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ar Filament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초

In vitro에서 Thelohanellus kitauei 포자의 운명에 관한 지견보유 (Supplemental knowledge on survival of Thelohanellus kitauei spores in vitro)

  • 이재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1호
    • /
    • pp.57-60
    • /
    • 1994
  • Thelohanellus kitauei 포자의 운명을 조사하기 위하여 in vitro에서 극사탈출률을 경시적으로 조사하였다. 포자를 0.45% 및 0.9%식염수, 증류수 그리고 Tyrode액에 현탁시켜 $-70^{\circ}C$에 냉동하여 장기간 보존한 바 거의 모든 포자의 활성은 최초 냉동후 1.750일 째까지 초기와 거의 같았다. 0.45% 및 0.9%식염수 그리고 증류수에 현탁시켜 $5^{\circ}C$에 보존한 포자는 각각 1,628일, 1,614일 그리고 1,721일, 항생제를 첨가한 위의 현탁액에서는 각각 1,628일, 1.614일 그리고 1,714일에 모든 포자가 사멸하였다. 한편, Tyrode액에 현탁시킨 것은 모두 235일에 모든 포자가 사멸하였다.

  • PDF

Ceratomyxa oplegnathus n. sp. from the gallbladder of cultured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 김기홍;조재범;권세련;이은혜;김천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9-117
    • /
    • 2006
  • A new myxosporean species Ceratomyxa oplegnathus n. sp. was found from the gallbladder of cultured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Mature spores were 44.14 ± 2.41 (39.04-48.41) ㎛ in length, 8.52 ± 0.36 (7.9-9.26) ㎛ in width in sutural view. Spores contained two spherical polar capsules measuring 3.04 ± 0.2 (2.71-3.37) ㎛ in diameter and a binucleated sporoplasm. Each polar capsule had a 5-6 coiled polar filament, and was situated near the sutural line. In ultrastructural observation, asynchronous divisions of generative cells without pansporoblast formation gave arise to 2 spores within a trophozoite. Sporoplasmic cell in the sporoblast was binucleated, and capsulogenic cells had large amounts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external tubules, and capsular primordia.

가잠(家蠶)으로부터 분리(分離)된 새로운 Microsporidia S80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New Microsporidia S80 Isolated from Silkworm, Bombyx mori L. in Korea)

