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gi kimchi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포기김치와 맛김치의 온도별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ole and Sliced Kimchi at Different Fermentation Temperatures)

  • 박우포;안덕순;이동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84-789
    • /
    • 1997
  • 같은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김치를 담글 때에 배추의 형태가 다른 포기김치와 맛김치의 발효중에 일어나는 품질특성의 차이점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맛김치는 포기김치에 비하여 $20^{\circ}C$에서는 2일 정도, $5^{\circ}C$에서는 10일 정도 발효가 빨리 일어났다. 김치를 $20^{\circ}C$에서 발효시킬 때에는 포장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3일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고, 산소의 농도는 3일 이후에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김치 즙액의 색도는 발효 온도에 관계없이 L, a 및 b값 모두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20^{\circ}C$에서 발효시킨 맛김치의 젖산균수는 포기김치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높았다. $5^{\circ}C$에서 발효시킨 맛김치는 20일까지 포기김치에 비하여 젖산균수가 많았으나 그 이후에는 포기김치의 값이 높았다. 관능검사에서는 냄새, 색 및 맛에서 두 김치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포기김치와 맛김치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Mcrobi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between Pogi Kimchi and Mat Kimchi)

  • 문은우;김수연;당윤미;박보연;박은진;송혜연;양지수;윤소라;서혜영;하지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17-223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 differential between whole cabbage kimchi (pogi kimchi) and sliced cabbage kimchi (mat kimchi) during kimchi fermentation at $6^{\circ}C$. The difference of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as investigated until 6 weeks. For the changes in the microbial flora, both kimchi samples exhibited a continuous increase in total aerobic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LAB) population size up to 2 weeks followed by a stationary phase until 5 weeks. Interestingly, the number of LAB of mat kimchi was overall higher than that of pogi kimchi during kimchi fermentation. We speculate that mat kimchi has in a more advantageous growth condition than pogi kimchi for microbial growth because small kimchi cabbage size appropriately derives nutritional supply in order to increase the LAB growth. During lactic fermentation at $6^{\circ}C$, physicochemical changes in the pH, salinity, and titratable acidity was observed to b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types of kimchi. Furthermore the contents of organic acids such as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fumaric acid, and acetic aci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etween both kimchi samples as well as the contents of total free amino acid.

성남 지역 초등학교 급식에 공급되는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호도 조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of Kimchi Provided to the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in the Seongnam Area)

  • 지현정;박신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83-93
    • /
    • 2009
  • 본 연구는 성남시 초등학교 학교급식에 공급되고 있는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섭취율 및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교급식용 일반 포기김치의 섭취량과 섭취율은 저학년 학생의 경우 7.15 g, 23.83%이었고, 고학년 학생은 11.15 g, 39.17%이었다. 초등학교 급식용으로 제공되고 있는 H사의 일반 포기김치와 C사의 어린이 포기김치의 이화학적 특성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일반 포기김치의 평균 pH는 4.45, 평균 당도는 7.74 $^{\circ}Brix$, 평균 염도는 1.73%이었고, 어린이 포기김치의 경우는 평균 pH 4.32, 평균 당도 8.18 $^{\circ}Brix$, 평균 염도 1.65%를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학년과 성별에 따라서 학교급식용 일반 포기김치와 어린이 포기김치에 대한 기호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덜 달고, 덜 시고, 짠 김치를 선호하였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달고 신김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년별 및 성별에 따른 김치에 대한 관능적인 기호도를 고려하여 기호성이 향상된 어린이용 김치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