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ethylene (PE)

검색결과 517건 처리시간 0.029초

ABS-Polyethylene 혼합물의 저온 열분해 특성평가 (Liquefaction Characteristics of ABS-polyethylene Mixture by a Low-Temperature Pyrolysis)

  • 최홍준;정상문;이봉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2호
    • /
    • pp.223-228
    • /
    • 2012
  • ABS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및 ABS-PE 혼합물의 저온열분해를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상압 및 $450^{\circ}C$에서 실행하였다. 열분해 시간은 20~80분까지 하였고 열분해로 생성된 성분은 지식경제부에서 고시한 증류성상온도에 따라 가스, 가솔린, 등유, 경유, 중유로 분류하였다. ABS와 PE의 혼합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전환율은 P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분해생성물의 수율은 PE의 함량이 높을수록 중유 > 가스 > 가솔린 > 경유 > 등유 순으로 회수되었다.

창란젓갈의 포장에 관한 연구 -2. 파우치 포장 젓갈의 품질유지기한- (A Study in Packing of Changran-Jeotgal -2. Shelf-life a Plastic Pouch racking of Changran-Jeotgal-)

  • 윤지혜;이원동;장동석;강지희;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20
    • /
    • 2002
  • 신제조기법과 재래식방법으로 제조된 창란젓갈을 시험구와 대조구로하여 이들을 파우치 포장하여 각각 10, 20 및 $30^{\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창란젓갈의 파우치포장 low density polyethylene (PE), poly-ethylene terephthalate/polyethylen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ET), polyethylene/nylon/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E/Ny)에서 시험구와 대조구 모두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파우치 포장의 $CO_2$, 발생과 부피 팽창속도가 가속화되었으며, 부피팽창 속도는 PE/Ny, PET, PE 순으로 빨랐다. 한편, pH, L값, VBN의 변화속도는 PE가 가장 빨랐으며 그 다음이 PET, PE/Ny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저장 전 구간에 있어서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변화속도가 완만하였다. 포장재별로 각 온도에서 저장한 창란젓갈의 생균수변화를 조사한 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대조구가 시험구보다 생균수 증가가 빨랐다. 일반적으로 젓갈 포장에 사용되고 있는 PE의 경우 PET나 PE/Ny에 비하여 필름의 가스투과성이 높아 호기성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PET나 PE/Ny 파우치 포장으로 대체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창란젓갈 파우치포장의 관능검사에서 상품성이 유지되는 품질기준을 6.0 이상으로하여 품질유지기한을 설정하였을 때, $10^{\circ}C$에서PE, PET, PE/Ny 포장의 품질유지 기한은 대조구가 20일, 40일, 40일인데 비하여 시험구는 40일, 50일, 60일로 나타나 10$\~$20일 정도 연장되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창란젓갈 저장시 품질측정변수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파우치포장에서는 파우치의 부피, pH, L값, 휘발성염기질소 (VBN), 관능검사 등이 상관관계가 높아 젓갈 포장에서 품질지표항목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ulching Methods and Removing Dates of Mulch Affects Growth and Post Harvest Quality of Garlic (Allium sativum L.) cv. Uiseong

  • Kwon, Kwon-Seok;Azad, Md. Obyedul Kalam;Hwang, Jae-Moo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4호
    • /
    • pp.293-297
    • /
    • 201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and removing time of the transparent polyethylene (PE) film on the growth of garlic at Uiseong experimental field, Korea. The experimental mulching materials comprised of 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0.025 mm) and net polyethylene (NPE). Plant height and leaf number of garlic were highest at PE treatment when the PE removing date was March 18 and this treatment also promoted the no. of cloves. Length of leaf sheath and bolting rate were highest and bulb weight loss rate was lowest at PE + NPE treatment when the PE removing date was March 18. But clove number was the lowest in this treatment compared to conventional PE film treatment. Conventional mulching method accelerated secondary growth rate but bulb weight loss was vice versa. There were statistically no differences in bulb diameter among treatments but conventional treatment positively focused on bulb diameter. Whenever PE film remove can suppress weeds compared to no mulching treatment but the dry weight of weeds were increasing trends as the removal dates of PE film were delayed. Transparent PE or PE + NPE treatments can be recommended to grow best quality garlic when PE film removing date is March 18.