  • 임종성;조세연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권
    • /
    • pp.67-83
    • /
    • 1983
  • 1980년(年) 한국(韓國)에서 발견(發見)된 Microsporidia S 80은 포자(胞子)의 길이가 $2.9{\pm}0.28{\mu}$ 폭(幅)이 $1.7{\pm}0.29{\mu}$으로 난원형(卵圓形)인데 그 크기가 형태(形態)로 보아 누에에 기생(寄生)하는 Microsporidia로서 지금까지 한국(韓國)이나 일본(日本)에서 알려진 것 들과는 다른 것이다. 과산화수소(過酸化水素) 원액(原液)으로 처리(處理)하였을때에 추출(抽出)된 극사(極絲)의 길이는 평균(平均) $26{\mu}$이었고 극사(極絲)의 선단(先端)에서 둥근 모양의 sporoplasm이 돌출(突出)되어 있는 것이 관찰(觀察)되었다. 한편 포자(胞子)는 Giemsa, Safranin-O, Gram 등(等)의 염색(染色)에서 부분적(部分的)으로 염색(染色)되는 특징(特徵)이 나타났으며,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한 포자(胞子)의 미세구조(微細構造)는 제일 바깥 부분(部分)이 전자밀도(電子密度)가 높고 요철(凹凸)이 있는 얇은 exospore로 둘러싸여 있고 그 안쪽에는 투명(透明)하고 두꺼운 endospore가 있는데 endospor는 포자(胞子)의 정단부(頂端部)가 다른 부위(部位)보다 상당히 얇은데 이곳으로 극사(極絲)가 추출(抽出)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endospore와 cytoplasm과의 경계부(境界部)에는 세포질(細胞質)을 싸고 있는 한층(層)의 한계막(限界膜)인 inner limitting layer가 있다. 세포질(細胞質)의 전단부(前端部)에는 polar cap이 있고 그 밑에는 lamellar 구조(構造)의 발달(發達)된 polaroplast가 있으며 polaroplast의 후부(後部)는 vesiculate part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polar filament는 anchoring disc인 polar cap에서 곧게 뻗어 나아가다가 포자(胞子)의 내벽(內壁)을 따라 돌면서 용수철 처럼 말려 있는데 polar filament의 coiled part 중앙(中央)에 2중막(重膜)에 싸여진 전자밀도(電子密度)가 높은 후형질(厚形質)로된 2핵(核)이 인접(隣接)하여 있으며 포자(胞子)의 부단부(部端部)에는 posterior vacuole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포자(胞子)의 크기와 형태(形態) 및 미세구조(微細構造)로 보아 Microsporidia인 것을 확인(確認)할 수 있으며 분류학(分類學) 상(上)의 위치(位置)는 Microsporea 강(綱), Microsporidia 일(日)에 소속(所屬)시킬 수 있고 아목(亞目) 및 속(屬)을 규명(糾明)하기 위(爲)해서는 그 생활사(生活史)가 밝혀져야 한다. Mcrosporidia S80을 2령(齡) 기잠(起蠶)에 경구접종(經口接種)한 경우(境遇)의 LD50은 $7.1{\times}10^7/ml$로서 $1.2{\times}10^7/ml$인 Nosema bombycis와 비교(比較)할때 병원성(病原性)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발생지역(發生地域)이 경기도(京畿道)를 중심(中心)으로 인접지역(隣接地域)인 강원(江原), 충북(忠北) 충남(忠南) 및 전남(全南)에서도 발생(發生)되고 있는 점(點)과 4령기(齡期) 접종시(接種時) 전견중(全繭重)과 견층중(繭層重)에 나쁜 영향(影響)을 미칠뿐 아니라 화아비율(化蛾比率)이 낮고, 감염(感染)된 모아(母蛾)는 물론 감염(感染)된 웅아(雄蛾)와 교미(交尾)한 모아(母蛾)에서도 산란불능아(産卵不能蛾)가 발생(發生)하거나 산란수(産卵數)가 건전구(健全區)에 비(比)하여 떨어지는 동시(同時)에 부수정란(不受精卵) 비율(比率)도 높은 것으로 볼 때 사견양잠(絲繭養蠶)은 물론 종견양잠(種繭養蠶)에 있어서도 피해(被害)를 입고 있을 것으로 본다. 감염모아(感染母蛾) 21마리에서 얻은 차대잠(次代蠶)의 검사결과(檢査結果) 경란전달(徑卵傳達)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혹시 경란전달(徑卵傳達)이 된다고 해도 그 빈도(頻度)는 매우 낮을 것이며 1/21 미만(未滿)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온도 구배가 있는 미세유체 장치를 이용한 극지 미생물의 형태 변화 분석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nge of Polar Bacterium using Microfluidic Device with Temperature Gradient)

  • 정성근;박애리;정헌호;홍순규;이창수
    • KSBB Journal
    • /
    • 제29권4호
    • /
    • pp.278-284
    • /
    • 2014
  • We present microfluidic method to rapidly analyze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change of morphologies of Antarctic bacteria (Pseudoalteromonas sp., Shewanella vesiculosa, Shewanella sp., and Cellulophaga sp.). The microfluidic device is able to generate stable temperature gradient from 7 to$40^{\circ}C$ and dramatically reduce the number of experiments, experimental cost and labor, and amount of sample. Based on this approach, we found that specific bacteria transforming morphology into filament or elongated body strongly depends on cultivation temperature. Interestingly, we found that the morphologies of Pseudoalteromonas sp., Shewanella vesiculosa, Shewanella sp., and Cellulophaga sp. are elongated at below $25^{\circ}C$, above $20^{\circ}C$, above $15^{\circ}C$ and above $35^{\circ}C$, respectively. We envision the microfluidic device is a useful approach to analyze biological events with a high throughput manner.

Myxobolus episquamalis (Myxosporea: Myxobolidae) on the scales of wild mullet, Mugil cephalus L, in Korea

  • 조재범;허민도;김기홍;권세련;이무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6
    • /
    • 2006
  • Numerous large whitish cysts were found on the scale of wild mullet, Mugil cephalus captured in Jin-Hae bay of southern coastal sea of Korea. The cyst consisted of many trophozoites, mature spores and interstitial tissues of host origin. Spores were 8.25 ㎛ (7.26-9.35) in length, 6.3 ㎛ (5.63-6.78) in width, 4.34 ㎛ (3.96-5.04) in thickness. Polar capsules were 4.45㎛ (3.8-5.4) in length and 2.35 ㎛ (1.62-2.86) in width, and the length of polar filament was about 39.57 ㎛ (26.3-56.33). Based on the spore morphology and the host & tissue specificity, the present specimens were identified as Myxobolus episquamalis Egusa, Maeno & Sorimachi, 1990. Deformation of bony plate of the scales an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were observed in the histological sections.

