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cy Research School

검색결과 2,899건 처리시간 0.032초

멸균품의 유효기간에 관한 연구 - 포장재와 보관환경 중심으로 - (A Study for Safe Storage Time for In-house Sterilized Products in a Korean Hospital)

  • 윤계숙;김정희;양신해;채지연;이영미;조경숙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58-276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justify the "prescribed shelf life" currently used in Samsung Medical Center and give recommendations based on scientific data to adopt for safe and cost-effective storage times for sterile goods Since the early 1970's, predetermined expiration dating policy has been used in Korea on all in-house sterilized products like any other countries; six months for the supplies wrapped in polyethylene peel pouches and two weeks for the rest. Recently, however, the studies suggest that current standards for preserving the sterility can be changing. It looks like we unnecessarily have too-short expiration date of sterilized supplies, that is far from being cost effective. Certainly, this research is an exciting project, especially in Korea, and will be leading and contributing to the paradigm shift of the conservative concept of shelf life for sterile supplies in Korean healthcare facilities.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was placed on the measurement of the recontamination time in packs wrapped in all kinds of wrapping materials used in S.M.C and stored in various conditions for periods ranging from three months to six months, and then develop a practical standard of "shelf life" based on the analyzed data. Objectives: To measure and compare the recontamination time of sterile packs among wrapppers and storage conditions, and develop a practical standard for the shelf life and storage conditions of sterile products. Samples and Method: The sterile integrity was investigated of the total 1,440 sterile sample packs containing gauze strip($1.5cm{\times}0.5cm$) we prepared and wrapped in nine wrapping materials (randomized reprocessed linens, linens reprocessed 99 times, linens reprocessed 120 times, new kraft paper, used kraft paper, new nonwoven fabrics, 6-time reprocessed nonwoven fabrics, new polyethylene peel pouches, used polyethylene peel pouches), and stored in four locations(closed cabinet of one of the typical wards, open shelf of one of ICUs, open shelf of separate storage room in ER, open shelf in OR), for three to six months, respectively in 1998. Each type of packs were opened weekly and the gauze strips inoculated into Brewer's thioglycollate broth at $35^{\circ}C$ for seven days. Results: There was no growth found for any types of the pack and storage conditions studied. Discus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he current shelf life for sterile goods we use in a sense of cost effectiveness. The findings suggest that we could extend our expiration dates, that means we can save a lot of materials and personnel time meeded for resterilizing, outdating, recleaning, wrapping, and reshelving. Then it will initiate a great reform in the field of healthcare in Korea, and now we are looking forward to this valuable revolution. We are going to continue this study and take all steps need to apply this new concept to our practice, and then trying to extend to other hospitals.

  • PDF

지역창조화 요인이 지역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gional Creativity Factors on Regional Growths)

  • 마윤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28-237
    • /
    • 2018
  • 본 연구는 선행연구로부터 지역창조화 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우리나라 15개 시 도의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의 지역창조화 균형패널자료를 구축하여 패널회귀분석법을 통해 지역창조화와 지역성장과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창조화 요인 중 기초자산 부문의 창조인력과 무형자산 영역, 경제주체 부문의 창조기업 영역, 지역공간 부문의 창조적 지역환경 영역, 핵심산업 부문의 융합산업과 창조산업은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지역내총생산)와 의미있는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조직화 부문은 하위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GRDP와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둘째, 지역창조화 요인 중 기초자산 부문의 창조인력과 조직화 부문의 창업과 기업가 정신 영역, 경제주체 부문의 창조기업 영역, 지역공간 부문, 핵심산업 부문의 융합산업 영역은 고용율과 의미있는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기초자산 부문의 유형 무형 창조자산 영역, 조직화 부문의 융합경영과 융합행정, 경제주체 부문의 대 중견 중소기업과 중앙정부 및 지자체 영역, 핵심산업 부문의 창조산업 영역은 고용율과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창조화를 위한 현황을 진단하고, 추진과정과 장단기성과를 점검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중앙정부의 지방자치와 분권강화 정책을 견인할 수 있는 기초수단이 될 것이다.

부산지역 아동센터 복지교사의 직업인식 (Vocation Recognition of the Welfare Teachers Dispatched to the Region Children Centers in Busan)

  • 허재영;양해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11-226
    • /
    • 2008
  • 본 논문은 지역아동센터 파견 아동복지교사의 직무 만족도 및 적성/직업 인식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보다 나은 아동복지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파견 아동복지교사 직무만족도의 인식차이는 성별에 따라서는 상사와의 관계(p<.01), 파견 아동복지교사직에 대한 만족(p<.01), 제공지식정보에 대한 만족(p<.05) 및 전체적인 파견 아동복지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해서 유의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적성 및 직업인식도에 대한 인식조사결과, 보다 나은 직장을 얻기 위하여 현재 노력하는지 여부는 학력에 따라서 다소 유의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파견 아동복지교사에 대한 긍지는 현재의 직업에 뚜렷한 사명감과 목표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의견은 27.5%로 나타나 파견 아동복지교사에 대해서는 학생교육을 통한 즐거움과 보람을 통하여 긍지를 느끼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아동지도프로그램 운영상 어려움은 교육교재부족과 설비부족, 부모님의 참여와 이해부족을 가장 문제점으로 인식하였다.

