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us euramericana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2초

속성수를 이용한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의 오염물질 흡수제거(II) (Absorption of Heavy Metals of Waste Leachate Using by Fast Growing Trees(II))

  • 우수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6-42
    • /
    • 2003
  •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의 중금속과 유해성분을 자작나무와 이태리 포플러 묘목이 얼마나 흡수, 제거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침출수 원액, 50% 침출수, 25% 침출수 그리고 대조구 등 4개의 처리로 나누어서 관수하였다. 실험이 끝난 후에 뿌리, 줄기, 잎을 분쇄기로 분쇄하고 그 함량을 Inductively Coupled Plasma emission spectrometer(ICP)로 조사하였다. 위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이태리 포플러와 자작나무 모두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의 유해 중금속을 흡수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매립지나 황폐지 같은 지역의 빠른 조림을 위해서 활용이 기대되는 수종임을 알 수 있다. 특히 토양의 비소(As), 수은(Hg), 코발트(Co)그리고 니켈(Ni)등의 오염이 문제가 되는 지역에 이들 수종을 식재하게 되면 뿌리를 통해서 이들 원소를 흡착, 흡수할 수 있는 효과를 올릴 수 있다.

속성수를 이용한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의 중금속 및 유해성분의 흡수, 제거 가능성 (Absorption Capacity of Heavy Metals and Harmful Elements of Waste Leachate Using by Fast Growing Trees)

  • 이동섭;우수영;김동근;김판기;권오규;배관호;이은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1-87
    • /
    • 2001
  •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의 중금속과 유해성분을 자작 나무와 이태리포플러 묘목이 얼마나 흡수, 제거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침출수 원액, 50% 침출수, 25% 침출수 그리고 대조구 등 4개의 처리로 나누어서 관수하였다. 실험이 끝난 후에 뿌리, 줄기, 잎을 분쇄기로 분쇄하고 그 함량을 Inductively Coupled Plasma emission spectrometer(ICP)로 조사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이태리 포플러와 자작나무 모두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의 유해 중금속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매립지나 황폐지 같은 지역의 빠른 조림을 위해서 활용이 기대되는 수종임을 알 수 있다. 특히 토양의 알루미늄(AA),크롬(Cr), 철(Fe) 등의 오염이 문제가 되는 지역에 이들 수종을 식재하게 되면 뿌리를 통해서 이들 원소를 흡착, 흡수 할 수 있는 효과를 올릴 수 있다.

  • PDF

High-frequency regeneration by stem disc culture in selected clones of Populus euramericana

  • Cui, Hae-Yeon;Lee, Hyo-Shin;Oh, Chang-Young;Han, Shim-Hee;Lee, Kyung-Ju;Lee, Hyun-Jeong;Kang, Kyu-Seok;Park, So-You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236-241
    • /
    • 2014
  • An efficient regeneration protocol for stem disc culture of Populus euramericana, which is important species for bioenergy resource in agroforestry, was established. The number of explants that were obtained and the number of explants that regenerated varied with the genotypes. However, in all the genotypes, stem disc culture produced more regenerated shoots than did in axillary bud culture.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cytokinin type and concentration on shoot regeneration in different explants (i.e., petiole, leaf, and root segments of P. euramericana) revealed that a concentration of $0.002mg\;l^{-1}$ thidiazuron (TDZ) used on petiole segments resulted in the greatest shoot regeneration (95.83%). The hormonal requirements for the greatest shoot regeneration in the three explant types varied.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gNO_3$ and $CoCl_2$ were added separately to the medium to stop the yellowing and subsequent necrosis of the regenerated shoots. Lower concentrations (3 and $5mg\;l^{-1}$) of these compounds improved shoot regeneration and elong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in vitro-regenerated shoots were transferred to rooting medium and subsequently acclimatized. The highly efficient regeneration system of P. euramericana reported here can be used for mass propagation of this recalcitrant for regeneration, economically important tree species.

휴면기간중(休眼期間中)의 Populus euramericana cv. gelrica 수피(樹皮) 조직내(組織內)에서 일어나는 과산화물제거산소(過酸化物除去酸素) 활성(活性) 및 식물(植物) 호르몬의 변화(變化)에 관한 연구(硏究) (Changes of Catalase and Peroxidase Activities with Indole Acetic Acid in the Dormant Bark of Populus euramericana cv. gelrica)

