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Vinyl Alcohol)

검색결과 471건 처리시간 0.023초

사이징제에 따른 유리섬유/불포화 폴리에스터 복합재료의 계면 접착력과 기계적 물성 (Influence of Sizing Agent on Interfacial Adhes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Glass Fiber/Unsaturated Polyester Composites)

  • 박수진;김택진;이재락;홍성권;김영근
    • 폴리머
    • /
    • 제24권3호
    • /
    • pp.326-332
    • /
    • 2000
  • 유리섬유/불포화 폴리에스터 복합재료에서 섬유에 처리된 사이징제가 복합재료의 최종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상온에서의 접촉각 측정을 통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스터, 그리고 에폭시계 사이징제를 사용하여 유리섬유의 표면을 처리하였으며 각각의 물성을 비교하였다. 유리섬유의 접촉각은 증류수와 diiodomethane을 젖음액으로 사용하여 Washburn식을 기본으로 한 wicking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접촉각 측정에 의해 구한 표면자유에너지는 에폭시계 사이징제로 치리된 유리섬유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복합재료의 층간 전단 강도 (ILSS)와 파괴 인성 ( $K_{IC}$ )의 측정 결과로부터 사이징제의 처리에 따라 계면 결합력이 증진되며 결과적으로 복합재료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복합재료에서 유리섬유의 표면 자유에너지 증가에 기인한다고 사료된다.

  • PDF

투과특성의 on-line 측정을 위한 투과장치 (Permeation Apparatus for on-line Measurement of the Perme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Dense Polymeric Membranes)

  • 염충균;김범식;김철웅;김광주;이정민
    • 멤브레인
    • /
    • 제8권2호
    • /
    • pp.86-93
    • /
    • 1998
  • 비다공성막을 통한 투과성분의 투과속도와 투과 조성을 on-line방식으로 측정할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가교폴리비닐알콜막을 통한 물의 투과증발실험을 행하여 이 장치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투과증발실험에서 투과가 정상상태에 도달하는데 15분미만의 시간이 걸렸으며 측정을 20분이내에 마칠 수가 있었다. 또한 측정된 투과속도 정확성과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종래의 방법대로 액체질소에 의해 투과물을 일정시간 응축시켜 투과속도를 동시에 측정하여 이를 장치의 record에 표시된 투과속도와 비교한 결과 그 오차가 $\pm$2% 이내로 일치하였다. 측정된 시간에 따른 투과속도 곡선으로 부터 3가지 종류의 확산계수 $D_{slope}, D_{1/2}, D_t$를 구하였고 이들이 문헌치와 비교한 결과 비교적 일치함을 보였다. 또한 on-line 방식으로 모든 측정이 이루어지므로 종래 방법, 즉 투과물 응축, 가열, 무게측정과정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험오차를 줄일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투과특성을 얻을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투과 장치를 사용하여 액체상태의 feed 투과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Sulfonic acid group을 갖는 PVA/Silica Hybrid막의 DMFC 응용 (PVA/Silica Hybrid Membrane Containing Sulfonic Acid Croup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Application)

  • Young Moo Lee;Dae Sik Kim;Kwang Ho Shin;Ho Bum Park;Ji Won Rhim
    • 멤브레인
    • /
    • 제13권2호
    • /
    • pp.101-10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설폰기를 함유한 sulfosuccinic acid를 가교제로 사용하였다. 또한, 메탄을 투과도를 줄이기 위해 실리카를 졸-겔 방법을 사용하여 성장시킨 PVA/Silica 하이브리드막을 제조하여 수소 이온 전도도 및 메탄을 투과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수소 이온 전도도 및 메탄을 투과도는 가교제 농도 및 친수성 $SO_3H$의 함량에 영향을 받았으며, 제조된 막의 수소 이온 전도도는 10^{-3}~10^{-2}$ S/cm 범위에 있었고, 메탄을 투과도는 $10^{-8}~10^{-7}\;cm^2/s$ 를 갖는다.

Polymer Inkjet Printing: Construction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s at Micro-Scale by Repeated Lamination

