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ester resin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9초

채움재 종류에 따른 투수콘크리트 성능 연구 (Study on Porous Concrete According to Filler)

  • 노병철;최규형;김정훈;차광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41-744
    • /
    • 2006
  • The study focuses on the mixture of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porous concrete with unsaturated polyester resin. The materials used in the mixture include the coarse aggregates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s binder, calcium carbonate and sand as a filler. An experimental procedure has been carried out to select the best combination of the materials that satisfy both the required perme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 PDF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aste Ground Nut-shell Reinforced Polyester Composites

  • Prabhakar, M.N.;Shah, Atta ur rehman;Song, Jung-Il
    • Composites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118-123
    • /
    • 2015
  • In the current study explain about the bio-based composites made by groundnut shell as reinforcement with polyester resin matrix. Groundnut shell is an abundantly available natural waste byproduct and poly ester resin is widely used to fabricate of composites for good balance of mechanical properties because it is relatively low price and ease of handling. Evalu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anufactured groundnut shell/polyester composites by varying the amounts (wt %) of groundnut shell. Particulate shell reinforced polyester composites incorporating varying amounts of groundnut shell (5, 10, 15 and 20%) were characterized for their tensil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impact strength. The mechanical properties improved with increasing particle loading up to 15% and decreased thereafter. Increasing in strength with increased particle shell loading was attributed to increase in surface area which enhanced load transfer between the polyester matrix and ground shall particulates.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study the morphology of the composite. Thermal studies and water absorption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also studied in this paper.

Fabrication and Electrical, Therm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Novel Carbon Nanofiber Web/Unsaturated Polyester Composites

  • Kim, Seong-Hwan;Kwon, Oh-Hyeong;Cho, Dong-Hwan
    • Carbon letters
    • /
    • 제11권4호
    • /
    • pp.285-292
    • /
    • 2010
  • Novel unsaturated polyester composites with PAN-based nanofiber, stabilized PAN nanofiber, and carbonized nanofiber webs have been fabricated, respectively, and the effects of the nanofiber web content on their electrical resistivity, the thermal stability, dynamic storage modulus, and fracture surfaces were studied.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introduction of just one single layer (which is corresponding to 2 wt.%) of the carbonized nanofiber web to unsaturated polyester resin (UPE) could contribute to reducing markedly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resin reflecting the percolation threshold, to improving the storage modulus, and to increasing the thermal stability above $350^{\circ}C$. The effect on decreasing the resistivity and increasing the modulus was the greatest at the carbonized PAN nanofiber web content of 8 wt.%, particularly showing that the storage modulus was increased about 257~283% in the measuring temperature range of $-25^{\circ}C$ to $50^{\circ}C$. The result also exhibited that the carbonized PAN nanofibers were distributed uniformly and compactly in the unsaturated polyester, connecting the matrix three-dimensionally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of each specimen. It seemed that such the fiber distribution played a role in reducing the electrical resistivity as well as in improving the dynamic storage modulus.

Strength Characteristics of Unsaturated Polyester Resin Mortar using Recycled Fine Aggregates

  • Kim, Wha-Jung;Choi, Young-Jun;Jun, Joo-Ho;Kim, Yong-Bae
    • KCI Concrete Journal
    • /
    • 제11권3호
    • /
    • pp.89-9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recycled fine aggregates as a material to apply to a building finished walls or as a decorating material in combination with a polymer. The strengths of two resin mortars using recycled fine aggregates and natural fine aggregates was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the strength of the resin mortar with recycled fine aggregates, partial replacement of recycled fine aggregates with natural ones was made with the application of various type of fillers. The results, it show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resin mortar using the recycled fine aggregates were about 70% to 100% of those of resin mortar using natural fine aggregates. It was enough to assure the utilization of the recycled fine aggregates as a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resin mortar. From the result of partial replacement of recycled fine aggregates with natural ones,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Increased from 5% to 15% and the flexural strength was much as 5% to 20% as a result of 70% substitu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use of garnet powder shows a similar tendency in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slag powder does in the flexural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 PDF

