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orly drained soils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1초

답(畓) 유형별(類型別) 생산력(生產力)과 질소반응(窒素反應) (Productivity and Nitrogen Response of Paddy Soils)

  • 류인수;이승택;박천서;신용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9-48
    • /
    • 1977
  • 전국(全國) 21개소(個所)에서 실시한 수도(水稻)에 대(對)한 질소적량시험(窒素適量試驗) 결과(結果)를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일반품종(一般品種)의 무질소구(無窒素區)와 질소구(窒素區)의 수량(收量)은 다같이 보통답(普通畓)>사질답(砂質畓)>습답(濕畓)의 순(順)이었고 통일품종(統一品種)에서는 무질소구(無窒素區) 수량(收量)은 사질습답(砂質濕畓)>사질답(砂質畓)>보통답(普通畓)=식질습답(埴質濕畓)의 순(順)이었으나 질소구수량(窒素區收量)은 보통답(普通畓)>사질습답(砂質濕畓)>사질답(砂質畓)>식질습답(埴質濕畓)의 순(順)이었다. 즉 통일품종(統一品種)은 사질답(砂窒畓)에서 무비재배(無肥栽培)의 적응력(適應力)이 높다는 특성(特性)을 보여 주었다. 2. 질소(窒素)의 시비응수(施肥應酬)는 보통답(普通畓)에서는 높고 사질답(砂質畓)과 습답(濕畓)에서는 낮았다. 질소(窒素) 1kg당(當) 정조(精租) 생산효율은 통일품종(統一品種)에서 보통답(普通畓) 16.6, 사질답(砂質畓) 10.5, 습답(濕畓) 8.6~11.4kg/10a이고 일반품종(一般品種)에서는 각각(各各) 12.6, 6.3, 6.6~9.3이었다. 3. 사질답(砂質畓)의 벼는 보통답(普通畓)에 비(比)하여 등숙률(登熟率)(일반품종(一般品種)에서) 또는 등숙율(登熟率)과 천립중(千粒重)(통일품종(統一品種)에서)이 모두 높았다. 보통답(普通畓)에서 질소응수(窒素應酬)가 큰 것은 주로 수수(穗數)의 증가(增加)가 크기 때문이었다. 4. 평균(平均) 질소적량(窒素適量)은 통일품종(統一品種)에서 보통답(普通畓) 19.4, 사질답(砂質畓) 14.6, 습답(濕畓) 11.6~13.4kg/10a이고 일반품종(一般品種)에서는 각각(各各) 15.9, 10.2, 8.7~12.7kg/10a이었다. 5. 보통답(普通畓)에서는 생산력이 높을수록 질소적량(窒素適量)도 높아지는 관계(關係)를 보여 주었으나 사질답(砂質畓)과 습답(濕畓)에서는 그러한 관계(關係)가 없었다. 6. 표토중(表土中) $SiO_2$와 OM함량(含量)에 근거한 질소적량(窒素適量) 결정식(決定式)에서 얻은 값과 포장시험(圃場試驗)에서 얻은 실제(實際) 적량치간(適量値間)에는 차이(差異)가 컸으나 두 값간에는 서로 높은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으므로 질소결정식(窒素決定式)은 품종(品種)과 토양종류(土壤種類)의 요인등(要因等)을 보정(補正)하여 발전(發展)시킬 필요(必要)가 있을 것이다.

  • PDF

배수 불량한 사질답에서 피복요소비료의 효율적 이용연구 (Effect of the Coated Urea Fertilizer in the Poorly Drained Coarse Textured Paddy Soils)

