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gonatum odoratum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5초

둥글레의 볶음처리에 따른 갈변반응 기질의 동적변화 (Dynamic Changes in Browning Reaction Substrate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s during Roasting)

  • 권중호;류기철;이기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54-661
    • /
    • 1997
  • 전통적인 볶음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는 둥굴레차의 제조 중 성분변화를 검토하고자 중심합성 계획에 의한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볶음조건에 따른 유리당 및 아미노산의 동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볶음 둥굴레 수용성 추출물의 갈색도는 볶음온도 14$0^{\circ}C$이하에서 볶음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6$0^{\circ}C$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유리당은 주로 sucrose와 fructose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함량은 볶음처리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glucose는 15$0^{\circ}C$까지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대부분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볶음온도가 증가하고 볶음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다가 고온, 장시간 조건에서는 함량변화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threonine과 lysine은 17$0^{\circ}C$, 60분 이상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둥굴레 근경의 증자 및 볶음조건에 따른 중금속(Pb, Cd) 제거 특성 (Elimination of Heavy Metals(Pb, Cd) by Steaming and Roasting Condition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s)

  • 김경태;노정은;이정은;김정옥;이기동;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9-215
    • /
    • 2005
  • 둥굴레 근경의 증자 및 열처리 중 수용성 고형분 및 Pb, Cd 제거율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RSM)을 활용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증자시간($60{\sim}180$ min), 볶음온도($110{\sim}150^{\circ}C$) 및 볶음시간($10{\sim}50$ min)을 달리하여 16구간으로 제조된 시료의 수용성 고형분 함량, Pb 및 Cd 제거율을 측정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예측된 가용성 고형분의 최대값은 $71.47\%$ 이었으며, 이때의 증자 및 볶음조건은 증자시간 65.24분, 볶음온도 $126.93^{\circ}C$ 및 볶음시간 37.58분 이었다. 둥굴레 시료의 Pb 제거율은 증자시간 71.23분, 볶음온도 $119.81^{\circ}C$ 및 볶음시간 24.35분일 때 최대값 $18.87\%$이었으며, Cd 제거율은 증자시간 160.89분, 볶음온도 $126.43^{\circ}C$ 및 볶음시간 15.81분일 때 최대값 $50.85\%$로 예측되었다. 중금속 제거율을 고려한 둥굴레차의 품질특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증자 및 볶음조건은 증자시간 $165{\sim}180$분, 볶음온도 $120{\sim}135^{\circ}C$ 및 볶음시간 $30{\sim}45$분 범위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예측범위 내의 임의의 점에서 실제 실험한 실험치는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해 예측된 값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 도출된 회귀식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한국 자생 둥굴레속 식물 지하경의 주요성분 (Major Chemical Components in Rhizome of Native Polygonatum Species in Korea)

  • 장계현;강진호;전병삼;송근우;이상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5-193
    • /
    • 2002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둥굴레속 식물중 7종을 수집하여 각종의 지하경중의 무기성분, 당함량, 단백질 및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하경의 무기성분중 총질소, 인산 및 칼륨은 생육기보다 지상부 생육 정지기에서 약간 낮았으며 총질소 함량은 죽대, 각시둥굴레 및 퉁둥굴레가 높고 인산은 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칼륨은 둥굴레1과 각시둥굴레에서 높았다. 칼슘 마그녜슘 및 나트륨의 함량에서 칼슘은 지상부 생육 정지기에서 높았고 마그녜슘과 나트륨은 감소하였으며 칼슘은 죽대, 각시둥굴레 및 퉁둥굴레에서 높았고 마그녜슘과 나트륨의 함량은 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철, 망간, 아연 및 구리 등의 미량 무기성분은 생육초기에 가장 높았으며 생육중기에 낮았다가 후기에 다시 증가하였으며 철분 함량은 둥굴레2와 퉁둥굴레에서 높았다. 당의 함량은 생육 초기보다 후기에 더 높았는데 층층둥굴레는 모든 시기에서 가장 높았고 죽대는 가장 낮았다. 단백질 함량은 죽대가 가장 높았고 층층둥굴레가 가장 낮았다. 아미노산의 총함량은 4, 8, 11월중 8월 지하경에서 가장 높고 11월 지하경에서 가장 낮았으며 아미노산 종류중 glutamic acid와 arginine함량이 높았으며 총아미노산, 필수아미노산 및 함황아미노산 모두 죽대와 각시둥굴레에서 높은편이었다.