복합레진 표면의 연마방법에 따른 표면조도 (SURFACE ROUGHNESS OF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FINISHING METHODS)

  • 민정범;조공철;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2호
    • /
    • pp.138-150
    • /
    • 2007
  • 본 연구는 복합레진의 종류와 연마방법, 복합레진 연마 후 레진전색제의 적용이 복합레진의 표면조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복합레진의 표면조도 측정과 FE-SEM 관찰을 통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미세입자형과 nanofill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8{\times}3{\times}2mm$의 시편을 각각 100개씩 제작하였고, 연마방법과 레진전색제의 적용 유무에 따라 20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라 Micronew를 사용한 군은 M군, Filtek Supreme을 사용한 군은 5군으로 분류한 후, 연마방법에 따라 M1 과 S1군 은 polyester strip만을 사용한 군, M2군와 S2군은 Sof-Lex disc를 사용한 군, M3군과 S3군은 Enhance disc와 polishing paste를 사용한 군, M4군과 S4군은 Astropol disc를 사용한 군, M5군과 S5군은 carbide finishing bur를 사용한 군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또한 연마 후 Biscover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군은 연마방법에 따른 각 군에 B를 추가하여 M1B군-M5B군 및 S1B군-S5B군으로 분류하였다. 제작된 모든 시편은 표면조도의 측정과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을 시행하기 전에 실온의 증류수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표면조도측정기를 사용하여 각 시편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서 각각 5회씩 측정하여 평균 표면조도 값을 산출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군에서 대표적인 시편 1개를 선택하여 FE-SEM에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복합레진의 표면조도 값은 polyester strip에 의해 형성된 모든 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S군을 제외한 다른 모든 군에서 finishing bur로 연마한 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05), FE-SEM 관찰에서 레진전색제를 적용하기 전의 표면은 polyester strip을 사용한 M1군과 S1군이 가장 평활한 표면을 나타냈고, finishing bur를 사용한 M5군과 S5군은 필러의 탈락에 의해 형성된 여러 개의 기포와 함께 울퉁불퉁한 표면을 보였다. 2.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른 표면조도는 레진전색제를 적용하기 전에는 통계학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에는 Micronew가 Filtek Supreme보다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었다 (p<0.05), 3. 레진전색제를 적용하기 전에는 복합레진의 종류와 연마방법에 따른 표면조도 간에 상호 연관성이 있었으나,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에는 복합레진의 종류와 연마방법 간에 상호 연관성이 없었다. FE-SEM관찰에서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의 표면은 모든 군에서 대체적으로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었다. 4. 동일한 복합레진과 연마방법으로 처리된 군에서 레진전색제 적용 전과 후의 표면조도 값은 M1B군이 M1군보다, S1B군이 S1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M4B군과 M5B군은 각각 M4군과 M5군 보다. 그리고 S5B군은 S5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라 표면조도의 순서는 다르게 나타났고, polyester strip 하에서 복합레진이 중합된 경우 가장 낮은 표면조도 값과 평활한 표면을 제공하였으며 전반적으로 anishing bur는 가장 높은 Ra값과 거친 표면을 제공하였다. Enhance, Astropol, carbide finishing bur로 연마한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평활한 표면을 얻을 수 있었지만, polyester strip과 Sof-Lex disc로 얻어진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표면조도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를 이용한 투수 콘크리트의 투수성 향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ermeability in Elevation of Porous Concrete Using Unsaturated Polyester Resin)

  • 노병철;최규형;김정훈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63-16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를 이용하여 적절한 투수성과 압축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투수 콘크리트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투수 콘크리트 개발을 위해 사용된 재료로는 단입도 굵은골재와 결합재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 그리고 채움재로서 탄산칼슘을 이용하였다. 배합 방법은 굵은골재 최대치수, 결합재 비율, F/B 비율 등을 변화시키며 KS 규격에 준하여 각각의 배합에 따른 투수계수, 압축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투수계수는 약 $3.5{\times}10^{-1}cm/sec$, 공극률은 약 34%, 압축강도는 11 MPa로 나타나, 우수유출저감시설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poxy를 사용한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합성 및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 Using Epoxy Group (WPUE))