마을미디어 실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마을미디어 활동에 대한 근거이론을 통한 분석 (Exploratory Research about Maeul Community Media Practice Grounded Theory Based Analysis about Seoul Community Media Practice)

  • 이희랑;김희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1권
    • /
    • pp.75-121
    • /
    • 2017
  • 마을미디어는 미디어교육이 마을공동체 운동과 결합하는 방식을 통해서 등장하고 있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미디어 활동이다. 2012년 서울시의 지원 정책과 함께 등장하여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본 연구는 마을미디어 활동가들의 실천 과정을 이해하고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 근거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2012년부터 지속적으로 활동해온 영상 및 라디오 분야 활동가를 연구 참여자로 설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근거이론에 따라서 개방코딩한 결과 16개의 범주와 59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축코딩 결과 지속가능한 마을미디어 활동 욕구라는 중심 현상을 발견하였으며, 마을 채널의 부재와 공적 지원의 불안정한 정황에서도 운영의 안정화와 마을미디어네트워크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스페이스미디어 발명, 다각적 배급방법 모색, 네트워크 공동행동의 전략적 실천을 하고 있으며 그 결과 마을의 현안을 발굴하고 의제화하면서 마을공동체와 시민사회와 네트워크됨으로써 마을의 공론장 역할에 대한 기대와 욕구가 한층 더 커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미얀마에서의 모바일기기 특성이 모바일 뱅킹 서비스 사용의도와 실제 사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 of Mobile Devices on the Use Intention and Use of Mobile Banking Service in Myanmar)

  • ;황기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71-82
    • /
    • 2017
  • 오늘날 미얀마의 은행들은 휴대전화를 통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금융업계가 고객 관점에서 모바일 서비스를 설계하는데 유용한 요인들을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UTAUT와 DeLone-Mclean IS 모델을 결합하여 모바일 금융 서비스 이용자의 사용 의도와 실제 사용 정도를 예측하는 개념적 연구모델을 제안하고 테스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데이터는 미얀마의 여러 지역에서 모바일 뱅킹을 경험한 206명의 시민들로부터 수집되었다. 본 연구는 성과 기대치, 노력 기대치, 정보 품질 및 서비스 품질이 사용자의 모바일 뱅킹 채택 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어서 사용자의 모바일 뱅킹 채택 의도는 실제 사용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러나 사회적 영향, 촉진 조건 및 시스템 품질은 모바일 뱅킹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 연구 결과는 미얀마의 모바일 뱅킹 업계가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고객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하며, 아울러 기술 향상, 조직 인프라 및 서비스 센터와 같은 필요한 자원을 원활하게 제공할 것을 시사점으로 제안한다. 모바일 금융 서비스 제공 업체가 고객의 믿음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서비스의 보안 및 신뢰 요인을 포함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온라인 게임 플레이영상의 이용자에 따른 색채 특성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Color characteristic of On-line of Game Play Image of according to the Users)