둥글레 근경의 연근별 향미관련 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Flavor-related Components of Polygonatum odoratum in Root by Growth Year)

  • 박난영;정용진;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8-32
    • /
    • 2003
  • 고품질 둥굴레차 제조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둥굴레(Polygonatum odoratum) 근경의 주요 성분을 연근별($2{\sim}4$년)로 분석하였다. 둥굴레차의 향미관련 성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동결건조 한 시료와 $130^{\circ}C$에서 15분 간 볶음처리 한 시료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둥굴레 근경의 유리당은 fructose $3.59{\sim}4.83%(d.b.)$, sucrose $1.78{\sim}2.49%$, glucose $1.60{\sim}1.80%$의 순이었고, 유리아미노산은 threonine $1,239{\sim}1444\;mg/100g(d.b.)$, arginine $589{\sim}689\;mg/100g$, histidine $289{\sim}370\;mg/100g$ 등의 순으로, 두 성분의 총 함량은 각각 3년 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볶음처리에 따른 연근별 특성 비교에서 일반성분과 기계적 색도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색, 맛 및 향에 대한 관능적 품질은 3년 근이 가장 우수하여 둥굴레차 제조 원료로써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년 근 시료의 볶음 전 후 유리당 및 아미노산 함량을 비교해 본 결과, fructose와 sucrose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p<0.01), threonine과 lysine은 감소량과 감소율에서 가장 현저하게 변화를 보였으며 유리아미노산의 전체함량은 볶음처리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1).

Derepl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Steroidal Saponins in Polygonatum Species Using LC-MS

  • Kim, Jin-Woong;Ahn, Mi-Jeo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66.1-66.1
    • /
    • 2003
  • Rhizomes of Polygonatum species belong to Liliaceae are important herbal drugs in the traditional medical practice of Asian region. Two representative Chinese drugs derived from this genus are Hwangjeong and Okjuk. Though botanical origins of these drugs are officially listed as P. falcatum, P. sibiricum and P. kingianum for Hwangjeong and P. odoratum var. pluriflorum for Okjuk in the Korean Pharmacopoeia and Korean Herbal Pharmacopoeia, respectively, they are often sold as a mixture of several different species in the market. (omitted)

  • PDF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Polygonatum falcatum (Asparagaceae)

  • CHOI, Tae-Young;YUN, Se-Hyun;LEE, Soo-Ra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80-83
    • /
    • 2022
  • Polygonatum falcatum is a perennial herb distributed in East Asia. We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in P. falcatum for the first time, with a de novo assembly strategy. The chloroplast genome was 154,579bp in length harboring 87 protein coding genes, 38 tRNA genes and eight rRNA genes. It exhibits typical quadripartite structure comprising a large single-copy (LSC) (83,528bp), a small single-copy (SSC) (18,457bp) and a pair of inverted repeats (IRs) (26,297bp). Phylogenetic analysis of 16 chloroplast genomes from Asparagaceae reveals that the genus Polygonatum is a monophyletic group and that P. falcatum is clustered together with the congener, P. odoratum.

