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cy-related resources

검색결과 521건 처리시간 0.03초

생물다양성보전을 위한 지적재산권의 역할 연구 - 유전자원과 전통지식 보호를 위한 특허법의 역할 중심으로 - (The Rol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Conserving Biological Diversity - Patent Law Treaty for Protecting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

  • 강길모;염재호;도성재;이미진;권석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1호
    • /
    • pp.43-53
    • /
    • 2007
  • Recently, controversy ov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protecting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has been emerging. Very active debates and global discussions are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or possible approaches to be taken for these properties, and for the fair and equal sharing of the benefits from these intellectual properties. There is a need to evaluate adopting a sui generis system which is being pushed by developing nations, or adopting a policy which will guaranteee benefit sharing such as sharing royalties from marketing final products, technical transfers, capacity building, and participating in research activities. Also,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the legal issues concerning genetic resources based on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for the fair and equal sharing of the benefits with developing nations, at the same time assuring developed nations of access to genetic resources.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수자원 정보 관리 방안에 관한 검토 (A Review on th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and Cloud Computing)

  • 김연수;강나래;정재원;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0-112
    • /
    • 2016
  • 최근 국내 외 수자원 정책의 방향은 전통적인 이 치수 부문과 함께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해 지속가능한 물 관리에 대한 필요가 강조되면서 수자원 정보의 수집, 관리 및 제공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과거 수자원 정보는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이미 정하고 거기에 맞도록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기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형 데이터뿐만 아니라 비정형 데이터를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도출할 수 있는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면서 수자원 정보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자원 정보 관리의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수자원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 및 이용을 위해 수자원 분야에서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적용 방안을 검토 및 제언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수자원 정보 관리의 현황과 방향을 살펴보고, 빅 데이터의 3대 요소인 크기(Volume), 속도(Velocity), 다양성(Variety)과 함께 추가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정확성(Veracity), 가치(Value)개념을 연계하였다.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증가하는 수자원 관련 빅 데이터와 수요자의 변화에 대해 신속하고 유연한 대처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앞으로의 수자원 정보 관리는 정보의 크기(Volume), 속도(Velocity), 다양성(Variety) 등의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적용을 통한 인명과 재산의 보호 등 공공의 목적, 물 관리 및 재난의 예방과 대응에 필요한 정확한(Veracity) 정보의 생산, 그리고 다른 분야와의 융합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수자원 정보의 가치(Value)를 높이는 방행으로 나아가야 한다.

국가능력에 기초한한 군사력 건설방향 (The Direction of Capability-based Military Build-up)

  • 이필중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8-109
    • /
    • 2001
  • Defense minister of the ROK, Kim Bong-sin suggested that the ROK′s military build-up policy will change from "scenario-based" to "capability-based". Entering the 1990s the ROK′s military build-up policy met difficulties to accomplish its goal, modernizing and strengthening of its force structure and weapon systems because of limited budget. The concept of capability-based military build-up could commit a fault in estimating total amount of defense resources required for force planing. This is because that the total amount of defense resources related to force plan for the 15 years is fixed to embody military strategy. The concept of capability-based military build-up plays a role as a constraint in choosing a military strategy. This has no connection with military build-up. Therefore the resources of mid-term military build-up program and scale of annual defense budget could be affected by the situations of its national economy. In this respect, the scale of annual defense budget and resources could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national economic condition, however, the total amount of resources required to build-up military force for 15 years, namely resources of military force planing requirement for 15 years, is given already for the accomplishment of military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direction of the ROK′s military build-up policy in a viewpoint of capability-based military build-up.

  • PDF

팬데믹을 경험한 사서들의 도서관 운영정책 중요도에 대한 인식변화 연구: N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of Librarians Perception in the Importance of Library Policy Before and After Pandemic: Focused on N City Public Libraries)

  • 박은경;심자영;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25-346
    • /
    • 2022
  • 뉴노멀 시대로 특징지어지는 현대사회가 COVID-19 팬데믹을 겪으면서 도서관에 많은 변화를 요구하였고, 도서관계는 이에 대하여 선제적으로 그리고 다각적으로 대응하였다. 본 연구는 팬데믹과 같은 새로운 환경이 사서들이 인식하는 도서관 운영정책 우선순위를 변화시킬 것이라고 보고, 2020년 팬데믹이 시작되는 시점과 2022년 팬데믹이 정점을 지난 시점에서 도서관 운영정책 중요도를 쌍대비교 분석을 통하여 파악하였고 그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도서관경영, 도서관 서비스 관련 운영정책 영역을 중요하게 여겼다면, 2차 조사에서는 인적자원과 정보자원에 관련된 운영정책 영역을 보다 중요하게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전체 영역 상위 5위에 인적자원과 관련된 3개의 세부 운영영역과 자료구입 예산, 이용자만족도 기반의 정책이 포함되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은 새로운 패러다임에 빠르게 적응하면서도 지속가능한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 충분하고도 다양한 형태의 정보자원 구축, 그리고 이용자 맞춤 정책 수립 등을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정책정보전문사서 양성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ining Plan of Policy Information Librarian)