  • 권혜영;박창영;이재생;전원태;박기도;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5-109
    • /
    • 2001
  • 배수불량한 사질답에서는 유해성분 집적과 냉수용출 등으로 인하여 벼 뿌리가 심층으로 뻗지 못하고, 뿌리의 노화가 빨라서 도복을 일으키기 쉽다. 질소의 용출과 손실이 적은 완효성 비료(피복요소)를 표충 및 전층시용하여 질소질비료의 효율을 높이고, 생력화 재배에 기여코자 하였다. 식물체의 총질소 함량은 피복요소비료 표층시용구에서 가장 높았고, 요소비료 표층시용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표토 중의 암모니아태 질소함량도 같은 경향이었다. 토심별 뿌리의 무게도 피복요소의 표층시용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모든 구에서 0-5cm 깊이에 약 50%정도의 뿌리가 분포하였다. 벼수량은 피복요소 표층시용구>요소비료 전층시용구=피복요소 전층시용구>요소비료 표층시용구의 순으로 많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수확기 질소흡수량과 이용율은 피복요소비료 표층시용구> 피복요소비료 전층시용구>요소비료 전층시용구>요소비료 표층시용구의 순으로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습답에서 완효성 질소비료를 표층를 표층시비 함으로써 증수되지는 않았으나 질소시비량의 30%를 절감하면서 추비노력을 경감시킬 수 있었다.

  • PDF

통일계(統一系) 수도품종(水稻品種)에 대(対)한 답토양별(畓土壤別) 인산(燐酸) 및 가리시비적량(加里施肥適量) (Determination of the Optimum Rates of P and K Fertilizer Application for Tong-il Line Rices in Different Paddy Soils)

  • 이춘수;허범량;류인수;박천서;고미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1-109
    • /
    • 1982
  • 농가포장에서 실시한 '76~'79년의 비료 시험성적으로부터 수도의 통일계 품종에 대한 인산 및 칼리의 시비효과와 시비적량을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달리하는 답유형별로 검토하였으며, 이 중 '77년의 시험성적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토양화학 검정치에 따른 시비적량의 산출기준을 설정하였는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답유형별로 산출한 인산의 시비적량 6.6-11.4kg/10a범위에서 미숙답>보통답>사질답>염해답${\fallingdotseq}$습답의 순이었고, 칼리의 시비적량은 7.0-11.3kg/10a범위에서 미숙답>습답>사질답>보통답${\fallingdotseq}$염해답의 순이었다. 2. 답유형별로 산출된 적정시비량은 사용하였을 때 각각의 무요소구에 대한 증수효과는 인산의 경우 3.5-7.5%, 칼리의 경우 2.2-91%의 범위에서 답유형별로 차이가 있었다. 인산의 효과는 미숙답에서, 칼리의 효과는 습답에서 가장 컸으며, 염해답에서는 인산과 칼리의 효과가 모두 비교적 높았다. 3. 답토양의 필지별 화학성분 검정치와 상대수량 지수의 관계에서 시비효과의 한계점인 토양중 유효인산의 임계함량은 보통답 약 100ppm, 사질답 약 200ppm이었고, 치환성 칼리 염기비(K/Ca+Mg${\times}100$)임계점은 보통답 약 8, 사질답 8이상이며, 습답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4. 토양검정치(x)에 따른 시비적량(y) 산출식은 인산에 있어서는 보통답 y=11.270-0.048x, 사질답 y=13.383-0.061x이고 칼리에 있어서는 보통답 y=9.526-0.569x, 사질답 y=11.727-1.004x, 습답 y=12.574-0.558x이었다.

  • PDF

논에서 전환한 포도원의 토양물리적 특성변화 (Changes in the Soil Physical Properties of Vineyard Converted from Paddy Field)

  • 윤을수;정기열;박기도;고지연;이재생;박성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45-151
    • /
    • 2009
  • 논에서 전환된 포도원(전환포도원)의 전환 후 년수 및 토양특성별 물리적 특성변화 양상을 구명하여 전환지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합리적 토양 관리대책을 제시코자 전환지가 많은 경북 김천, 영천지역을 중심으로 포도원과 인근 벼 재배지 50개 지점을 조사 분석한 결과 전환포도원의 이랑 높이는 토성이 세립질이고 배수가 불량할수록 높았고, 토양단면 내 반문의 출현깊이(Ap층 두께)는 조립질 토양에서 깊은 경향이었음. 전환지는 인근 유사토양 벼 재배지 작토층 토색의 경우 색상이 밝아지는 경향을 보여 회색도가 벼 재배지의 경우 20인데 비해 전환지는 5로 감소했고, 이 경향은 토양 배수조건이 양호한 토양에서 현저하였음. 전환여부에 따른 투기도 차이는 토심10cm 이하에서 현저했고 토심 30cm 이하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고 전환지에서 투기도에 미치는 토양특성의 영향은 세립질의 경우 이랑의 높이가, 조립질은 배수등급이었다. 전환포도원의 물리성은 전환 후 년수가 경과함에 따라 공극율과 내수성입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원추관입저항의 경우 휴립한 부위는 $5kg/cm^2$ 이하인 반면, 그 이하의 부위는 $10kg/cm^2$ 이상을 보였음.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전환포도원의 토양특성은 세립질보다 조립질이 쉽게 변하는 경향이었고, 배수불량인 세립질토양에서는 고휴재배 등 적절한 표토관리가 요구되었다.

