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k loin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28초

화분발효물을 함유한 Gelidium corneum - 젤라틴 혼합필름의 항균활성과 돈육의 포장재 적용 (Antimicrobial Activity of a Gelidium corneum - Gelatin Blend Film Containing Fermented Pollen Extract and Its Application in the Packaging of Pork Loins)

  • 홍윤희;임금옥;송경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1-395
    • /
    • 2009
  • 화분발효물(FPE)을 함유하는 Gelidium corneum - 젤라틴(GCG) 필름을 제조하여 돈육의 포장재로 사용하였다. FPE를 첨가한 GCG필름의 투습계수는 대조구 필름 보다 향상되었고 FPE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Escherichia coli O157:H7와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효과는 증가하였다. 특히, 0.15% FPE 첨가는 E. coli O157:H7와 L. monocytogenes에 대해 대조구 대비 각각 2.98 and 3.68 Log CFU/g 감소시켰다. 또한 돈육 시료를 E. coli O157:H7 와 L. monocytogenes로 접종시킨 후 GCG 필름으로 포장한 후 저장 중 미생물 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0.15% 화분발효물이 첨가한 GCG 필름으로 포장 시 E. coli O157:H7와 L. monocytogenes 숫자가 저장 4일 후 대조구 대비 각각 1.49, 1.01 Log CFU/g 더 감소시켰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0.15% 화분발효물이 첨가한 GCG 필름으로 포장한 돈육의 유통기한이 증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CLA가 축적된 돈육으로 제조된 Press Ham의 지방산 조성 및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Accumulated Pork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 Ham)

  • 이정일;양한술;정진연;이진우;이제룡;주선태;도창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5-145
    • /
    • 2004
  • CLA는 alkaline isomerization 방법으로 식용유를 이용하여 전체 CLA 이성체가 56%인 CLA를 화학적으로 합성하였다. 대조구는 80-110kg까지는 일반 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1은 출하(출하체중 : 110kg) 2주전부터 일반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에 CLA를 1.25% 첨가하여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2는 출하 2주전부터 사료함량에 CLA를 2.5%첨가하여 급여하였다. 처리구 3은 사료함량에 1.25% CLA를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4는 2.5% CLA를 4주간 급여하였다. 급여기간이 끝난 후 일괄적으로 함양도축장에서 도축하여 좌 우도체 의심부위를 발골ㆍ정형하여 제조 원료로 사용하여 프레스햄을 제조한 후 진공 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1, 7, 14, 21 및 28일간 저장하면서 조직적 특성분석, 관능적 특성분석, 지방산 조성 및 CLA 함량 등을 조사하여 CLA가 축적된 프레스햄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직감의 변화에서 저장기간별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었지만 뚜렷한 경향이 없었으며, 저 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관능검사 중 육색의 변화는 전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와 비교하여 CLA급여 처리구가 다소 높은 육색을 보였다. 향기는 전 저장기간 동안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조직감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는데, 저장 1일과 7일에는 대조구가 CLA급여 처리구인 T3, T4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조직감을 보였다.(p<0.05). 전체적인 기호성은 저장 1일에 대조구에 비하여 CLA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성을 보였다(p<0.05). 저장 1일 이후에는 CLA 급여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제품의 육색, 향기,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성 변화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대조구에 비하여 CLA 급여 처리구는 myristic, palmitic 및 stearic acid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며(p<0.05), 반면에 oleic, linoleic 및 arachidonic acid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CLA 함량을 보면 CLA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는 CLA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CLA 급여 처리구에서는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증가할수록 육내 축적율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함량의 비는 전 저장기간동안 대조구와 비교하여 CLA 급여 처리구가 낮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CLA 급여로 인하여 oleic acid 함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 프레스햄 제조시 CLA가 축적된 돈육의 이용은 조직감 및 관능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CLA를 축적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고급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저영양 비육돈 사양이 도체 및 돈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Low Plane of Nutrition on Carcass and Pork Quality of Finishing Pigs)