  • 박지연;정부영;천정미;하창식;천제환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1호
    • /
    • pp.22-2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내가수분해성 및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olyester polyol, epoxy resin, 4,4-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H_{12}MDI$), 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를 사용하여 epoxy를 함유한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합성하였다. 또한 합성된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물성은 DSC, UTM, adhesion test 등을 통해 평가하였다. 합성된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Tg는 $-50^{\circ}C$ 부근에서 나타났으며, epoxy resin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Tg도 상승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Epoxy resin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증가하였고, 신율은 감소하였다. 또한 접착력 및 내가수분해 접착력은 polyol : epoxy = 99 : 1에서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저수축제 폴리스틸렌과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사용한 Sheet Molding Compound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 of Sheet Molding Compound using Unsaturated Polyester Resin with Low Profile Agent of Polystyrene)

  • 배기붕;이상구;윤홍진;이종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3호
    • /
    • pp.588-593
    • /
    • 2012
  • 불포화 폴리에스터(unsaturated polyester, UP)와 저수축제(low profile agent, LPA),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과의 compatibility가 불포화 폴리에스터와 저수축제의 비율, 혼합시간, 혼합온도 그리고 추가로 투입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량과 같은 다양한 조건하에서 확인되었다. 1단계로 1700 rpm의 교반속도에서 제조된 수지 혼합액의 경우,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 UPR) 투입량 25 g, 약 $30^{\circ}C$의 반응온도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 크기 및 상분리율을 나타내었다. 2단계 수지 혼합액의 경우, 2차로 투입된 45 g의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혼합액에서 향상된 compatibility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혼합조건이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와 저수축제 혼합액의 compatibility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조건을 통해 제조된 sheet molding compound (SMC)를 사용해서 만든 샘플은 흡수율, 수축율 및 광택도에서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유리섬유/폴리에스터 복합재료를 위한 유전 경화 모니터링 (Dielectric Cure Monitoring for Glass/Polyester Prepreg Composites)

  • 김형근;김진국;이대길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A
    • /
    • pp.797-803
    • /
    • 2001
  • The on-line cure monitoring of fiber reinforced thermosetting resin matrix composite material was performed for the better quality and productivity during manufacturing. Since the dissipation factor measured by dielectrometry method is dependent on the degree of cure and temperature of resin, in this study, a new method to obtain the degree of cure during on-line cure monitoring for glass/polyester composites was developed by employing a combination function of the temperature and the dissipation factor. Two sensor signals from a K-type thermocouple and an interdigitated dielectric sensor were processed during curing process under various cure cycles. The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ata was also used for the reference of degree of cure.

  • PDF

폴리우레탄으로 개질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강인성 (Toughness of Polyurethane-Modified Unsaturated Polyester Resin)

  • 황영근;민경은;최관영;김우식;이동호;박이순;서관호;강인규;전일련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71-77
    • /
    • 2001
  •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nsaturated polyester,UP)는 대표적인 열경화성 수지로 점도가 낮아 다양한 복합재료 공정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어 범용 복합재료 수지로 많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UP는 경화 후 부피가 5-8%정도 감소하고 알칼리에 약하며 brittle하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첨가제와의 블렌딩을 통하여 해결하려는 연구들이 수행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P말단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을 도입하여 강인성을 향상시키고 이때 폴리우레탄의 soft segment인 폴리올이 UP/PU 고분자 네트워크 혼합체의 강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UP 말단 히드록실기에 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diisocyanate, MDI)를 먼저 반응시킴으로써 PU를 UP말단에 도입할 수 있었다. UP에 대한 PU의 함량이 2 wt%일 때가 가장 높은 강인성 값을 보였다. 이는 UP와 PU의 결합에 의한 효과이며 그 이상일 때 강인성 값들이 감소하는 것은 미반응물로 존재하는 폴리올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폴리올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분자의 움직임이 떨어지게 되어 충분히 반응에 참여하지 못하기 때문에 강인성 값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