우리나라 토양의 유효토심 결정시 저해인자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Limiting Factor to Determine Available Soil Depth in Korea)

  • 현병근;임상규;정석재;손연규;송관철;노대철;이협성;현근수;장용선;홍석영;박찬원;김이현;최은영;장병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293-302
    • /
    • 2008
  • 유효토심은 작물의 선택, 시비, 토양관리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우리니라 토양조사 결과 밝혀진 390개 토양통에 관한 토양단면기술과 물리화학성을 가지고 유효토심 결정시 고려해야 할 저해인자들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효토심 결정시 저해인자는 경반, 경사, 미숙, 분석, 사질, 석력, 암반, 염해, 저습, 중점, 특이산성, 화산회 토양과 저해인자가 없는 토양으로 구분하였다. 경반층이 저해인자인 토양통수는 5개, 경사 93, 미숙 29, 분석 5, 사질 42, 석력 47, 암반 19, 염해 8, 저습 22, 중점 32, 특이산성 3, 화산회 27개 토양통이었으 며, 저해인자가 없는 토양은 58개 토양통으로 구분되었다. 저해인자별로 평균 유효토심이 깊은 순서는 미숙 > 경사 > 화산회 > 중점 > 사질 > 석력 > 경반 > 분석 > 저습 > 암반 > 특이산성 > 염해 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저해인자를 가지고 있는 토양은 토지이용시 적절한 관리를 통하여 저해인자별로 개량함으로써 작물 뿌리를 충실하게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모작(多毛作)을 위한 답토양(畓土壤) 적성등급(適性等級) 구분(區分) -제(第) 1 보(報) : 기초시험(基礎試驗) (Suitability Grouping System of Paddy Soils for Multiple Cropping -Part I: Basic Experiments)

  • 정연태;박은호;노영팔;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1-216
    • /
    • 1986
  • 농경지토양(農耕地土壤)에 대한 정밀토양조사(精密土壤調査) 결과(結果)를 활용(活用)하여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 성행(盛行)하고 있는 논토양(土壤) 다모작(多毛作) 이용(利用)을 위한 적성등급(適性等級) 구분기준(區分基準)을 확립(確立)코자 2개년간(個年間) 토양별(土壤別) 기초시험(基礎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별(土壤別) 심토(心土)를 채취(採取)하여 벼앞그루 작물(作物)과 벼를 무비조건(無肥條件)으로 2모작(毛作)한 잠재생산력은 "배수약간양호(排水若干良好)" 한 미사식양질토양(微砂埴壤質土壤)에서 가장 높았고 "배수불량(排水不良)"한 사질토양(砂質土壤)에서 가장 낮았으며 토양별(土壤別) 생산력비교가 용이(容易)하였다. 2. 유기물분해력(有機物分解力)도 "배수약간양호(排水若干良好)" 한 토양(土壤)이 "배수약간불량(排水若干不良)" 한 토양(土壤)보다 높았고 사양질토양(砂壤質土壤)은 밭상태(狀態) 및 담수초기(湛水初期)의 저온시(低溫時)에 분해력(分解力)이 높은 반면에 담수후기(湛水後期)에는 식양질토양(埴壤質土壤)이 높았다. 3. 강우후(降雨後) 경운가능상태(耕耘可能狀態) 도달일수(到達日數)는 식양질계토양(埴壤質系土壤)이 식질계토양(埴質系土壤) 보다 5일정도(日程度) 빨랐고 경운가능기간(耕耘可能期間)은 "배수약간양호(排水若干良好)" 한 토양(土壤)의 식질(埴質)에서 가장 긴 반면(反面)에 식양질(埴壤質)은 가장 짧았으며 "배수약간불량(排水若干不良)" 한 토양(土壤)은 토성간(土性間) 차이(差異)가 경미(輕微)하였다. 4. 지하수위(地下水位)가 낮을 수록 생산력지수는 높았고 "배수약간양호(排水若干良好)"한 토양(土壤)은 지하수위(地下水位)의 변이(變異)가 중립질토성(中粒質土性)에서 낮았고 조립질(組粒質) 및 세립질(細粒質)은 높았으나 "배수불량(排水不良)" 답(畓)은 그 반대(反對)이었다.

