으나 RAPD 생성물은 사용한 arbitrary primer에 따라 36-50$\%$의 다른 band가 만들어졌다. 또한 직접 생 조직을 사용하였을때와 추출 DNA를 사용하였을 때도 53-57$\%$의 다른 band가 만들어 줬다. 그러므로 RAPD 방법으로 유전분석 실험에는 동일한 ploidy의 조직을 template로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Marine macroalgae of the Aleutian Islands: I. Bangiales

  • Lindstrom, Sandra C.;Lindeberg, Mandy R.;Guthrie, Daniel A.
    • ALGAE
    • /
    • 제30권4호
    • /
    • pp.247-263
    • /
    • 2015
  • We sequenced the rbcL gene in more than 100 collections of foliose Bangiales made in the Aleutian Islands and western Alaska Peninsula during the past 25 years. This work allows us to recognize four previously undescribed species, two in the genus Boreophyllum and two in Pyropia. Boreophyllum aleuticum appears to be endemic to the Aleutian Islands, whereas B. ambiguum is known to occur from the Yakutat area to the tip of the Alaska Peninsula. The two previously undescribed species of Pyropia are more broadly distributed. Pyropia taeniata, which was previously identified under the name Py. pseudolinearis, occurs from northern Southeast Alaska through the Aleutian Islands. Pyropia unabbottiae, which is sister to Py. abbottiae, occurs from southern Vancouver Island to Attu Island. Collections throughout the Aleutian Islands allow us to document the distribution of another dozen species of foliose Bangiales in this region, including Boreophyllum aestivale, Fuscifolium tasa, Pyropia fallax, Py. fucicola, Py. gardneri, Py. kurogii, Py. nereocystis, Py. pseudolanceolata, Py. torta, Wildemania amplissima, W. norrisii, and W. variegata. We were unable to confirm the occurrence of the following species previously recorded from the Aleutian Islands: Porphya ochotensis, Pyropia abbottiae, Py. perforata, Py. pseudolinearis, P. purpurea, P. umbilicalis, Py. yezoensis and Wildemania schizophylla. At least two undescribed filamentous Bangiales also occur in the Aleutian Islands.

알칼리 처리 porphyran의 이화학적 특성 (Chemical and Gelling Properties of Alkali-Modified Porphyran)

  • 구재근;박진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1-275
    • /
    • 1999
  • 국내산 양식김을 이용한 겔 제조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채취 장소 및 시기에 따라 crude porphyran 및 porphyran을 제조한 후 알칼리 처리하여 수율, 화학적 및 겔 특성을 조사하였다. 알칼리 처리 crude porphyran과 porphyran의 수율은 각각 $4.9\~10.9\%$$4.0\~6.7\%$였으며 채취 시기별로는 부안 김은 2월 산이, 위도 김은 1월 산이 수율이 가장 높았다. 겔 강도는 알칼리처리 crude porphyran의 경우 부안김은 2월 산이 $790 g/cm^2$, 위도김은 $740 g/cm^2$로 가장 높았다. 알칼리 처리에 의해 총당은 증가하고 단백질과 황산기는 감소하였다. 알칼리 처리 crude porphyran과 알칼리처리 porphyran의 3,6-anhydro galactose 함량은 각각 $42.6\~46.6\%$$40.8\~45.0\%$로 galactose : 3,6-anhydro galactose의 mole 비가 1.0 : 0.8$\~$1.1였다. GC와 FT-IR 분석 결과 알칼리 처리에 따라 3,6-anhydro galactose peak($932cm^{-1}$)가 증가하고 6-sulfate galactose ($815 cm^{-1}$)와 총 황산기 peak ($1250 cm^{-1}$)가 감소함을 알 수 있어 황산기의 대부분이 3,6-anhydro galactose의 전구 물질인 6-sulfate-galactose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 PDF

한국 남서해안 흑산도와 홍도의 조간대 해조류 생물량과 군집구조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Variation in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of Intertidal Seaweeds at Heuksando and Hong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오지철;박서경;최한길;남기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78-885
    • /
    • 2013
  • Seasonal variation in marine macroalgal community structure was examined at the intertidal zones of Heuksando and Hongdo, Shinan, Korea, from July 2008 to May 2009. In total, 86 macro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2 green, 19 brown, and 55 red algae; 67 species at Heuksando and 70 species at Hongdo, were observed. Annual seaweed biomass was 252.44 g dry $wt/m^2$ at Heuksando and 217.67 g dry $wt/m^2$ at Hongdo. The dominant seaweed in importance value (IV > 15) differed between the sites: Sargassum thunbergii at Heuksando and Corallina pilulifera at Hongdo. The vertical distribution pattern of seaweeds from the upper to lower intertidal zones at Heuksando was Gloiopeltis spp., Ulva spp. - S. thunbergii, S. fusiforme, Hildenbrandia rubra - S. thunbergii, C. pilulifera. On the rocky shore of Hongdo, seaweed zonation was distinct: Porphyra yezoensis, Gloiopeltis spp., Ulva spp. - C. pilulifera, S. fusiforme, Myelophycus simplex - Chondrus ocellatus, C. pilulifera, and Carpopeltis affinis. Annual seaweed coverage, richness index (R), evenness index (J'), and diversity index (H') values were greater at Hongdo (41.35%, 12.82, 0.59, and 2.50 respectively) than at Heuksando (31.54%, 11.93, 0.44, and 1.87 respectively), which may indicate that the seaweed community at Hongdo is more stable relative to the one at Heuksando.

Characteristics of Tyrosinase Inhibitory Extract from Ecklonia stolonifera

  • Park Douck-Choun;Ji Cheong-Il;Kim Sang-Ho;Jung Kyoo-Jin;Lee Tae-Gee;Kim In-Soo;Park Yeung-Ho;Kim Seon-B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3권3_4호
    • /
    • pp.195-199
    • /
    • 2000
  •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14 kinds of seaweed, Ecklonia stolonifera, Ecklonia cava, Undaria pinnatiflda, Laminaria japonica, Sargassum fulvellum, Sargassum miyabei, Sargassum thunbergii, Porphyra yezoensis, Gracilaria verrucosa, Carpopeltis affinis, Pachymeniopsis elliptica, Gelidium amansii, Codium fragile and Ulva pertusa were determined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mushroom tyrosinase in an in vitro assay system. The $1\%$ (w/v) methanol extract from E. stolonifera showed the highes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79.0\%$, electron donating activity of $79.0\%$ and total phenol content of 3.75 mg/100g. Ethyl acetate-methanol-water (7 : 2 : 0.2, v/v) fraction $(0.5\%,\;w/v)$ isol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 showe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75.9 \%$, electron donating activity of $88.1 \%$ and total phenol content of 4.38 mg/100g.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otal phenol content (R = 0.99) and electron donating activity (R=0.99).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of the fraction was 218nm and that of phenolic compounds showed about a range from 210 to 220nm. The inhibition mode of the fraction was noncompetitive inhib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