First report of gill thelohanellosis from common carp (Cyprinus carpio) fingerling in Korea

  • Mariem BESSAID;Ki Hong Kim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95-401
    • /
    • 2023
  • Myxosporeans are widespread cnidarian endoparasites in marine and freshwater ecosystems and several species were reported to be a threat to cultured fish causing serious diseases with mass mortality.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a myxosporean species in the genus Thelohanellus from the gills of the cultured common carp (Cyprinus carpio) fingerling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morphological observation showed 500 ㎛ ~ 1 mm size, oval to circular shaped plasmodia containing spores which are pyriform at the anterior end and round at the posterior end (average size 20.1 ㎛ × 9.1 ㎛), with 5 to 6 turns of a single polar filament located in the polar capsule with an average size of 10 ㎛ × 4.6 ㎛. The 18S rRNA sequence was closest to the sequence of T. wangi among Thelohanellus species infecting gills but was not completely identical.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analysis results, we classified the present myxosporean parasite as Thelohanellus sp., temporarily. The prevalence and infection intensity of Thelohanellus sp. in the common carp fingerling were very high, which was thought to be the main cause of high mortality.

한국산 어류에 기생하는 포자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txosporidian parasites from Korean fishes)

  • 김영길;박성우;최민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05-110
    • /
    • 2002
  • 한국산 어류에 감염된 포자충의 종류와 병해를 조사 할 목적으로 2001년 9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양식중인 정읍산 메기와 만경강 하구의 기수 구역에 서식하는 자연산 문절망둑을 조사하였다. 이 들 어류에서 지금까지 한국 미기록종인 포자충의 감염이 확인되었다. 즉 메기의 장 상피조직에서 Myxobolus miyairii Kudo, 1919가, 문절망둑의 피하 근육조직에서 Henneguya tridentigeri Ozaki & Ishizaki, 1941가 검출되었다. 메기에 기생 된 M. miyairii는 장 상피조직에 42-77 (56) $\mu{m}$ × 59-93(73) $\mu{m}$크기의 백색 영양체가 무수히 관찰되었고, 포자의 길이는 11.0-12.0(11.3) $\mu{m}$이었다. 어체 기생율은 86.7-90%이었으나, 감염어는 별다른 병변을 발견할 수 없었다.

Secondary Contamination is the Main Source for Spread of Nosema bombycis Resulting in Outbreak of Pebrine Disease in Bombyx mori L.

  • Chakrabarty, Satadal;Saha, A.K.;Manna, B.;Kumar, S. Nirmal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7권2호
    • /
    • pp.282-288
    • /
    • 2013
  • In nature, the population of Nosema bombycis (Microsporidia) causing pebrine disease is small and their development is extremely slow and only few ultimately producing spores. Pebrine infected silkworm, Bombyx mori larvae collected from sericulture field were alive till $3^{rd}$ generation though the concentration of N.bombycis spore was very high ($2.4-3.0{\times}10^8$ spores. $mL^{-1}$). All larvae were died during $4^{th}$ generation with extremely high concentration of pebrine spores ($3.0-4.0{\times}10^9$ spores. $mL^{-1}$) and mostly contain long polar tube (LT). Alternately, all larvae were died immediately (at $3^{rd}$ stage of $1^{st}$ generation) when it was artificially inoculated with same concentration of N.bombycis spores harvested from field ($2.4-3.0{\times}10^8$ spores. $mL^{-1}$) though concentration of spores harvest was very less ($3.0-4.0{\times}10^6$ spores. $mL^{-1}$) and mostly contain short polar tube (ST). Artificially pebrine infected male moth when mated with healthy female moth took six generations to develop pebrine disease and all larvae were died at the $2^{nd}$ stage with very less spore harvest ($3.0-10.0{\times}10^6$ spores. $mL^{-1}$). Survival percentage was increased in all generations (~92.0% at $4^{th}$ generation) when silkworm rearing was conducted under new integrated disease management system.

