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ce Organization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7초

학습조직 구축을 위한 경찰의 첨단기술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inted Technology Application of Police for Building the Learning Organization)

  • 정덕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109-116
    • /
    • 2006
  • 이 연구는 한국의 경찰관 841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말콰드의 학습조직이론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23개의 경찰서와 경찰종합학교에서 설문을 수집하였고, 경찰서의 규모와 지역, 계급과 경과를 고려하여 표본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학습조직의 하위체계인 첨단기술의 활용이 학습조직이 실현되는 학습의 역동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검증되었다. 경찰 학습조직을 구축하기 위해서 경찰관리자가 첨단기술의 활용능력을 향상시켜 경찰조직을 학습조직으로 만들어야 한다. 학습조직이 되면 경찰관들은 문제해결을 위해 보다 넓은 분야에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런 발전이 있어야 경찰활동을 잘 수행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amily-Friendly Program on Organizational Life and Job Commitment and Performance -Focusing on police officer organization-

  • Lee, Won-Hee;Eum, Seung-Sub;Kim, Woo-Hee;Lee, Yong-J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71-178
    • /
    • 2017
  • Investigations into family-friendly company culture have been carried out for various companies and conglomerates. But there has never been such investigation for police organization, so this investigation is intended to see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culture that makes use of family-friendly program for the police organization. To this end, how the internal factors of family-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affects organization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is empirically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it is found that family-friendly program has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life and welfare, and the welfare, in return, i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경찰관리자의 리더십 행동유형이 경찰관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Leadership Type of Police Manager on Working Attitude of Policeman)

  • 이상원
    • 시큐리티연구
    • /
    • 제8호
    • /
    • pp.257-280
    • /
    • 2004
  • This study has purpose on revealing with corroborative evidence how police manager's leadership type effects on working attitude of policeman. This study is composed of the introduction in the first chapter, theological consideration of leadership and working attitude in the second chapter, research plan and analysis in the third chapter and finally the conclusion in the fourth chapter. For the political suggestion, the program's operated by police organization can be altered its efficiency by organizing groups applying what kind of leadership to how it wed. Considering to its characteristic of police organization, the leadership is not only important factor effecting on outcome of organization but also core activity achieving the goal of organization to police manager.

  • PDF

유럽의 국가간 경찰협력기구의 범죄정보시스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riminal Information System of Police Cooperation Organization between European Nations)

  • 김영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63-271
    • /
    • 2008
  • 본 논문은 유럽의 국가간 경찰협력기구의 범죄정보시스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유럽의 국가간 경찰협력기구는 냉전 시대 유럽 전역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던 국제테러와 국제조직범죄, 마약범죄, 불법이민 및 기타 중대한 범죄에 대해 지역 내 국가들의 공동대응 목적으로, 1995년 7월 26일 유로폴 협약의 서명과 1998년 10월 1일 동 조약의 발효로 탄생된 조직이다. 동 조직은 탄생 초기부터 과거 국제형사경찰기구(Interpol)의 업무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범죄정보시스템을 구축하였는데, 이는 정보시스템과 업무파일, 색인시스템으로 구성되어, 각 국의 National Unit 또는 다른 법 집행기관간의 직접적이고도 신속한 처리를 통해서 정보의 수집, 교환 및 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CMS와의 통합, 사이버범죄 대응체제의 구축, 생체인식데이터베이스의 도입 등 급변하는 시대에 발맞춘 변화도 추구하고 있다. 이처럼 유로폴의 범죄정보시스템은 현재 유럽지역에서 국제범죄의 예방과 진압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은 물론, 정보화 시대에 발맞춘 국가 간 경찰협력시스템에의 중요한 함의가 되고 있다.

  • PDF

인트라넷기반의 경찰지식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c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IntraNet)

  • 최응렬;임재강
    • 시큐리티연구
    • /
    • 제3호
    • /
    • pp.273-305
    • /
    • 2000
  • The knowledge substitutes the traditional factors of production - land, labor, and capital - and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new resources. The Internet Knowledge Society is where the knowledge is the major source of development and competition. Now more than 350mi11ion computers are connected to internet servers and the internet users are more than 250mi11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some key factors for implementing the Police Knowledge Management System(PKMS) based on Intranet. With Information Technology(IT), the police administrative system will be much more efficient. Introducing the If into the system is critical for restructuring the police administrative system. This paper concludes as follows : ■ Knowledge is divided into tacit and explicit one. Knowledge process is divided into acquisition, accumulation, distribution and creation of knowledge. ■ The IntraNet is composed of Web server, FTP server, electric-mail server, and is constructed security system to safety. ■ All policemen are bound to serve as a new knowledge worker. ■ Police organization needs to operate data management system. The organization also needs to the Police Knowledge Management Center(PKMC). And the Police Chief Knowledge Officers(PCKO) needs to be appointed to manage the PKMC. ■ An information and knowledge infrastructure(various database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should be established within the organization to promote the self-directed management,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the learning ability of the members.