폴리에틸렌 필름의 광가교에 의한 옥타데칸의 고정화 (Octadecane Fixation via Photocrosslinking of Polyethylene Film)

  • 윤득원;장진호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4-219
    • /
    • 2010
  • Polyethylene(PE) films were photocrosslinked by continuous UV irradiation. Benzophenone addition as low as 1wt% into the PE film increased the gel fraction up to 96%. The photocrosslinking was attributed to the recombination of PE radicals generated upon UV irradiation, which was enhanced by the hydrogen abstraction of the added benzophenone. Also the crossliked PE showed higher thermal stability and decreased crystallinity with increasing UV energy as shown by TGA, XRD and DSC analysis. It was also possible to fix 5.4% octadecane into PE by the photocrosslinking. The crosslinked PE film containing octadecane showed lower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coupled with higher extension compared to that without octadecane, which can be used as a new plasticizing method for the crosslinked PE film.

Polypropylene과 Polyethylene으로 구성된 기공성 고분자 소재의 여과특성 (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Polymeric Porous Materials Composed of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 안병길;오경근;최웅수;권오관
    • 청정기술
    • /
    • 제4권2호
    • /
    • pp.32-40
    • /
    • 1998
  • Polypropylene(PP)과 polyethylene(PE) 분체를 혼합하여 공기정화용 여과재로 사용하기 위한 기공성 고분자 소재를 압출 소결법으로 제조하였다. PP와 PE로 구성된 기공성 고분자 소재는 녹는점이 낮은 PE가 용융되어 PP를 결합시킨 구조임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분석으로 관찰할 수 있었으며, 고분자 소재의 압출 소결시 압출기 다이 헤드의 온도, 압출 속도, PE의 용융지수 및 첨가량 변화 등에 따른 기공성 고분자 소재의 기계적물성과 여과특성 변화를 시험하였다. 일정한 압출기 헤드 다이 온도와 압출 속도하에서 압출 소결법으로 제조된 기공성 고분자 소재의 여과효율이 PE의 첨가량과는 비례 관계를 나타내었으나 PE의 용융지수에는 반비례 관계를 나타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압출 소결법으로 제조된 기공성 고분자 소재의 여과특성을 시험한 결과, PP와 PE로 구성된 기공성 고분자 소재가 공기정화용 여과재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폐폴리에틸렌 필름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ycling of Waste Polyethylene Film)

  • 이환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82-188
    • /
    • 2008
  • 폐폴리에틸렌 필름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폐폴리에틸렌과 비산재를 사용하여 콤파운드를 제조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고분자는 생활쓰레기에서 분리수거한 폴리에틸렌(PE)과 포장용 필름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에서 얻어지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이다. 폐폴리에틸렌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시키기 위하여 화력발전소 굴뚝에서 포집한 석탄재와 생활쓰레기 소각로굴뚝에서 얻어지는 비산재를 사용하였다. 발전소 석탄재를 투입하면 재활용 LDPE와 LLDPE 콤파운드의 인장강도는 감소하고 굴곡모듈러스는 증가하였다. 역청탄재를 혼합한 경우에 비하여 무연탄재를 투입한 LLDPE 콤파운드의 인장강도와 굴곡강도가 약간 높았으며, 이는 무연탄재가 다소 많은 량의 미연소 탄소를 가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생활쓰레기에서 얻어진 PE 단독에 소각로 비산재를 투입하면 인장강도와 굴곡강도가 모두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소각로 비산재에 의한 상승효과는 생활쓰레기 PE에 포장용 필름 스크랩의 LDPE를 섞게 되면 Filler 입자가 LDPE의 결정화를 방해하기 때문에 상쇄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소각로 비산재를 혼합하여 생활쓰레기 PE를 재활용한 콤파운드는 하수관 등을 제조하는 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결과를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에 적용시키면 폐기물처리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보존과 자원절약에 기여할 수 있다.