향어의 장포자충(Thelohanellus kitauei)증의 예방 및 치료에 관한 기초적 연구 II. 물리화학적 요인이 장포자충 포자에 미치는 영향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studies on intestinal giant-cystic disease of the Israel carp caused by Thelophanellus kitauei II. Effects of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on T. kitauei spores in vitro)

  • 이재구;김종오;박배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4호
    • /
    • pp.241-252
    • /
    • 1990
  • 장포자충(Thelohanellus kitauei) 포자의 극사탈출 여부를 생사 각정 기준으로 하여 물리 화학적 요인이 포자의 활성 및 생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신선 포자를 0.45% 및 0.9% 생리식염수와 증류수에 현학시켜 $5^{\circ}C$ 또는 $28^{\circ}C$에 단기간 보존하면 3일까지, Tyrode액에 철 탁시켜 $-70^{\circ}C$에 단기간 냉동 보존하면 8일까지 극사탈출률이 상승하였다. 신선 포자를 0,45%생리 식염수에 현탁시켜 $5^{\circ}C$에 장기간 보존하면 1,270일간 생존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증류수에 현탁시켜 $28^{\circ}C$에 보존하면 152일간 밖에 생존하지 않으나, Tyrode액에 현탁시켜 $-70^{\circ}C$에 법통 보존하면 750일 후에도 냉동 초기와 거의 같은 패턴으로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선 효 자를 Tyrode액에 현탁, 냉동시킨 다음 $5^{\circ}C$의 조건 하에서 해동시킬 때 포자의 극사설출률이 가잔 높았다. 냉동 후 해동 포자에 열을 가하면 냉동기간이 길수록 극사탈출률이 약간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180일간 냉동례에 있어서 포자가 전부 사멸하는 한계점은 대체적으로 $60^{\circ}C$ 78.5시간, $70^{\circ}C$ 23.4시 간, $80^{\circ}C$ 189.1분 또는 $90^{\circ}C$ 10.5분이었다. 냉동 포자의 해동 후 사멸에 요하는 대체적인 기간도 냉동기간이 길수록 길며, 그 한계점은 20일간 냉동시 17.4일, 100일간 냉동 시 33.2일, 400일간 냉동시 37.8일이었다. 냉동 포자를 해동 후 자연건조시키면 냉동시간이 길수록 포자의 사멸에 요 하는 대체적인 기간도 길며, 그 한계점은 540일간 냉동시 23.5일, 160일간 냉동시 21.0일, 20일간 냉동시 14.4일이었다. 한편, 냉동 후 해동 포자에 l0W 자외선등을 조사하면 냉동시간이 길수록 빨리 사멸하며, 그 한계점은 100일간 냉동시 26.0시간, 300일간 냉동시 21.9시간, 540일간 냉동시 13.9시간이었다. 각종 소독제(1,000 ppm)가 200일간 냉동 후 해동 포자를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시 간은 산화칼슘 5.2분, 과망간뜬칼륨 10.4분, 말라카이트그린 27.8분, 포르말린 14.3시간의 순이었다. 그리고, 각종 항원충 및 둔진균제 중에서 ketoconazole, metronidazole, dapsone의 순으로 일시적인 극사탈출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장포자충증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현시점에 있어서 양어장의 바닥을 콘크리트로 축달하여 완전 건조시킨 다음 산화칼슘을 철포하고 태양광선을 수일 간에 걸쳐 조사시키는 방법 밖에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Nosema sp. isolated from Cabbage White Butterfly(Pieris rapae) Collected in Korea

  • Park, Ji-Young;Kim, Jong-Gill;Park, Young-Cheol;Goo, Tae-Won;Chang, Jin-Hee;Je, Yeon-Ho;Kim, Keun-You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0권3호
    • /
    • pp.199-204
    • /
    • 2002
  • A microsporidium, from cabbage white bntteflies, Pieris rapae, collected in Korea, was purified and characterized according to its gene structure, spore morphology and pathogenicity. From the observation of the isolate by SEM and TEM, the endospores, exospores and nuclei, about 12 polar filament coils of the polar tube and posterior vacuoles were all identified. The nucleotide sequence was determined for a portion of genomic DNA which spans the V4 variable region of the small subunit rRNA gene. Comparison with the GenBank database for 15 other microsporidia species suggests that this isolate is most closely related to Nosema species. The pathogenicity against cabbage white butterflies was quantified by inoculating variable doses of spores to the second instar larvae. Peroral inoculation at a dosage of 10$\^$8/ spores/ml resulted in the death of all larvae prior to adult eclosion, but at lower spore dosages of 10$\^$4/-10$\^$5/ spores/ml, many adults successfully emerged. The median lethal dose (LD$\_$50/) was deter-mined to be 4.6$\times$10$\^$6/ spores/ml and the isolate also transmitted transovarially to the progeny eggs at a frequency of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