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 Ethylene Terephthalate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51초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Poly(ethylene naphthalate) 블렌드의 혼화성 (Miscibility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ste)/Poly(ethylene naphthalate) Blends)

  • 최재원;김영호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0-73
    • /
    • 2003
  • 최근 들어 poly(trimethylene terephtha)ate)(PTT)를 폴리에스터계 고분자들인 PET, PTN, PBN 등과 블렌드하고 이들의 특성 변화에 대해 검토한 결과가 많이 발표되고 있다. PTT를 PET나 PTN과 블렌드시키면 혼화성이 없으나, 이들 블렌드물을 용융시키면 점차 하나의 T$_{g}$를 나타내어 혼화성을 갖는다[1-3]. 반면에 PTT와 PBN을 블렌드시키면 처음부터 혼화성이 존재한다[4]. 이같이 PTT와 혼합되는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혼화성이 달라지는데, 본 연구는 PTT와 poly(ethylene naphthalate)(PEN)을 블렌드시키면 혼화성이 어떻게 되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중략)

  • PDF

Miscibility of Branched Polycarbonate Blends with Poly(ethylene-co-1,4-dimethyl cyclohexane terephthalate) Copolyesters

  • Song, Jeong-Oh;Jeon, Mi-Young;Kim, Chang-Keu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5권7호
    • /
    • pp.640-645
    • /
    • 2007
  • The phase behavior of branched polycarbonate (BPC) blends with poly(ethylene terephthalate-co-1,4-dimethyl cyclohexane terephthalate) copolyesters (PECT), as well as their rheological properties, were assessed. Even though BPC blends with PECT prepared by solvent casting proved to be immiscible, BPC and PECT copolyesters containing 1,4-dimethyl cyclohexane (CHDM) from 32 to 80 mole% formed homogeneous mixtures upon heating. The homogenization temperatures of the blends decreased with increasing CHDM content in PECT. The interaction energies of the BPC-PECT pairs calculated from the phase boundary in accordance with the lattice-fluid theory were positive and also decreased with increasing CHDM content in PECT. It was shown that the phase homogenization of these blends occurs upon heating when the combinatorial entropy term, which is favorable for miscibility, overcomes unfavorable energetic terms at elevated temperatures. A novel product, which is not limited by the drawbacks of linear polycarbonate (PC) and evidences processability superior to that of the PC/PECT blends, can be developed via the blending of BPC and PECT.

PET-PCT 공중합체의 합성과 물성 I - 열적성질과 분해거동 -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ET-PCT Copolyester I - Thermal Property and Degradation Behavior -)

  • 이원옥;김해영;백두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51-354
    • /
    • 2001
  •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는 물리적,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하나로 섬유, 필름, 및 여러 가지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PET는 DMT(dimethyl terephthalate) 또는 TPA(terephthalic acid)와 EG(ethylene glycol)를 축합 중합하여 제조한다. (중략)

  • PDF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전성 및 결정화 거동 (Antistatic Property and Crystalization Behavior of Polyester Fiber)

  • 김문찬;이철규
    • 분석과학
    • /
    • 제12권5호
    • /
    • pp.436-440
    • /
    • 1999
  • 축중합조에 제전제를 첨가하여 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제전성과 결정화 거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제전제 성분중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성분에 의해 제전 PET의 유리전이온도와 용융 온도가 낮아졌다. 제전PET의 결정화속도는 결정화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억제되었다. 제전PET의 열적성질과 결정화 거동은 제전제 성분중 알킬나트륨설포네이트 보다는 PEG 함량에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제전성은 발현하는 주요 성분은 PEG였다. 알킬나트륨설포네이트는 제전폴리에스터 폴리머의 용융점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배향된 섬유의 열적 거동에 관한 연구 (Thermal Behaviors of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 송현훈;금종각;김진모;손양국;최종인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9-162
    • /
    • 2002
  • 고분자 재료로써의 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섬유, 필름, 용기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 용도는 대부분 변형 및 배향 결정화의 응용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그러나 등방성 고분자의 결정화 과정에 대한 연구에 비해 배향에 의해 유도되는 결정화 과정의 경우 그 명확한 메카니즘이 밝혀지지 않았으며, 최근 고속방사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배향 결정화 과정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략)

  • PDF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분산염색에 있어서 캐리어의 작용기구 (The Carrier Mechanism in the Disperse Dye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 이일건;윤남식;임용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31-236
    • /
    • 1990
  •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C.I. Disperse Red 4 in the dyeing of carrier-pretreated poly (ethylene terephthalate) film was Investigated by Sekido's film-rolled method. From the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diffusion coefficient increases exponentially with the content-ration of carrier in the film, and, for the films containing same concentration of carrier, the carrier effect was enhanced with the molar volume of the carriers. The greater carrier effect was accompanied by the decrease in diffusion activation energy and entropy, which shows that the carrier with larger molar volume plasticizes PET film to more extent.

