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of Kimchi Provided to the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in the Seongnam Area

성남 지역 초등학교 급식에 공급되는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호도 조사

  • 지현정 (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박신인 (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take rate, and sensory properties of kimchi provided to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in Seongnam. Average amount of kimchi intake at the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for lower grade(1~3) students and higher grade(4~6) students was 7.15 g(23.83%) and 11.15 g(37.17%) respectivel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imchi provided to the school foodservice in Seongnam were different between head cabbage kimchi(Pogi kimchi, H product) and head cabbage kimchi for children(C product). The head cabbage kimchi showed the pH 4.31~4.65(average pH 4.45), 6.86~8.38 $^{\circ}Brix$(average sugar content 7.74 $^{\circ}Brix$), and salinity 1.36~2.20%(average 1.73%) whereas the head cabbage kimchi for children indicated the pH 4.23~4.45(average pH 4.32), 7.68~8.48 $^{\circ}Brix$(average sugar content 8.18 $^{\circ}Brix$), and salinity 1.38~1.80%(average 1.65%). The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of head cabbage kimchi and head cabbage kimchi for children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y grades and gender. Higher graders tended to prefer less sweet, less sour and salty kimchi, and girls preferred sweet and sour kimchi more than boy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kimchi for children considering sensory characteristics by grades and gender.

본 연구는 성남시 초등학교 학교급식에 공급되고 있는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섭취율 및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교급식용 일반 포기김치의 섭취량과 섭취율은 저학년 학생의 경우 7.15 g, 23.83%이었고, 고학년 학생은 11.15 g, 39.17%이었다. 초등학교 급식용으로 제공되고 있는 H사의 일반 포기김치와 C사의 어린이 포기김치의 이화학적 특성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일반 포기김치의 평균 pH는 4.45, 평균 당도는 7.74 $^{\circ}Brix$, 평균 염도는 1.73%이었고, 어린이 포기김치의 경우는 평균 pH 4.32, 평균 당도 8.18 $^{\circ}Brix$, 평균 염도 1.65%를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학년과 성별에 따라서 학교급식용 일반 포기김치와 어린이 포기김치에 대한 기호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덜 달고, 덜 시고, 짠 김치를 선호하였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달고 신김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년별 및 성별에 따른 김치에 대한 관능적인 기호도를 고려하여 기호성이 향상된 어린이용 김치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