Micropropagation of Plants and Mass Production of Adventitious Roots from Culture of Seedling Explants of Polygonatum odoratum

  • Yoon, Eui-S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
    • /
    • pp.40-47
    • /
    • 1998
  • When the leaves, roots and stem segments of seedling of Polygonatum odoratum were cultured on Murashige and Skoog medium with 2.0mg/l BAP, stem segments were the most efficient explants for adventitious shoot inductino. To observe the efficient combination of growth regulators on the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 stem segments were cultured on MS medium with various kinds of cytokinins (BAP, kinetin, zeatin). From this experiment, cytokinin treatement was prerequisite for theadventitious shoot formatino,especially BAP was the most effective. Auxin (NAA or IBA) in combination with cyotokinin highly enhanced the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Twenty five percents of explants produced the adventitious shoots on medium with 2.0mg/l BAP solely, while 83% of explants produced the adventitious shoots on medium with 2.0mg/l BAP and 0.1mg/l IBA. Root formationform adventitious shoot was promoted after transfer to 1/2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1mg/l IBA and 0.5mg/l zeatin, thereafter the plantlets with shoots and roots were cultured on 1/2MS medium lacking growth regulators. When the stem segments were cultured to MS medium with 1.0mg/l 2,4 NAA and IBA , yellow and nodulous cali were formed from the stem segments which were developed into adventitious roots. These roots were actively grew after transferred to MS liquid medium lacking growth regulators.

  • PDF

다변량 분석에 의한 둥굴레속 식물의 분류 (Classification of Polygonatum spp. Collections Based on Multivariate Analysis)

  • 윤종선;손석용;김익환;홍의연;윤태;;정승근;박상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33-339
    • /
    • 2002
  • 둥굴레속 식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변종 포함 10종(種) 20영양계(營養系)를 재배한 후 특성을 조사하고 주성분 분석과 군집 분석을 통하여 분류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제 1주성분은 전체 분산의 54.10%, 제 2주성분은 18,95% 그리고 제 3주성분은 11.62%를 차지하였으며, 상위 제 3주성분까지의 누적 기여율이 84.68%였다. 제 1주성분은 식물체의 형태와 크기, 동화기관, 저장기관 및 생식기관과 관련된 주성분이었고, 제 2주성분은 식물체의 생육 및 저장기관과 관련된 주성분이었으며, 제 3주성분은 식물체의 생육과 관련된 주성분이었다. 군집 분석 결과 군집간 평균거리가 약 0.7일 때 20개 영양계가 4개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제 I군에는 층층갈고리둥굴레, 제 II군에는 둥굴레, 무늬둥굴레, 산둥굴레 및 큰둥굴레, 제 III군에는 용둥굴레, 안면용둥굴레 및 각시둥굴레 그리고 제 IV군에는 죽대 및 통둥굴레가 속하였다.

군집분석에 의한 한국 자생 둥글레속 수집종의 분류 (Classification of Korean Polygonatum Collections Based on Cluster Analysis)

  • 윤종선;손석용;홍의연;김익환;윤태;이철희;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0-268
    • /
    • 2002
  • 둥굴레 유전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국산 둥굴레속 식물 수집종 10종 20계통을 재배 한 후 특성을 조사하고 군집분석을 통하여 분류하였으며 군별 특성 및 류연 관계를 구명하였다. 14개 형질을 가지고 평균연결법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한결과 군집간 평균 거리 약 0.6에서 7개 군으로 분할되었다. 제 1군은 층층갈고리 둥굴레군이고, 제 II 군에는 둥굴레, 둥굴레 엽색 변이종 및 큰둥굴레가 속하였으며, 제 III 군은 산둥굴레군이고, 제 IV군은 죽대군이었다. 그리고 제 V 군은 용둥굴레와 안면용둥굴레가 속하였고, 제 Ⅵ군은 퉁둥굴레군이며, 제 Ⅶ군은 각시둥굴레가 독립적인 군을 형성하였다. 제 I군은 다른 군에 비하여 지상부와 근경이 모두 거대하였고, 제 II~III군은 둘 다 중간 정도이며, 제 IV~Ⅶ군은 지상부와 지하부가 모두 작았다. 둥굴레속 식물의 분류에 있어서는 특히 경장, 줄기습성, 엽서, 능각, 엽병, 화서, 화피의 형태, 포 및 근경의 크기 등이 중요한 식별 형질이었다. 제 I~III군은 식용 및 양용작물로 이용하기 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제 IV~Ⅶ군은 원예작물로 개발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