  • 최정석;양보석;김명현;이광호;정희준;진상근;송영민;이철영
    • 동물자원연구
    • /
    • 제29권4호
    • /
    • pp.172-182
    • /
    • 2018
  • 본 연구는 저영양 비육돈 사양이 고영양 사양에 비해 도체 및 돈육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을지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체중 약 50kg의 LYD 교잡종 암퇘지와 거세돼지 각각 68두씩을 8돈방에 배치하고 3.54Mcal DE/kg과 1.00% 라이신을 함유한 고영양사료 혹은 3.02Mcal DE/kg과 0.68% lysine을 함유한 저영양사료를 약 120kg까지 급여하고 도살하였다. 총 20개의 도체로부터 삼겹살, 등심, 뒷다리 및 목심을 잘라내고 삼겹살과 등심, 뒷다리 및 목심의 대표적인 근육의 질에 관한 이화학적 분석과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일당증체량, 사료효율 및 등지방두께는 고에너지구보다 저에너지구가 낮았다(p<0.05). 목심의 가열감량, 경도 및 씹힘성 수치는 저영양구가 고영양구보다 낮았다. 신선육(근육)에 대한 관능평가에서 등심의 색깔, 상강도 및 기호도 평점은 저영양구가 고영양구보다 높았고, 삼겹살의 근육:지방 균형 평점은 저영양구가 고영양구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p<0.10). 또한 뒷다리 가열육에 대한 관능평가에서는 풍미 및 다즙성 평점이 저영양구가 고영양구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이상의 결과는 저영양으로 비육돈을 사양하면 고영양 사양에 비해 성장성적은 저하되지만 도체 및 돈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Effects of L-carnitine, Selenium-enriched Yeast, Jujube Fruit and Hwangto (Red Clay)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nd Carcass Measurements of Finishing Pigs

  • Han, Yung-Keun;Thacker, P.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217-223
    • /
    • 2006
  • Fifty castrated crossbred ($Landrace{\times}Yorkshire$) pigs, weighing an average of $60.6{\pm}3.1kg$ were allotted to one of five treatments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to examine the effects of dietary inclusion of 0.1% L-carnitine (50 ppm carnitine), 0.1% selenium-enriched yeast (0.3 ppm selenium), 0.1% Jujube fruit or 0.1% Hwangto (Red clay) on pig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y. All diets were based on corn, wheat, soybean meal and wheat bran and were formulated to supply 13.8 MJ DE/kg. Dietary supplementation did not influence daily gain (p = 0.57), feed intake (p = 0.52), or feed conversion (p = 0.32). Digestibility of dry matter (p = 0.60), organic matter (p = 0.74), crude protein (p = 0.76), crude fibre (p = 0.70) and energy (p = 0.75) were also unaffected by inclusion of any of the additives. Tissue samples taken from the longissimus muscle showed that the levels of carnitine (p = 0.0001) and selenium (p = 0.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with dietary inclusion of carnitine or selenium-enriched yeast. Dietary treatment did not affect dressing percentage (p = 0.33), carcass lean yield (p = 0.99) or first, $10^{th}$ and last rib midline backfat depth (p = 0.45, 0.82 and 0.47, respectively). Dietary treatment also did not affect the percentages of tenderloin (p = 0.37), bacon (p = 0.36), fat and bone (p = 0.56), picnic shoulder (p = 0.25), skirt (p = 0.80), fresh ham (p = 0.31) or ribs (p = 0.79). However, pigs fed the diet containing Jujube fruit had a higher percentage of Boston butt than pigs fed the carnitine or selenium supplemented diets (p = 0.01). Pigs fed added Hwangto had a higher (p = 0.04) percentage of loin compared with pigs fed supplementary selenium or Jujube fruit. Loin muscle from pigs fed carnitine had a significantly lower Hunter colour value for L (whiteness, p = 0.004) and a higher value for $a^*$ (redness; p = 0.069).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with L-carnitine and selenium-enriched yeast can produce pork containing higher levels of carnitine and selenium, which could provide health benefits for consumers of pork without detrimental effects on pig performance.