  • Yun, Yeon-Hee;Kim, Jae-Dong;Lee, Byung-Kook;Cho, Yong-Woo;Lee, Hee-You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197-202
    • /
    • 2009
  • Solution-based, direct-write patterning by an automated, computer-controlled, inkjet technique is of particular interest in a wide variety of industrial fields. We report the construction of three-dimensional (3D), micro-patterned structures by polymer inkjet printing. A piezoelectric, drop-on-demand (DOD) inkjet printing system and a common polymer, PVA (poly(vinyl alcohol)), were explored for 3D construction. After a systematic preliminary study with different solvent systems, a mixture of water and DMSO was chosen as an appropriate solvent for PVA inks. The use of water as a single solvent resulted in frequent PVA clogging when the nozzles were undisturbed. Among the tested polymer ink compositions, the PVA inks in a water/DMSO mixture (4/1 v/v) with concentrations of 3 to 5 g/dL proved to be appropriate for piezoelectric DOD inkjet printing because they were well within the proper viscosity and surface tension range. When a dot was printed, the so-called 'coffee-ring effect' was significant, but its appearance was not prominent in line printing. The optimal polymer inkjet printing process was repeated slice after slice up to 200 times, which produced a well-defined, 3 D micro-patterned surface. The overall results implied that piezoelectric DOD polymer inkjet printing could be a powerful, solid-freeform, fabrication technology to create a controlled 3D architecture.

PVA/H-β zeolite mixed matrix membranes for pervaporation dehydration of isopropanol-water mixtures

  • Huang, Zhen;Ru, Xiao-Fei;Guo, Yu-Hua;Zhu, Ya-Tong;Teng, Li-Jun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0권2호
    • /
    • pp.165-178
    • /
    • 2019
  • Mixed matrix membranes (MMMs) of poly (vinyl alcohol) (PVA) containing certain amounts of H-${\beta}$ zeolite for pervaporation were manufactured by using a solution casting protocol. These zeolite-embedded membranes were then characteriz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X-ray diffraction (XRD) and swelling tests. The membrane separation performance has been examined by means of isopropanol (IPA) dewatering from its highly concentrated aqueous solutions vi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results have demonstrated that the influences of feed IPA composition (85-95 wt.%), feed temperature ($50-70^{\circ}C$), zeolite loading (15-25 wt.%) and their interactive influences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both pervaporation flux ($398-1228g/m^2{\cdot}h$) and water/isopropanol separation factor (617-2001). The quadratic models based on the RSM analysis have performed excellently to correlate experimental data with very high determination coefficients and very low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The optimal pervaporation predictions given by using the RSM models demonstrate a total flux of $953g/m^2{\cdot}h$ and separation factor of 1458, and are excellently verified by experimental results. As reflected by these results, PVA MMMs embedded with hydrophilic $H-{\beta}$ zeolite entities have performed considerably better than its pure counterpart and indicated great potential for isopropanol dehydration applications.

화력발전소의 회처리장 내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화학적 먼지억제제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Chemical Dust Suppressants for Control of Fugitive Dust in Ash pond of Thermal Power Plant)

  • 최유림;최종수;양재규;박선환;주현수;장윤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3권6호
    • /
    • pp.82-89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fficiencies of chemical suppressants for control of fugitive dust in ash pond of thermal power plant. In this study, $MgCl_2$, PAM (polyacrylamide), and PVA (poly vinyl alcohol) that are generally applied to suppression of fugitive dust generated from unpaved road, coal mining, storage piles and etc, were employed as chemical dust suppressants. The coal ash (coal combustion residuals) were sampled from the ash pond of Yeongheung power division in Incheon, South Korea. The characterization of the sample includ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pH, $pH_{PZC}$ and pore volume as well as XRF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suppressant treated-samples were investigated with the wind tunnel experiments to estimate and compare the effect of suppressants on stabilization of the surface of coal ash sampl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tability of suppressant-treated sampl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water-treated samples. Among the three kinds of suppressants, PAM and PVA showed higher efficiencies and cost saving than $MgCl_2$.

레몬그라스 오일을 함유하는 PCL마이크로캡슐의 특성과 방출거동 (Release Behavior and Characterization of PCL Microcapsules Containing Lemongrass Oil)

  • 박종권;김지은;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26권3호
    • /
    • pp.341-346
    • /
    • 2015
  • 본 실험은 액중건조법을 이용해 레몬그라스 오일이 함유된 PCL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고 교반속도와 PCL, PVA의 농도 변화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PCL마이크로캡슐에 레몬그라스 오일의 함입은 FT-IR 분석에 의해 $1600cm^{-1}$$2900cm^{-1}$에서 특정 피크를 측정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의 크기와 형태는 광학현미경과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마이크로캡슐의 평균 입자크기가 교반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반속도(1500 rpm), PCL (1 wt%)과 PVA (1 wt%)의 농도로 제조하였을 때 가장 작은 입자가 형성됨을 확인하였고 PCL의 농도가 1.5 wt%일 때 레몬그라스의 포집효율이 77.5%이었고 PVA의 농도가 2 wt%일 때 포집효율이 69.8%이었다. UV-Vis 흡광광도법으로 방출 거동과 항산화 활성을 관찰하였다. 교반속도가 느리고 PCL의 농도가 0.5 wt%, PVA의 농도가 2.0 wt%일 때 방출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방출거동과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악기용 명주실 현의 화학가공 및 복합현의 제조 (Chemical Treatment and Manufacture by Silk Compound Yarn of Kayagum Strings)