  • 장현주;정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399-404
    • /
    • 2017
  • 게임 이미지가 연령에 적합하지 않은 색채를 사용할 경우 게임의 특성이 사라지고 이미지표출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유저는 게임에서 선호하는 색을 먼저 지각하여 게임을 선택하고 호기심 또한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색채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가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게임 이미지의 색이 이용자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 연구하였다. 이용자 구분은 전체 이용자와 18세이상 이용자로 구분하며, 게임인기순위에서 전체이용가와 청소년이용불가 등급의 각 10개 게임의 게임플레이영상을 스냅샷으로 각각100장의 이미지, 총 2000장을 추출하여 각 게임의 RGB와 HSB의 평균값을 구하고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두 이용자 간의 RGB색채 값이 확실하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색채 심리를 이용한 심리치료 게임이나 감성 게임 등을 개발 시 색채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나아가 색 이미지 스케일 등을 이용하여 색을 형용사로 표현하고 더 다양한 방법으로 색채특성을 분석하고자 하며, 나라별 게임 이미지의 색채의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제조 역량과 시험 및 검사 역량이 중소벤처기업의 외부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과 기술 사업화 역량 사이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 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anufacturing Capability and the Testing and Inspection Cap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Small and Medium Venture Firms' External Information Network Heterogene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 허용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233-241
    • /
    • 2017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기술 사업화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의 흐름을 다양화하기 위해 중소벤처 기업의 제조 역량과 시험 및 검사 역량이 외부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과 기술 사업화 역량 사이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IBM SPSS 23을 사용하여 한국의 683개 중소벤처기업에 대해 실시한 최소자승 회귀분석, Sobel 검정과 Baron 및 Kenny 검정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제조 역량과 시험 및 검사 역량의 역할에 대한 후속 연구에 유용한 세 가지 실증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첫째, 중소벤처기업의 제조 역량은 중소벤처기업의 외부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기술 사업화 역량에 미치는 양(+)의 효과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중소벤처기업의 시험 및 검사 역량은 이러한 양(+)의 효과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중소기업의 제조 역량과 시험 및 검사 역량은 이러한 양(+)의 효과를 공동으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대학생들의 펨버타이징(femvertising) 관점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연구 (College Students' Perspectives on Femvertising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 엄남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501-513
    • /
    • 2020
  • 펨버타이징 캠페인은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최근에 국내에 있는 글로벌 기업뿐만 아니라 여성 소비재 로컬 기업들도 펨버타이징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펨버타이징에 대한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라는 방법론을 통해 국내 대학생들의 펨버타이징에 대한 이해, 태도 및 효과에 대해 살펴 보고자 했다. 본 연구결과,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펨버타이징에 대한 인지도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펨버타이징 내용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펨버타이징이 여성 평등 및 여권신장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펨버타이징이 사회적 분위기에 편승해 페미니즘을 상업적으로 이용한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여성 및 남성 참여자들 모두 펨버타이징이 광고 태도 및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 올 수 있다고 밝혔지만,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는 다소 회의적으로 밝혔다. 마지막으로, 여성 참여자들은 펨버타이징이 일반 광고들 보다 광고 태도 및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은 물론 페미니즘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힌 반면 남성 참여자들은 남혐 및 여혐이라는 '이성혐오'라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여성과 남성의 갈등을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변인의 종단적 추이 분석 (A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s' self-esteem and its related variables)

  • 박미정;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67-84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삶의 만족도, 성취가치, 또래애착, 교사와의 관계)을 실증적이고 종단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KCYPS) 데이터 중에서 중1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중학교 1학년,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시기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초통계분석, 반복측정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성취가치, 또래애착, 교사와의 관계의 수준이 각 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달랐다. 둘째, 중학교 1학년,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시기의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성취가치, 또래애착, 교사와의 관계가 성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또래애착, 교사와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성취가치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은 삶의 만족도, 또래애착, 성취가치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의 경우 중1(${\beta}=.57$), 중3(${\beta}=.48$), 고2(${\beta}=.47$)로 모든 시기에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또래애착도 중1(${\beta}=.15$), 중3(${\beta}=.19$), 고2(${\beta}=.19$) 시기에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다. 성취가치는 고2(${\beta}=.12$) 시기에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다. 즉, 모든 시기에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았으며, 고2 시기에는 성취가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아졌다.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변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삶의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고 있으며, 또래애착이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고 있다. 이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해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또래애착을 형성하는 수업과 활동이 보다 많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민간정원'의 현황 및 특성 분석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rivate Gardens' in South Korea)

  • 조성아;성종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129-138
    • /
    • 2019
  • 개인의 정원을 대중에게 오픈하게끔 장려하는 법률상 개념인 '민간정원'은 2015년 관련법이 지정된 이후 2019년 11월, 25개의 민간정원이 산림청에 등록되어 있다. 정원문화 확산 및 장려라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제도이지만, 그 정확한 성격 및 역할이나 지정요건 등에 대해 충분한 공론을 거친 것은 아닌 상태이다. 본 연구는 현재 전국에 지정되어 있는 민간정원 25개소의 현황 실태 분석을 통해 민간정원이 갖고 있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민간정원의 지역적 분포에서 남부지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이는 자연적, 기후적 조건의 영향이었다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그 외에도 해당 지자체의 정책기조, 담당공무원의 재량 등의 영향으로 좌우되기도 하였다. 또, 민간정원에 속하는 정원은 거의 현대에 만들어진 정원들이 많았고, 유일하게 1개소가 조선시대부터 내려온 고택정원이었다. 민간정원 소유자들은 50~80대로, 처음에는 정원이 좋아서 시작했다가 커진 정원의 관리를 감당하기 어려워 경제적 지원에 대한 기대감으로 민간정원을 통한 외부 개방을 하거나 지역활성화에 의지가 있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정원 이외의 수익시설로 이윤을 창출하기도 하였는데, 일부는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정원문화 확산을 도모했다. 향후 지속가능한 민간정원 제도를 위해서는 등록 기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고, 지역 내에서 수행할 뚜렷한 역할 정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관리 및 마케팅을 위한 차후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아직 체계화 되지 않은 민간정원 제도에 대한 기초연구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