사료의 영양수준에 따른 재래흑돼지의 산육능력 및 육질비교 (Effect of Nutritional Levels on the Growth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Black Pigs)

  • 최염순;박범영;이종문;채병조;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9-44
    • /
    • 2008
  • 본 연구는 재래흑돼지의 육질특성과 생산성 구명을 통해 소비 및 생산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사료내 에너지(ME, kcal/kg)사이신(%)수준을 달리한 3처리구, 즉 상(H), 중(M), 하(L)로 나누어 사양시험을 한 후 성장 및 육질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양시험기간 동안 재래흑돼지에 있어 에너지아이신 수준이 높을수록 일당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이고 출하일령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도체성적의 경우 도체율,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살코기 생산량에서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거세돈이 암퇘지에 비해 등지방이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재래흑돼지 등심육의 일반조성분, 근내지방함량, 근절길이 및 근섬유 비율은 처리구별로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근내지방은 영양수준이 높은 H 처리구가 M, L 처리구보다 포화지방산은 높고, 불포화지방산은 낮게 나타났으며, n-3비율은 에너지/라이신 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았으나, n-6/n-3 비율은 영양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근절길이 및 근섬유 비율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영양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근절길이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적색근 비율은 L처리구가, 백색근 비율은 M 처리구가 각각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다.

남은 음식물 발효사료 급여가 도체 특성 및 돈육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Food Waste Feeds on Pork Carcass and Meat Quality Properties)

  • 박근규;박홍양;정영철;이의수;양시용;임병순;김천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8-43
    • /
    • 2005
  • 본 실험은 돈육의 도체성적과 육질을 비교함으로써 남은 음식물 발효사료 급여효과를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도체성적으로 생체중, 도체중, 도체율, 등지방두께, 도체등급, 부분육량 및 정육율을 측정하였으며, 육질평가로 pH, 보수력, 저장감량, 가열감량, 전단력, 육색 및 NPPC 육색 및 근내지방도를 측정하였다. 도체특성에 있어서 등지방두께를 제외하고 도체중, 지육율 및 최종등급은 대조구와 FFWF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부분육 생산량과 정육율에 있어서는 FFWF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다. 육질특성에 있어서는 pH는 FFWF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보수력, 드립감량, 가열감량, 전단력 등은 대조구와 FFWF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색에 있어서는 FFWF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L*-값이 높고 a*-값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주관적인 방법으로 측정된 NPPC 육색과 근내지방도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남은 음식물 발효사료의 급여가 일반배합사료 급여와 비교하여 도체 및 육질 특성에 있어서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Evaluation of Protein Hydrolysis and Amino Acid Ratio among Different Goat Cuts by in vitro Digestion Model

  • Jei, Oh;Joohyun, Kang;Susie, Kim;Jeonghyun, Cho;Yohan, Yoo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11-417
    • /
    • 2022
  • 본 연구는 생후 12개월령의 염소를 사용하여 앞다리, 뒷다리, 등심 및 갈비 부위로 분할하여 in vitro 소화실험을 통해 부위별 단백질 가수분해도 및 아미노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이 때, 소고기 및 돼지고기의 분할육을 이용하여 염소고기와 비교, 분석하였다. 염소고기 분할육 중 뒷다리(8.32%) 및 갈비(8.32%)가 가장 높게 단백질 가수분해도가 나타났으며, 염소고기의 갈비 부위는 갈비 분할육 중 가장 높은 단백질 가수분해율을 보였던 돼지고기(8.57%)와 유의 차가 없었다 (P>0.05). In vitro 소화 전에는 염소고기 분할 육 중 등심에서 글리신(11.03%)이, 앞다리에서 글루타민(53.44%)이 다른 고기 종류 및 분할육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비율로 포함된 것이 확인되었다(P<0.05). In vitro 소화 후에는 염소고기 갈비 부위에서 라이신(17.54%)이 가장 높은 비율로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소 갈비 부위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본 연구는 염소고기 분할육의 단백질 가수분해도 및 아미노산 조성을 제공하며 단백질 소화양상 및 생체 이용률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easibility of Increasing the Slaughter Weight of Finishing Pigs