  • PDF

토양환경(土壤環境)의 특성(特性)과 벼 어린모의 생육(生育) (Soi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Growth of Young Rice Seedlings)

  • 허봉구;조인상;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5-60
    • /
    • 1991
  • 어린모 기계이앙(機械移秧) 재배기술(裁培技術) 확립(確立)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할 목적(目的)으로 중부지역(中部地域) 벼 생선기계화(省力機械化)(어린모) 시범단지(示範團地) 24개소(個所)에 대한 어린모와 중묘기계이앙(中苗機械移秧) 재배지(裁培地)의 본답(本畓) 초기생육(初期生育)과 토양(土壤) 및 수량(收量)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모 재배지(裁培地)의 표고(標高)는 5m에서 210m까지 였으며 보수일수(保水日數)는 평균 5.1일(日)이었고 토양(土壤) 배수(排水)는 약간양호(若干良好) 내지(乃至) 약간불량(若干不良)이었다. 2. 토양(土壤) 배수(排水)가 약간양호(若干良好) 및 약간불량(若干不良) 포장(圃場)에서는 어린모 기계이앙후(機械移秧後) 30일(日)에 점토함량(粘土含量)이 적을수록 초장(草長) 크고 경수(莖敎)는 적었으며 사토양(砂土壤)에서는 토양(土壤) 배수(排水)가 양호(良好)할수록 초장(草長)과 경수(莖敎)가 모두 양호(良好)하였다. 3. 어린모 재배지(裁培地) 토양(土壤)의 경도(硬度)는 사토양(砂土壤)에서, 용적밀도(容積密度)는 양토(壤土)와 미사질식양토(微砂質埴壤土)에서 낮았으며 배수(排水)가 불량(不良)한 포장(圃場)에서도 낮았으며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은 토성간(土性間)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토양(土壤) 배수(排水)가 약간불량(若干不良)하거나 불량(不良)한곳이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4. 어린모 기계이앙답(機械移秧沓)의 수량(收量)은 심토(心土)의 용적밀도(容積密度)와 유의성(有意性)있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었고 치환성(置換性) 칼슘함량(含量)과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5. 어린모 기계이앙(機械移秧) 재배답(裁培沓)의 평균수량(平均收量)은 487kg/10a으로서 중묘(中苗) 기계이앙(機械移秧)의 475kg/10a보다 2.5% 증수(增收)되었다.

  • PDF

A Study on Soil Characteristics of Paddy Fields with Re-established Soils

  • Sonn, Yeon-Kyu;Moon, Yong-Hee;Zhang, Yong-Seon;Jung, Kang-Ho;Cho, Hye-Rae;Hyun, Byung-Keun;Shin, Kook-Sik;Han, Kyeong-Hwa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94-204
    • /
    • 2015
  • Six study sites in Gumi, Goryeong in Gyeongbuk province and Naju in Jeonnam province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soil properties of poorly drained horizons in paddy soils. The horizons were re-established layers which were parent material layers originated from fluvial deposits. Topsoil layers were differentiated from piled parent materials while soil structure of the topsoil layer was massive with striated microstructure. Compaction at soil re-establishment and a lack of structure and aggregate development in these soils may cause the limitation of vertical water movement and result in poorly drained horizons. Soil samples were taken from paddy fields with top soils of sandy loam, silt loam and silty clay loam and re-established soils of coarse and fine texture. The samples were taken from each horizon for the analyses of soil chemical and mineral properties. Soils with re-established soils of coarse texture had greater amounts of sands from top soil texture distributions, while soils with fine texture had greater amounts of silts. Chemical properties of top soils were analyzed from rice cultivated soils at the time of re-establishments and one year after the re-establishments. The coarse texture of the re-established horizons decreased in EC values from 0.23 to $0.11(dS\;m^{-1})$, available phosphate values from 112 to $54(mg\;kg^{-1})$, and exchangeable Ca values from 6.6 to $4.9(cmol_c\;kg^{-1})$. On the other hand, soils with fine texture showed decrease only in pH and exchangeable Ca values. Especially,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hosphate contents showed heterogeneous distributions from each horizon. This result may be caused by mixture of plough layer and subsurface layer during and consolidation. Hydraulic conductivity values were low at the boundaries of top soil and parent material layers except SL/coarse soil. Soil microstructure was massive structure without soil clods or pores and showed striated structure. Therefore, re-established paddy fields with fluvial deposits as parent material layers showed limited vertical movements of soil water because of occurrence of compacted layers and less-development of soil clods and aggregates.