  • 김영대;최태진;정인모;이지영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41-47
    • /
    • 2005
  • 1. 가야금 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야금 줄에 acrylic adhesive와 poly(vinyl alcohol)을 병용 처리한 결과 강려과 신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하중 70%에서 절단할때까지의 반복회수는 화학가공처리 현이 무 처리한 현보다 48% 향상되었으므로 현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으나 흡습율이 무처리 현보다 높았다. 2. 현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음량을 풍부하게 할 목적으로 생사와 polyester사의 혼합비율을 달리하면서 생사/폴리에스텔 복합현을 제조하고 물성을 조사한 결과 polyester사의 비율이 많아질수록 강력이 감소하였고 신도는 증가하여 가야금 줄로서 적당하지 않았으나 mono filament 사로서 강력이 우수한 polyester사를 사용하여 복합현을 만든 SSP 복합현의 경우 생사로 만든 현보다 강력이 우수하였다. 3. 새로운 현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생사(가잠사)와 작잠사와의 복합현을 제조하고 그 물성을 조사한 결과 가잠사/작잠사 복합현의 강력은 작잠사와 비율이 많아질수록 저하되었다.

조미김 포장을 위한 PET/PVA-BA/OPP 다층필름 제조 및 특성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T/PVA-BA/OPP Multi-layer Films for Seasoned-laver Packaging)

  • 임미진;김도완;서종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15
    • /
    • 2017
  • 수증기 및 산소에 대한 차단성이 개선된 PVA-BA 코팅 조성액의 포장소재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콤마 코팅과 라미네이션 공정을 이용하여 PET/PVA-BA/OPP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PCT 전 후의 PET/PVA-BA/OPP 다층필름의 기체, 수증기 차단특성 및 인장강도를 확인하였고 이를 PA/PA/EVOH/PP 다층필름의 물성과 비교하였다. PVA내 B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물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PCT 후 PET/PVA-BA/OPP 다층필름의 산소, 수증기 차단특성 및 인장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PVA-BA층 내 증가한 가교밀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조미김을 이용한 저장특성분석에서, PET/PVA-BA/OPP다층필름은 PP/Al-metallized PP 다층필름에 비해 조미김의 지방산화를 야기시키는 요인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PP/Al-metallized PP 다층필름에 비해 PET/PVA-BA/OPP 다층필름의 상대적으로 높은 수분투과특성 때문에 Aw에 큰 장점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물성 극대화 및 포장소재로 적용을 위해서는 PET/PVA-BA/OPP 다층필름 내 수분 차단성 향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석유증진회수에 적합한 나노 에멀젼의 제조 및 필터링 시험 분석 (Fabrication and Filtering Test of Nanoparticle-Stabilized Emulsion to be Suitable for Enhanced Oil Recovery)

  • 손한암;이근주;조장우;임경철;김진웅;김현태
    • 자원환경지질
    • /
    • 제46권1호
    • /
    • pp.51-61
    • /
    • 2013
  • 최근 나노기술을 이용한 석유증진회수기술은 미국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주로 다공성 매체 내 나노입자의 유동특성이나 나노 에멀젼 자체의 안정성 평가에만 중점을 두었으며, 다공성 매체 내 나노 에멀젼의 유동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나노 에멀젼과 공극의 크기 효과는 분석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석유증진회수기술에 적용 가능한 나노기반의 에멀젼을 제조하였으며,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다공성 매체 내 나노 에멀젼의 유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필터링 시험을 통해 나노 에멀젼의 크기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나노 에멀젼의 제조시 SCA(Silane Coupling Agent)나 PVA(poly Vinyl Aclohol)를 첨가하여 에멀젼을 제조할 때 안정성이 개선되며, 물에 비해 데칸의 비율이 높을수록 점성도가 높아지고, 액적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기압조건하에서 수행한 필터링 시험에서는 분리된 물이 주로 통과하고 액적은 통과하지 못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액적의 유동력이 필터에 작용하는 모세관압을 극복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흡입압력을 작용한 필터링시험에서는 $60{\mu}m$ 크기 이상의 필터에서는 대부분 액적이 통과 하였으나, $45{\mu}m$ 이하의 필터에서는 통과비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필터 공극 통과시 강한 전단응력에 의해 액적이 변형되거나 파괴되어 공극을 막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기본적인 나노 에멀젼의 특성 및 필터링 시험 결과는 향후 안정적인 나노 에멀젼 제조나, 다공성 매체 내 잔류오일 회수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