  • 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7-5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정책관련 전문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정책정보전문사서에게 요구되는 자질, 자격, 직무 등을 도출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전문사서관련 문헌자료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였고, 또한 국내외 구인구직사이트에 제시하고 있는 정책정보전문사서의 자격, 자질, 직무 등을 분석하였으며, 이 과정을 통해 도출한 내용을 설문문항으로 개발하여 관련 분야 전문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책정보전문사서에게 요구되는 문헌정보학 학력은 문헌정보학 석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책관련 분야 학력도 석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책정보전문사서에게 요구되는 경력의 중요도에 대해서는 정책정보관련 참고서비스 제공 경험 및 경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소 6년 이상의 도서관 분야 경력 중 최소 2년 이상의 정책정보관련 분야 경력, 정책정보관련 교육 경험 및 경력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책정보전문사서에게 요구되는 자질의 중요도에 대해서는 뛰어난 정책정보관련 자료탐색 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책정보에 대한 지식 및 정책정보관련 자원에 대한 지식, 정책정보관련 분야의 현 트렌드에 대한 지식, 원활한 대인관계 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책정보전문사서가 수행해야 하는 역할 및 직무에 대한 조사에서는 정책정보서비스 기획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책정보서비스 제공, 정책정보 장서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생물자원의 관리와 정책 (An Introduction of Management and Policy of Biological Resources)

  • 조순로;설성수;박정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19-240
    • /
    • 2008
  • 본 연구는 새로운 국가자원인 생물자원에 대한 최근의 국제적인 이슈와 주요국의 정책의지 및 관리 체계 등을 살펴 본 것이다. 그렇지만 논의의 전개를 위해 생물자원과 관련된 이론적인 논의, 역사 등을 먼저 검토하였다. 생물자원과 관련된 최근의 이슈는 지적재산권, 보관과 배송의 안전과 관련된 국제규약의 강화, 생물자원의 생물학적 표준강화, 생물자원센터의 윤리문제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고는 생물자원정책의 방향, 체계 및 내용을 간단히 권고하였다. 특히 범부처적 차원에서의 생물자원의 관리와 확보를 위한 종합 조정과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PDF

경호·경비분야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대학 인적자원개발 - 경호관련학과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t universities for training of specialist in security industries - based on Departments related Security services -)

  • 권태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9-38
    • /
    • 2006
  • With rapid social change, security industries were diversified and universities related total security service were founded for training of specialist with a theory and practical affairs. Today, universities must provide an education which fits to job characteristics in rapidly changing society. Also students through this education must find their job proper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refore, are to search a career sele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total security service related departments and to study a role of universities for development of specialist related security industries. Revitalization plan of human resources for departments related security services are as follows ; roles of universities: a specialization of curriculum and a diversification of training method.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role of government: 'a legal and institutional policy on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Universities, cooperations, government must cooperate mutually for development of specialist related security service field.

  • PDF

국내 수자원 분야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지역 맞춤형 지하수자원 최적 운영 관리 방안 제시 (A proposal for regional customization and optimal operation manage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through analysis of water resources research trends in Korea)

  • 이재범;김진수;양정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spc1호
    • /
    • pp.743-75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지역 맞춤형 지하수자원 최적 운영 관리 방안 제시를 위하여 국내 수자원 분야 연구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자원 분야와 지하수 자원 분야에서 세부 분류 분야를 결정하였다. 수자원 및 지하수자원 관련 연구의 사례 및 동향 분석을 통해 장기 관측 가능 실증 연구 부지의 확충, 공간 단위 위주의 수자원 평가, 법률 및 조례의 유역 특성 미반영 등 세 가지 개선 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지하수자원 관리 정책 입안자 집단으로 하여금 연구 현장에서 요구 사항을 파악할 수 있고, 이후 지하수자원 관리 정책 결정 시 정책적 판단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Housing Policy Capacity and Indonesia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 SURURI, Ahmad
    • 웰빙융합연구
    • /
    • 제5권4호
    • /
    • pp.11-1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discusses how Indonesia's response to the Corona Virus Disease-19 pandemic based on the perspective of housing policy capacity which consists of resources, organizations, and networks, politics, systems, and fin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metho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Data collection techniques were carried out by searching various sources and literature related to housing capacity theory and various data on Indonesia's response to the Covid 19 pandemic.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adapted and modified the five components of capacity, namely resource capacity, organizational and network capacity, political capacity, system capacity and financial capacity in Indonesia in responding to the Covid-19 pandemic. Data analysis used analytical themes which consist of understanding the data, generating initial codes, looking for themes, reviewing themes, defining and naming themes, producing of manuscript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weakness of the system capacity greatly affects Indonesia's housing policy capacity in responding to the Covid-19 pandemic and on the other hand the five housing capacities are an integrated process within the housing policy framework in Indonesia, especially to overcome the Covid-19 pandemic.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importance of building a system capacity that is directly integrated with housing policy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resources capacity, organizations, and networks, politics, and finance in the context of Indonesia's housing policy, especially in dealing with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