  • PDF

해양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에 관한 인식차이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ognition Difference of Maritime Polices' Organization Culture)

  • 김종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11-517
    • /
    • 2013
  • 해양경찰조직을 지배하는 각종의 조직문화들은 이를 인식하는 해양경찰관이 조직구성원으로서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가 있고, 나아가 해양경찰활동의 역할과 치안활동을 결정지을 수가 있다. 이에 해양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는 전반적인 주류를 형성하는 문화가 나타날 수가 있고, 특정 개인이나 집단이 향유하고 공감하는 조직의 하위문화가 나타날 수가 있다. 이러한 해양경찰조직문화의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가 있는바 일반적인 조직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집단문화(Group Culture), 위계문화(Hierarchy Culture), 발전문화(Development Culture), 합리문화(Rational Culture)에 대한 인식차이를 살펴보았다. 해양경찰관들의 일반적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라 위계문화와 합리문화에서 20대 연령층의 해양경찰공무원들의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계급에 따라 위계문화와 발전문화, 합리문화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계문화에 있어서는 경장 계급, 발전문화와 합리문화의 경우 경감 계급이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입직경로별 조직문화의 인식차이 분석결과 집단문화에서만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특별채용으로 입직한 해양경찰공무원의 집단문화 경향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신임 경찰공무원의 채용절차상 적격성 검증 강화방안 (Police Officer's Verification Strengthening Device on New Appointment Procedure)

  • 김정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139-147
    • /
    • 2007
  • 경찰은 거대한 직업공무원 조직인 만큼 신규채용의 규모 또한 크다. 1999년의 경우에는 공무원 집단에서는 이례적으로 한 해 동안 7,801명을 신규임용 하기도 하였다. 신규채용이 조직관리에서 갖는 의미는 과거보다 증대되고 있다. 지식기반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개인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경찰은 그간 신규채용시 적격성이 높은 자원의 선발을 위해 노력하여왔다. 그간 여러 차례 채용제도를 개정한 것도 이를 위해서였다. 그러나 아직도 경찰공무원 채용절차에는 개선의 여지가 많이 남아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전의경 제도의 폐지에 따른 경찰공무원 정원의 높은 증가를 앞둔 현 시점에서 적격성을 갖춘 자들을 신규채용하기 위한 방안들과 관련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직업공무원제의 인사원칙상 채용이후 해임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 중요성은 더욱 가중된다. 최근 경찰입직자의 인구사회적 특성을 분석하면 과거에 비해 고학력자 등 외형적인 수준은 과거에 보다 높아졌다. 채용 경쟁률도 해를 거듭 할수록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고학력화가 급속히 진전되어 높은 학력자가 우수자원이라는 등식이 깨진지 오래이며, 높은 경쟁률을 통해 선발된 자들도 절대적 우수 자원이라고 단언하는 것도 무리가 따른다. 본문에서는 경찰공무원 신규임용 절차의 내실화를 통한 적격자 선발방안을 채용시험과 시보 및 정규임용심사 단계의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한국경찰의 개방형임용제 도입가능성에 대한 검토 (Review on Introduction Possibility of Open Position System in Korea Police)

  • 조현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97-407
    • /
    • 2011
  • 개방형 직위제도는 기존의 계급 및 계층제 중심의 조직관리 형식에서 탈피하여 직무수행의 성격에 따라 직위에 대한 적합한 직무수행요건을 충족하는 외부인사를 활용하는 제도로서 일종의 직무중심의 직위분류제적 성격을 내포하는 제도이다. 1999년부터 정부부처의 1-3급 고위공무원을 임용하고 있으며 그 활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경찰과 같이 직무의 성격이 타 공직조직과 달리 특수한 환경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개방형직위제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다. 경찰조직에서는 책임운영기관인 운전면허시검관리단, 경찰청 감사관, 경찰병원장 등을 개방형 직위제로 운영하고 있을 뿐이다. 이와 관련하여 개방형직위제도의 장점을 경찰조직에서 더욱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경찰의 수사권 현실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ependence of Investigation Authority in Korean Police)

  • 이상원
    • 시큐리티연구
    • /
    • 제4호
    • /
    • pp.219-255
    • /
    • 2001
  • An independence of investigation authority of police is a long desire of Korean police. This study examines a theoretical dispute of the police and the prosecution, their duties and investigation organization with the subject of an independence of investigation authority in Korean polic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oblem of investigation system of police and devices of an independence of the police investigation authority.

  • PDF

민간영역과의 공조에 의한 경비경찰 효율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cy of security police through cooperation with private sector)

  • 김진혁
    • 시큐리티연구
    • /
    • 제20호
    • /
    • pp.119-140
    • /
    • 2009
  • 국가와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경비경찰 작용은 인류가 공동체를 이루기 시작할 때부터 존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경비작용은 처음부터 국가가 전담했다기 보다는 오랜기간 민간영역에서 자율적으로 수행되어 오다가 국가체제가 견고해 짐에 따라 공적영역이 그 기능을 흡수하게 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위험이 상존하는 현대사회에서는 공경찰만으로는 사회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게 되었고, 때문에 민간영역과의 공조는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사안이다. 공경찰의 한계 속에서 경비업체와 일반시민들의 자율조직은 확장을 계속하고 있다. 때문에 이들은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삼각대로서 파트너쉽을 발휘해야만 한다. 경비경찰은 다양한 업무와 과도한 동원에도 불구하고 경비전담인력이 확보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전문성과 위기대처능력이 문제시되고 있다. 특히 전방위로 펼쳐지는 국제테러의 시대에 경비경찰의 효율화는 더욱 시급한 문제이다. 민간영역은 경비업체와 민간자율조직의 참여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경비업체의 경우 양적인 팽창, 다양한 업무로의 진출 등 외형상의 급성장에 비하여 경비원의 자질과 업무능력의 문제가 대두된다. 순수민간활동에 있어서는 공경찰활동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과 항시적 조직적 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필요가 제기된다.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공동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려면 공경찰영역에서는 채용방법의 변화, 경비경과 신설, 전문성 및 위기관리능력 강화가 필요하다. 경비업체의 경우 공경찰과의 공동교육을 통한 관계개선과 업무능력 강화 및 이를 통한 업무공조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 순수민간영역의 활동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예비경찰대 창설 및 이들 민간자율조직에 대한 관리와 대시민 홍보를 강화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