볏짚시용(施用)을 위한 답토양(畓土壤) 적지시험(適地試驗)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uitable Paddy Soil for Application of Rice Straw)

  • 이상규;안상배;박건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1-107
    • /
    • 1984
  • 볏짚시용적지(施用適地)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전국(全國) 17개(個) 농가포장(農家圃場)과 현지(現地) 포장토양(圃場土壤)을 채취(採取) 실내(室內)에서 항온시험(恒溫試驗)한 결과(結果) 포장(圃場)에서는 배수양호(排水良好)하며 볏짚을 시용(施用)하므로써 토양환원(土壤還元) 발달(發達)이 무시용구(無施用區)보다 높은 토양(土壤)에서 수도수량(水稻收量) 및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가 증가(增加)되었다. 실내(室內) 시험(試驗)에서는 배수양호(排水良好)하며 볏짚시용(施用)으로 환원발달(還元發達)이 양호(良好)한 토양(土壤)에서 규산(珪酸), 가리(加里), 석회(石灰) 등(等)의 유효양분(有效養分)이 증가(增加)되었으며 또한 토양중(土壤中) 인산(燐酸)의 유효도(有效度)와 토양환원발달(土壤還元發達)과는 정상관(正相關) 관계(關係)를 보였다. 그러나 배수불량(排水不良)하며 볏짚을 시용(施用)하더라도 무시용구(無施用區)와 환원발달차(還元發達差)가 현저(顯著)하지 못한 답토양(畓土壤)에서는 토양(土壤) 무기성분(無機成分) 및 인산(燐酸)의 유효도(有效度) 증가(增加)는 현저(顯著)하지 못하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 볏짚시용(施用) 적지(適地) 선정(選定)시는 토양(土壤)의 배수정도(排水程度)와 토양환원(土壤還元) 발달정도(發達程度)를 기초(基礎)로 실시(實施)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습답(濕畓)에서의 투수속도조절(透水速度調節)이 화학성분(化學成分) 및 벼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ercolation Rate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ice Growth in Poorly Drained Soil)

  • 안상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31-240
    • /
    • 1987
  • 습답개량(濕畓改良)에 관(關)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爲)하여 사양토(砂壤土)와 식양토(埴壤土)에 투수속도(透水速度)를 달리한 조건(條件)에서 규회석(珪灰石) 및 생고등(生藁等) 개량제(改良劑) 시용시(施用時) 벼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기 위(爲)하여 pot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수량(收量)은 사양토(砂壤土)와 식양토(埴壤土) 두 토양(土壤) 공(共)히 투수속도(透水速度)가 클수록 많았으며 그 효과(效果)는 식양토(埴壤土)가 사양토(砂壤土)에 비(比)하여 더욱 컸다. 2. 토양용액중(土壤溶液中)의 환원생성물(還元生成物)은 투수속도(透水速度)에 따라 초기(初期)에 높았으나 생육후기(生育後期)에 많이 제거(除去)되었다. 3. 식물체중(植物體中)의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등(加里等)은 투수속도(透水速度)의 증가(增加)에 따라 낮아지지만 규산(珪酸)은 오히려 높아졌다. 4. 투수속도(透水速度)가 빠를수록 수확기(收穫期) 뿌리의 양(量)도 많고 근권(根圈)이 지하(地下) 깊이까지 확장(擴張)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