Polyethylene-Polypropylene 혼합물의 저온 열분해에 의한 액화특성 (Liquefaction Characteristics of Polyethylene-Polypropylene Mixture by Pyrolysis at Low Temperature)

  • 조성현;최홍준;나병기;이봉희
    • 청정기술
    • /
    • 제15권2호
    • /
    • pp.109-115
    • /
    • 2009
  •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혼합물의 열분해에 대한 시너지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 및 PE-PP혼합물의 저온열분해를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상압 및 $450^{\circ}C$에서 실행하였다. 열분해 시간은 20${\sim}$80분이었으며, 열분해로 생성된 성분은 한국석유품질검사소에서 고시한 증류성상온도에 따라 가스, 가솔린, 등유, 경유, 중유로 분류하였다. GC/MS에 의한 생성오일의 성분분석 결과 PE-PP 혼합에 의해서 새로운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고 혼합에 따른 시너지효과 또한 나타나지 않았다. PE-PP 혼합물의 전환율과 각 생성물의 수율은 시료의 혼합비율에 비례하였다.

Influence of Maleic Anhydride Grafted onto Polyethylene on Pyrolysis Behaviors

  • Chung, Yu Yeon;Choi, Sung-See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1권3호
    • /
    • pp.233-239
    • /
    • 2016
  • Polyethylene (PE) and maleic anhydride-grafted PE (PE-g-MAH) were pyrolyzed, and their pyrolysis products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AH grafted onto PE on pyrolysis behaviors. Major pyrolysis products of PE and PE-g-MAH were n-alkanes, 1-alkenes, ${\alpha},{\omega}$-alkadienes, and aromatic compounds. 1-Alkenes were more formed than n-alkanes, ${\alpha},{\omega}$-alkadienes, and aromatic compounds. Butadiene was more produced from PE than PE-g-MAH, whereas toluene and ethyl benzene were more generated from PE-g-MAH than PE. Difference in the pyrolysis behaviors between PE and PE-g-MAH were explained by initial decomposition of MAH moiety.

가교결합 감자 전분을 함유한 분해성 polyethylene 필름의 기계적 성질 및 분해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and Degradability of Degradable Polyethylene Films Containing Crosslinked Potato Starch)

  • 김미라;이선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298-1305
    • /
    • 2000
  • 0.1, 0.5, 1.0, 2.0% epichlorohydrin으로 가교결합시킨 감자 전분을 각각 5% 첨가한 polyethylene cast 필름을 제조하여 이들의 기계적 성질 및 열분해 특성, 생분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Instron으로 측정한 필름의 기계적 성질에서는 가교결합 감자 전분으로 제조한 필름이 무처리 감자 전분으로 제조한 필름보다 인장강도, 신장율, 인장에너지 모두가 더 높게 나타나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FT-IR과 Instron으로 측정한 필름의 열분해 특성에서는 가교결합 감자 전분으로 제조한 필름이 무처리 감자 전분으로 제조한 필름보다 빠르게 열분해됨이 확인되었다. 또한 필름의 생분해 특성에서도 가교결합 감자 전분으로 제조한 필름이 무처리 감자 전분으로 제조한 필름보다 생분해 정도가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olyethylene과 Glycol-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용기내에서의 Chlorobutanol용액의 안정성 (The Stability of Chlorobutanol Solution in Polyethylene and Glycol-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ntainers)

  • 민신홍;권종원;정구충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6권1호
    • /
    • pp.8-11
    • /
    • 1986
  • There have been many difficulties in utilization of polyethylene (PE) container for volatile ingredients because of its high permeability. We selected glycol-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G) lately being used and evaluated the stability of 0.5% chlorobutanol solution for PETG. We used PE bottle, glass flask and rubber stoppered vial for comparison and assayed chlorobutanol contents of the samples stored at various temperatures for nine weeks by HPLC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ability of chlorobutanol in PETG container was almost similar to that in glass flask, and was superior to that in PE bottle and rubber stoppered vi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