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ous bead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6초

Propionyl Chitosan의 여러 가지 수용액에 대한 흡수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ter Absorption Ability of Propionyl Chitosan to the Various Aqueous Solutions)

  • 구현철;장병권;최규석
    • 공업화학
    • /
    • 제4권2호
    • /
    • pp.324-334
    • /
    • 1993
  • 천연고분자인 chitin은 인체에 무해무독하며 생분해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chitin을 탈아세틸화시켜 얻은 chitosan에 propionyl group을 도입하여 porous bead의 형태로 제조하고 이들의 흡수성수지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propionyl chitosan porous bead의 합성은 chitosan을 acetic acid 수용액에 녹인 후 emulsion을 이용한 방법으로 아실화 반응을 일으켜 제조하였으며, crosslinked propionyl chitosan porous bead는 ethyleneglycol diglycidyl ether로 부분가교시킨 chitosan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때 propionic anhydride의 몰수와 반응시간 그리고 반응온도를 변화시킨 결과, propionyl chitosan의 합성조건은 propionic anhydride 5 moles, 반응시간 10시간 그리고 반응온도가 $22^{\circ}C$일 때 흡수능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조된 porous bead에 대하여 증류수 및 생리식염수, 각종 염용액, 인공뇨 및 인공혈액에 대한 흡수도를 검토하였고, 흡수속도 및 보수력에 대한 교환 사항을 검토하였으며, 나아가 가교에 따른 기계적 강도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 PDF

��프신의 고정화(固定化)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Immoblization of Pepsin)

  • 박종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권
    • /
    • pp.166-173
    • /
    • 1985
  • ��신을 DEAE-cellulose, CM-cellulose, Sepharose-4B와 porous glass beads을 사용(使用)하여 고정화(固定化)시켰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CM cellulose와 DEAE-cellulose의 ��신 흡착량(吸着量)은 건조된 bead 1 gr에 대하여 각각 10 mg와 15 mg이었고 glutaralde을 사용(使用)함으로서 20 mg와 27 mg로 흡착량(吸着量)이 증가(增加)하였고 효소(酵素)의 활력(活力)은 용해성효소(溶解性酵素)에 비해 각각 22%, 24%로 나타났다. 2. Sepharose-4B을 cyanogen bromide을 사용(使用)하여 활성화(活性化)시킨후 glutaraldehyde을 사용(使用)하여 공유결합을 유도하였던 바 건조된 bead 1 gr에 ��신 19 mg가 통합(統合)되었고 효소(酵素)의 활력(活力)은 23%로 나타났다. 3. Porous glass beads의 표면(表面)을 succineamido - propyl glass beads의 형태(形態)로 유도체를 만든후 ��신을 고정화(固定化)시켰을 때 bead 1 gr가 ��신 40 mg을 통합(統合)할 수 있었고 효소(酵素)의 활력(活力)은 용해성효소(溶解性酵素)에 비해 45%로 나타났다.

  • PDF

Ti-6Al-4V 비드코팅 임프란트 시제품의 골유착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OSSEOINTEGRATION OF THE TI-6AL-4V BEAD COATING IMPLANTS)

  • 우진오;박봉욱;변준호;김승언;김규천;박봉수;김종렬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52-59
    • /
    • 2008
  • The geometric design of an implant surfac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affecting early osseointegration. It is well known that the porous surfaced implant had much benefits for the osseointegration and the early stability of implant. However, the porous surfaced implant had weakness from the transgingival contamitants, and it resulted in alveolar bone loss. The other problem identified with porous surface implant is the loss of physical properties resulting from the bead sintering process.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new bead coating implant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porous surfaced implant. Ti-6Al-4V beads were supplied from STARMET (USA). The beads were prepared by a plasma rotating electrode process (PREP) and had a nearly spherical shape with a diameter of 75-150 ${\mu}m$. Two types of titanium implants were supplied by KJ Meditech (Korea). One is an external hexa system (External type) and the other is an internal system with threads (Internal type). The implants were pasted with beads using polyvinylalcohol solution as a binder, and then sintered at 1250 $^{\circ}C$ for 2 hours in vacuum of $10^{-5}$ torr. The resulting porous structure was 400-500 ${\mu}m$ thick and consisted of three to four bead layers bonded to each other and the implant. The pore size was in the range of 50-150 ${\mu}m$ and the porosity was 30-40 % in volum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sseointegration of the newly developed dental implant. The experimental implants (n=16) were inserted in the unilateral femur of 4 mongrel dogs. All animals were killed at 8 weeks after implantation, and samples were harvested for hitological examination. All bead coated porous implants were successfully osseointegrated with peripheral bone. The average bone-implant contact ratios were 84.6 % (External type) and 81.5 % (Internal type). In the modified Goldner's trichrome staining, new generated mature bones were observed at the implant interface at 8 weeks after implantation.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we could conclude that the newly developed vacuum sintered Ti-6Al-4V bead coating implant was strong enough to resist the implant insertion force, and it was easily osseointegrated with peripheral bone.