  • Park, Byung-Chul;Lee, C.-You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3호
    • /
    • pp.211-222
    • /
    • 2011
  • The present review was aimed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increasing the slaughter weight (SW) of finishing pigs. Growth performance, including ADG, ADFI and gain:feed,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SW between 110 and $135{\pm}5kg$ in lean-genotype pigs, whereas in non-lean pigs, ADG and gain:feed decrease with increasing SW within the similar range of BW. Backfat thickness (BFT) and marbling of the carcass, which are greater in barrows than in gilts,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SW. The SW could be increased by using a low-energy diet and thereby reducing the rate of fat deposition per weight gain. The yield of the belly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SW, which may be economically significant in Korea. However, yields of some other primal cuts do not change so much as to affect the carcass value. The redness and fat content of the muscle increase slightly with the increase of SW whereas moisture content is minimally influenced by SW. Muscular protein content rarely changes, but sometimes increases slightly, with increasing SW. Othe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lightness, pH, drip loss, and cooking loss of the muscle, are barely influenced by SW. Marbling of fresh loin and ham increases with increasing SW. Sensory characteristics of fresh loin, ham, and belly, including color, aroma, off-flavor, drip, and acceptability, are not influenced significantly by SW. The eating quality of cooked pork also has almost no relation to SW.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the current SW for moderately lean barrows and gilts can be raised up to 125 and 135 kg, respectively, with BFT at these weights predicted to be approximately 24 mm near the last rib, without compromising the meat quality.

한국 농촌 성인의 당뇨 신환군과 비당뇨군의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에 의한 식품섭취 비교 연구 (Comparison of Food Intakes between Newly Diagnosed Diabetics and Nondiabetics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n Adults Living in Rural Area of Korea)

  • 백희영;안윤진;이홍규;박용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82-190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food intakes between newly diagnosed diabetics and non-diabetics by food frequency questionnarie in adults in rural are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containing 65 food items was executed to 2,406 subjects over 30 years of age living inYeonchon-gun, Kyungki provinc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each food items were divided into 9 categories ranging from 'over 3 tiemes a day' to 'never'.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were measured and 2-hour glucose tolerance test was administered for each subject. Newly diagnosed diabetics were identified as those with fasting blood glucose level ≥ 140mg/dl or 2-hour postprandial glucose level ≥200mg/dl and without previous diagnosis of diabetes. Intake frequencies of food items were compared between newly diagnosed diabetics and nondiabetics. For each food item examined, odds ratios for developing diabetes were calculated for people consuming more frequently, after adjusting for age, BMI and sex. Food intake frequenci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diabetes. Twenty four items were more frequently consumed by nonidabetics and 12 items were more frequently consumed by newly diagnosed diabetics. Odds ratios for diabetes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breads, biscuit, beef loin, beef tender loin, pork belly, fish paste, coffee, cola/cider, candy, beer, chongak kimchi, carrot, mushrooms and other white vegetables, banana, melon and juice. On the other hand, odds ratios for diabetes were higher for zucchini and garlic. Although this was a cross over prevalence study,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sumption frequencies of several food items were related with the occurrence of diabetes in the study subjects.

  • PDF

무 농약 단감분말로 제조한 미트로프의 5℃ 냉장 저장 중 품질 변화 (Changes of Quality Properties of Pork Loaves with Chemical-free Sweet Persimmon Powder during Chilled Storage at 5℃)

  • 하창주;진상근;남영욱;양미라;고병순;김일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2호
    • /
    • pp.237-246
    • /
    • 2008
  • 미트로프 제품에 열풍건조 단감분말(HP)과 동결건조 단감분말(FP)을 각각 3%(HP-3%, FP-3%)와 6%(HP-6%, FP-6%)를 첨가하도, 무첨가구를 대조구로 제조한 후 함기포장하여 5℃에 저장하면서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수분과 조회분은 FP-6%가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조단백질 및 조지방은 모든 제품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pH는 대조구가 처리구보다 높았으며(p<0.05), 처리구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0.05). 모든 제품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TBARS값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처리구들 간에서는 HP-6%와 FP-6%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각 소재물들의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TBARS와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미생물 분석결과 저장 전 기간 동안 모든 제품에서 총균수는 3.11 log10 CFU/g를 유지하여 양호하였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들이 더 좋았고 첨가량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써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가지는 열풍 또는 동결건조 단감분말은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 미트패티류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