  • 안영희;유원형;이기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61-66
    • /
    • 1989
  • 포플라 세포(細胞)의 Sucrose gradient 원심분리(遠心分離)에 나타난 세포(細胞)분획은 6개의 band 및 침전으로 분리(分離) 되었다. Peroxidase의 활성변화(活性變化)는 휴면기(休眼期)에 높아졌으며, 자발적(自發的) 휴면(休眠)이 타파되면서 낮아지기 시작하였다. 휴면기(休眠期)에 급격히 높아진 Peroxidase 활성(活性)은 Peroxidative 활성(活性)을 지닌 세포내(細胞內) Microbody에 존재(存在)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Catalase의 활성(活性)은 11월(月), 12 월(月) 1월(月)의 휴면기(休眼期)에 활성(活性)이 낮았으며. IAA의 농도는 휴면초기(休眼初期)에 감소하기 시작하여, 12월(月)에 최저(最低)가 되었다. 자연휴면(自然休眠)이 타파된 1월(月)부터는 IAA 농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4월(月)의 발아기(發芽期)까지 계속되었다. 이와같은 Peroxidase, Catalase를 비롯한 IAA의 변화(變化)는 봄철의 발아(發芽) 및 재생장(再生長)과 가을철 휴면조절(休眠調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핑거공차가 휨강도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nger Dimensions of Tip and Root Widths on Bending Strength Properties)

  • 변희섭;류현수;안상열;이균필;박한민;김종만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0
    • /
    • 2001
  • As finger joint method has a high rate of yield and high strength and ease in working, it has been widely used as an end joint method for solid wood and wood based-material. Therefore, we end-joined the material of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and populus euramericana with polyvinyl acetate adhesive and resorcinol phenol resin adhesive. The effect of difference (0, 0.15, 0.3, 0.45mm) between the dimensions of tip width and root width of the finger (DTRW) on bending strength properties was as follows: 1. In the case of polyvinyl acetate adhesive, DTRW had no effect on bending modulus of elasticity(MOE) and modulus of rupture(MOR) of the three kinds of species, because their bonding layers were destroyed by slippage, not their woody parts. 2. In the case of resorcinol phenol resin adhesive, the material of Quercus variabilis showed an optimal result at 0.15 or 0.3 of DTRW, while the poplar did at 0 of DTRW 3. The differences in efficiency ratio of bending MOR of populus euramericana,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species according to the kind of adhesive were 13-29%, 23-30% and 45-53%, respectively.

  • PDF

내화처리 목재의 기계적 성질 (Mechanical Properties of Fire-Retardant Treated Wood)

  • 이현미;김종만;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5호
    • /
    • pp.1-11
    • /
    • 2004
  • 국내에서 성장하고 있는 소나무재(Pinus densiflora Sieb. et Zucc)와 이태리포플러재(Populus euramericana Guinier)에 제1인산암모늄(monoammonium phosphate, MAP)과 붕산(boric acid)을 혼합 약제로 처리하여, 난연재이면서 방부재인 처리재를 백색부후균(Trametes versicolor)과 갈색부후균(Tyromyces palustris)으로 부후시켜 처리재와 무처리재의 종압축강도를 측정하고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판독하였다. 무처리재보다 처리재의 비중과 압충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수종별에 따르면 이태리포플러재보다 소나무재의 비중과 압축강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사전자현미경의 사진상에서 무처리재와 약품처리재에 T. versicolor균과 T. palustris균으로 부후시킨 결과 부후가 진행됨에 따라 무처리재가 처리재보다 세포벽의 파괴가 현저함을 보여 주었고, 또한 T. versicolor균과 T. palustris균의 부후성을 보면 T. palustris균의 목재 열화가 다소 증가하였다.

간척지 시험림에서 3년생 포플러 클론의 생육특성 및 적응능력 (Growth Characteristics and Adaptability of Three-Year-Old Poplar Clones in a Reclaimed Tidal Flat)

  • 여진기;신한나;김현철;우관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5호
    • /
    • pp.17-23
    • /
    • 2011
  • 간척지에 식재된 포플러 10클론을 대상으로 생육특성 및 적응능력을 평가하였다. 시험림 토양의 전기전도도(EC)는 0.51 dS/m로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Na^+$, $Ca^{2+}$$Mg^{2+}$ 함량은 일반 토양에 비해 각각 10.0배, 3.4배 및 1.5배 높았으며, 유기물과 총 질소 함량은 각각 22.9배, 23.0배 낮았다. 식재 후 3년째 포플러 클론의 평균 생존율은 88%로 양호하였으며, Eco28, I-476, Dorskamp 클론이 생존율 100%로 가장 우수하였고, 97-19, Suwon 클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체 클론의 평균 수고와 흉고직경은 각각 4.8 m와 3.6 cm로 나타났으며, 전체 10클론 중 Dorskamp 클론의 수고와 흉고직경 생장은 각각 5.9 m 및 5.0 cm로 가장 우수하였다. 간척지 환경에서 조기낙엽과 병해충 등 가시적 피해는 97-19 및 Dorskamp 클론이 가장 적었으며, Suwon 및 I-476 클론은 피해가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생존율, 생장, 가시적 피해를 대상으로 평가한 간척지 적응능력은 Dorskamp 클론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고, Suwon 클론이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양황철나무의 재질(材質) (I) 용적밀도수(容積密度數), 목섬유(木纖維)치수 및 잎옹이 분포수(分布數)의 간내변수(幹內變數) - (Wood Quality of Populus nigra × maxmowiczii. (I) - Variation of Bulk Density, Wood Fiber Dimension, Microfibril Angle, and Number of Leaf Knot within Stem -)