악취 및 VOC를 함유한 폐가스의 광촉매 처리: 2. 광도의 폐가스 처리효율에 대한 영향 (Treatment of Waste Air Containing Malodor and VOC: 2. Effect of Light-intensity on the Photocatalytic Removal Efficiency of Malodor and VOC of Waste Air)

  • 이은주;임광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6호
    • /
    • pp.952-959
    • /
    • 2012
  • 환형 광촉매반응기 외경지지체의 반사막에 의한 광촉매반응기시스템의 광도를 제고함으로써 개선된 광촉매반응기에 의한 악취성분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동시 포함한 폐가스의 처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광도 제고가 각 운전조건에서의 폐가스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광촉매 코팅된 nonporous glass bead 담체와 porous silica-based 담체를 각각 광촉매반응기에 충전하였을 때에 반사필름이 부착된 개선된 광촉매반응기 외경에서 측정한 광도는, 반사필름이 부착되지 않아서 광도가 제고되지 않은 광촉매반응기보다 각각 30.1%와 28.5% 증가하였다. Porous silica-based 담체를 충전한 개선된 광촉매반응기의 제거효율에 대한 제고효과는 약 2~3%이었다. 그러나 glass-bead 담체를 충전했을 때에 개선된 광촉매반응기의 제거효율 제고효과는 미미하였다. Porous silica-based 담체가 충전된 개선된 광촉매반응기인 최적화 광촉매반응기의 경우의 황화수소 및 톨루엔 제거효율은 nonporous glass bead가 충전되고 반사막이 없는 광촉매반응기 경우의 제거효율인 각각 19%와 53%보다 각각 약 26%와 약 60%의 증가율을 보였다. 반사막 필름표면의 roughness가 종래의 상업용 거울의 roughness보다 4배 정도 컸으나, 향후 개선된 광촉매반응기의 반사막의 roughness를 개선할 경우에 광도 개선효과가 더욱 커져서 이에 따른 악취 및 VOC를 함유한 광촉매 처리효율이 더욱 제고되리라 예상된다.

악취 및 VOC를 함유한 폐가스의 광촉매 처리: 1. 처리효율에 대한 광촉매담체 다공성의 영향 (Treatment of Waste Air Containing Malodor and VOC: 1. Effect of Photocatalyst-carrying Media Porosity on the Photocatalytic Removal Efficiency of Malodor and VOC of Waste Air)

  • 이은주;박혜리;임광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6호
    • /
    • pp.945-951
    • /
    • 2012
  • 광촉매반응기의 충전제로서 glass bead-광촉매담체를 control로 하고 다공성의 silica-based 광촉매담체를 사용하였을 때의 악취 및 VOC를 함유한 폐가스의 광촉매 처리효율에 대한 광촉매담체 다공성의 영향평가를 수행하였다. 다공성의 silica-based-광촉매담체의 광촉매 코팅량은 $1,716.3{\mu}g/cm^2$로서 nonporous glass bead(control)에 담지된 광촉매코팅량인 $670{\mu}g/cm^2$ 값의 약 250%이었다. Porous silica-based 담체가 충전된 광촉매반응기의 황화수소 및 톨루엔 제거효율은 각각 22% 및 82%로서, glass-bead 담체가 충전된 UV/광촉매반응기의 경우의 황화수소 및 톨루엔 제거효율인 각각 19% 및 53%와 비교하였을 때에 황화수소의 경우는 약 16% 증가하였고 톨루엔의 경우는 약 55% 증가하였다. 따라서 다공성의 silica-based 광촉매담체를 사용함으로써 황화수소와 톨루엔의 동시처리효율을 각각 제고하였고, 처리효율의 제고율은 황화수소보다 톨루엔의 경우가 3.4배 높았다.

장방형내 함수 다공성 물질의 동결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reezing Phenomena of Saturated Porous Media in a Rectangular Cavity)

  • 김병철;김종일;김진흥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3권5호
    • /
    • pp.386-394
    • /
    • 1991
  • Freezing of saturated porous media contained in a rectangular cavity has been studied experimentally. Water and different diameter glass beads consitituted the liquid and porous media. Solidification front shape, the effects of bead diameter and initial liquid temperature was investigated. When the hot wall temperature was below $4^{\circ}C$, the freezing rate was higher at the top than at the bottom due to the density inversion, but with increasing the hot wall temperature the freezing rate at the top was effected by the liquid temperature and was lower than at the bottom. With increasing the bead diameter, the difference of freezing rate between top and bottom was increased and depends on thermal conductivity. When the liquid temperature was low in the beginning, the freezing rate was high, but with increasing the time almost the same with those of high temperature liquid.

  • PDF

키토산 마이크로캅셀 및 비드의 제조와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hitosan Microcapsule and Bead.)