  • PDF

연신조건이 PTT섬유의 배향에 비치는 영향(II) (Effect on the Orientation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in Drawing Condition(II))

  • 김경효;강석진;이양헌;조현혹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8-71
    • /
    • 2003
  •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는 1941년 Caligo printing Ink 사의 Whinfield와 Dickson에 의해 PET와 함께 처음으로 그 중합방법이 보고 된 이래, 주원료인 1,3-propanediol의 생산가격이 너무 높아 지난 60년간 상업화 및 학문적 연구가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다. 미국의 Shell사와 독일의 Degussa(미국의 Dupont)에 의해 1,3-propanediol이 대량 생산되면서[1], PTT 섬유의 상업적 생산에 점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S사와 Shell의 공동연구에 의해 제품이 생산되는 둥 많은 연구가 진행중에 있기는 하지만, Poly(ethylene terephthalate)의 연구에 비한다면 아직 걸음마 단계의 기초 자료로 제품이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재활용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이용한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올리고머 제조 (Production of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Oligomer from Recycled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 조민정;양정인;노승현;조홍제;한명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4호
    • /
    • pp.437-442
    • /
    • 2016
  • 재활용 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로부터 PBT (Poly butylene terephthalate)를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 방법은 PET와 BD (1,4-butanediol)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하여 BHBT (Bishydroxybutylterephthalate) 올리고머를 생성하는 글리콜리시스 반응과 BHBT의 축합 중합 반응을 통하여 PBT 올리고머를 생성하는 축중합 반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 단기 수명 주기 제품인 버려지는 PET 페자원을 장기 수명 주기 제품인 PBT로 변환시켜 더 가치 있고 바람직한 재활용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글리콜리시스와 축중합 촉매로 zinc acetate를 사용하였고, 글리콜리시스 반응에 대하여 회분식 반응기와 반 회분식 반응기를 적용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성되는 에틸렌글리콜(EG)의 양을 정량하여 해중합도를 추정할 수 있는 EG 수율과 부산물인 THF 생성량을 성능 척도로 하였다. 반응 도중에 EG를 제거하는 반회분식 반응기의 성능이 회분식 반응기에 비하여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회분식 반응기의 경우 최적의 반응조건은 BD/PET 비율 4, 반응온도 $220^{\circ}C$ 이었으며, 최고 EG 수율은 91% 이었다. 또한 축 중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PBT 올리고머의 분자량이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혼합용매중에서의 Poly(ethylene terephthalate)섬유의 팽윤성(II) ―평형팽윤 및 수축거동― (Swelling Propertie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in Mixed Solvent(II) ―Equilibrium Swelling and Shrinkage―)

  • Lee, Mun Cheul;Pak, Pyong Ki;Cho, Hyun Hok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7-26
    • /
    • 1994
  •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filaments were treated in binary mixtures of organic solvents such as benzyl alcohol/perchloroethylene(BA/PER), benzyl alcohol/trichloroethylene(BA/TRI), benzyl alcohol/ethylene chloride(BA/EC), methanol/perchloroethylene (ME/PER), and methanol/trichloroethylene(ME/TRI). From the equilibrium swelling of PET, total and partial isotherms of PET for sorption of solvent mixtures and isotherms for distribution of the components between the phases were taken. Also the shrinkage and the crystallinity of PET treated with binary mixtur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All isotherms for distribution of the components between the phase deviated from the diagonal in system of PET-binary mixtures. Especially in the binary mixtures of ME/PER or ME/TRI, selectivo sorption of chlorinated hydrocarbon PER and TRI by PET occured. 2. The shrinkage of PET treated in binary mixrures was increased to compare with single solvent-treated, but the composition of binary mixtures corresponding to maximum values of shrinkage was not always agreed with the composition of binary mixtures corresponding to maximum values of shrinkage was not always agreed with the composition of binary mixtures exhibiting of the maximum swelling of PET. 3. The crystallinity of PET treated in binary mixtures generally increased than that of single solvent-treated.

  • PDF

Thermal Properties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Melt Blends

  • Son, Tae Won;Kim, Kwang Il;Kim, Nam Hun;Jeong, Min Gi;Kim, Young Hun
    • Fibers and Polymers
    • /
    • 제4권1호
    • /
    • pp.20-26
    • /
    • 2003
  • The thermal behavior, morphology, ester-interchange reaction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melt blends were investigated over the whole composition range(xPTT/(1-x)PET) using a twinscrew Brabender. The melt blends were analyz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13}{C-NMR}$),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Singl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_g$) and col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_cc$) were observed in all melt blends. Melt blends were found to be due to the ester-interchange reaction in PTT/PET blend. Also the randomness of copolymer increases because transesterification between PT and PET increases with increasing blending time This reaction increases homogeneity of the blends and decreases the degree of crystallinity of the melt blends. In PTT-rich blends, mechanical properties decrease with increase of PET content compared with that of pure PTT. And, in PET-rich blends, tensile modulus decreases with increase of PTT content, but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is similar to that of pure P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