  • 박상진;강선구;이기영;조재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26-33
    • /
    • 1990
  • To study the wood quality factors of Populus nigra $\times$ maxmowiczii known a rapidly growing species, the variations of green moisture contents, bulk density, wood fibre dimensions, microfibril angles, and number of leaf knot in stem wood were investigated. The heartwood contained a higher moisture content than the corresponding sapwood. Bulk density in radial patterns variations decrease outward from the pith, then increase toward the bark. The wood-fiber length and diameters had somewhat smaller values than on Populus alba $\times$ glandulosa or Populus euramericana. The microfibril angles decreased rapidly toward the outside, and their mean values were about 16 degree. The grain angles run nearly parallel to the cell axies. Number of leaf knot showed a fluctural change above ground level to a point near the base of the crown and then increased rapidly to the top of tree and average number of leaf knot varied exclusively from tree to tree.

  • PDF

수변지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에 적합한 포플러 클론 선발 (Selection of Poplar Clones for Short Rotation Coppice in a Riparian Area)

  • 김현철;이솔지;이위영;강준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1호
    • /
    • pp.103-107
    • /
    • 2016
  • 연구는 수변지에 포플러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을 조성한 후 2년생 포플러 클론들의 바이오매스 생산, 질소 및 탄소흡수량을 구명하여 수변지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에 적합한 포플러 클론을 선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공시수종은 이태리포플러 Eco28클론,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 및 현사시나무 72-30클론 등의 포플러 3클론이다. 포플러 클론들의 평균 줄기 수는 5.0개로 나타났으며, 이태리포플러 Eco28클론이 5.9개로 가장 많았다. 포플러 클론들의 평균 줄기직경 생장은 23.2 mm로 나타났으며,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이 25.4 mm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포플러 클론별 연평균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이 16.1 ton/ha/year, 현사시나무 72-30클론이 12.3 ton/ha/year 그리고 이태리포플러 Eco28클론이 5.4 ton/ha/year로 나타나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이 가장 우수하였다. 포플러 클론들의 평균 질소흡수량은 연간 46.5 kg/ha/year로 나타났으며, 현사시나무 72-30클론이 연간 63.1 kg/ha/year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균 탄소흡수량은 연간 5.3 ton/ha/year로 나타났으며,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이 연간 7.7 ton/ha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고려할 때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이 수변지 포플러 목재에너지림에 가장 적합한 포플러 클론이라 판단된다.

SDR(Saw-Dry-Rip) 방법(方法)을 적용(適用)한 이태리 포플라 재목(材木)의 건조속도(乾燥速度)와 건조결함(乾燥缺陷) (Drying Rate and Drying Defects of Populus euramericana Using the SDR(Saw-Dry-Rip) Process)

  • 심재현;정희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3호
    • /
    • pp.3-15
    • /
    • 1986
  • 본(本) 실험(實驗)은 이태리 포플라(Populus euramericana) 플리치(flitch)의 SDR (Saw-Dry-Rip) 방법(方法)과 대조재로서 평균각재(平均角材)를 사용하여 동일한 건조조건(乾燥條件)에서 양자간(兩者間) 건조속도(乾燥速度)와 건조결함(乾燥缺陷)의 발생정도를 비교코저 실시하였으며 두께 50mm인 평소각재(平小角材)와 플리치 건조(乾燥)스케쥴 T8-F4를 적용하여 함수율(含水率) 10%정도까지 열기건조(熱氣乾燥)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평균각재(平均角材)의 평균(平均) 건조속도(乾燥速度)는 0.41%/hr. 였으며 플리치의 평균(平均) 건조속도(乾燥速度)는 0.44%/hr. 였다. 2. 평균각재(平均角材)의 최종함수율(最終含水率)은 8.0%이고 플리치의 최종함수율(最終含水率)은 10.1%였다. 함수율분포(含水率分布)에 있어서 평소각재(平小角材)의 표층, 중간층 및 내층 의 평균함수율(平均含水率)은 각각 8.8%, 10.4%, 12.6%이고 플리치의 경우는 각각 10.6%, 12.9%, 16.3%였다. 3. 플리치의 SDR방법(方法)은 평소각재(平小角材)의 건조(乾燥)보다 길이굽음 20%, 너비굽음 25%, 측면(側面)굽음 54.9%, 비틀림 13.4% 감소되었다. 4. 수피(樹皮)인접부위의 평소각재(平小角材)의 길이굽음과 너비굽음은 수심(樹心)부위의 평소각재(平小角材)의 경우보다 감소되었으나 측면굽음과 비틀림은 오히려 증가되었다. 5. 평소각재(平小角材)의 표면할열(表面割裂)보다 적게 발생하였고 횡단면할열(橫斷面割裂)은 양자(兩者)간에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6. 평소각재(平小角材)와 플리치의 내부할열(內部割裂), 두께 수축율(收縮率) 및 찌그러짐은 서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7. 평소각재(平小角材)의 표면경화율(表面硬化率)은 19.2%로서 플리치의 표면경화율(表面硬化率) 11.9%보다 컸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