  • 하병조;이옥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51
    • /
    • 1994
  • Glutaraldehyde를 사용하여 화학적인 가교반응에 의해 empty cross-linked chitosan microcapsule을 제조하였다. 또한 chitosan bead는 sodium hydroxide 용액을 이용한 coaervation에 의해 제조하였다. 이들의 제조를 위해 수상/유화제/유기상으로 이루어진 w/o emulsion을 형성시킨 후 에멀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보조계면활선제로 n-hexanol을 첨가한 결과 유화안정성이 상승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Chitosan microcapsule은 광택이 나는 형태로 내부가 투명한 반면 chitosan bead는 백탁으로 내부가 불투명하며 매우 porous한 구조를 하고 있었다. Chitosan bead의 유리 아미노기의 분석은 picric acid titration으로 수행하였으며, 아미노산 반응의 종결여부는 ninhydrin color test에 의해 판정하였다. 또한 fluoroscamine에 의한 형광분석으로 chitosan bead의 표면에 많은 반응성 아미노기가 존재하고 있음을 정성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생리활성 펩티드의 커플링 반응에 이용할 수 있었다. 모델 펩티드로서 콜라겐의 receptor 부분에 해당하는 생체내 growth factor로 알려진 Gly-His-Lys를 각 아미노산 유도체를 차례로 커플링하여 chitosan bead 위에서 합성할 수 있으며, 세포 성장인자와 같은 여러 가지 생리 활성 펩티드의 운반체로서 chitosan bead가 쉽게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 PDF

다공성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 수지입자의 표면적 변화 (The Variation of Surface Area in Porous Poly(Styrene-co-Divinylbenzene) Resin Beads)

  • 김용만;임선기;김종찬;이동근;안주현
    • 공업화학
    • /
    • 제7권5호
    • /
    • pp.843-848
    • /
    • 1996
  • 현탁중합에 의하여 다공성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 수지입자를 제조하였으며, 그 수지입자는 가교제인 디비닐벤젠과 세공형성제인 톨루엔 농도가 각각 30wt% 이상일 때만 다공성을 나타내었다. 다공성 수지입자의 비표면적은 디비닐벤젠과 톨루엔의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진한 황산으로 황산화시켰을 때 비표면적은 감소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와 1-프로판올의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황산화된 수지촉매의 활성은 가교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수용액 중 sodium dodecylbenzene sulfonate의 흡착에서 다공성 수지입자의 표면적에 따라 흡착량이 증가하였다.

  • PDF

Mechanism and regulation of body malodor generation (2) -Development of a novel deodorant powder and application as an antiperspirant-

  • Miyazaki, M.;Fujihira, K.;Sadaie, M.;Nishikawa, N.;Kon, R.;Sugiyama, K.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110-116
    • /
    • 2003
  • We have developed a high performance powder, which has a quenching efficacy not only for short-chain fatty acids and amines, but also for vinyl ketones (l-octen-3-one, cis-l,5-octadien-3-one), newly found as other key compounds in axillary malodor. By investigating various powders known to have a quenching efficacy, we finally developed a highly porous silica bead containing magnesium oxide. We found that the superior deodorant effect performed by this powder was the result of multiple effects due to both an excellent physical adsorption capability from its high porosity and a specific adsorption of vinyl ketones by magnesium in the powder. An antiperspirant formulation containing both this powder and a Morus alba extract showed good efficacy as a deodorant.

  • PDF

식용 제비집으로부터 비극성 비드기술을 활용한 시알산의 분리정제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rification Process of Sialic Acid from Edible Bird's Nest Using Affinity Bead Technology)

  • 김동명;정주영;이형곤;권용성;백진홍;한인석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1-90
    • /
    • 2020
  • Sialic acid, which is contained in about 60-160 mg/kg in the edible bird's nest (EBN), is known to facilitate in the proper formation of synapses and improve memory fun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effectively the sialic acid from edible bird's nest using affinity bead technology (ABT). After preparing the non-polar polymeric bead "KJM-278-28A" having a porous network structure, and then desorbed sialic acid was concentrated and dried. The analysi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ead "KJM-278-28A" showed that the particle size was 400-700 ㎛, the moisture holding capacity was 67-70%, the surface area (BET) was 705-900 ㎡/g, and the average pore diameter 70-87 Å.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bead "KJM-278-28A" for sialic acid was shown a strong physical force to bind sialic acid to the bead surface of 400 mg/L.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effects of sialic acid on water, ethanol, and 10% ethanol on the bead, it was confirmed that desorption effectively occurs from the beads when only ethanol is used. As a result of HPLC measurement of the separated sialic acid solution, a total of four sialic acid peaks of N-acetyl-neuraminic acid (Neu5Ac), α,β-anomer of Neu5Ac and N-glycoly-neuraminic acid were identified.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separate sialic acid from EBN extract with efficient and high yield when using AB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