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etry circle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5초

소외와 회복의 시학 -김현승 시 연구- (Poetics of alienation and restoration -An Study on Kim Hyun-Seung's Poetry-)

  • 이영섭
    • 인문언어
    • /
    • 제8집
    • /
    • pp.95-127
    • /
    • 2006
  • This paper is a study of "poetry therapy", a subject now in lively in literary discussion circles. Modern literary text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readers' response. As such,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brought on by the interaction of participants in a discourse. Poetry, in essence, has therapeutic attributes of treating, through an aesthetic psychology, destruction resulting from the alienation from life and psychological pain of distortion. The rise of the concept of eco-poetry and the capacity for psychological cleansing and adjustment (which restores balance through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circulation) is a reflection of new trend in research - approaching the alienation felt by modern people through restoration of sense of life. Although Kim Hyun-seung's life and the road his poetry took was not smooth, he nevertheless was firm in his sustained effort to unify socio-ethical conscience and conscience of faith through the process of spiritual inquiry. The most outstanding aspects of Kim Hyun-seung's aesthetic achievement lie in his contribution toward the therapeutic capacity of modern poetry. Kim Hyun-seung's poetryhas the following effects: 1)The therapeutic capacity of modern poetry, through catharsis at large, does not remain only at the level of cleansing and adjustment. 2)The therapeutic capacity of modern poetry has the function of emptying out the self through more fundamental spiritual awakening and insight. 3)Only then can one truly realize the transcendence of being a true self as well as the balanced inquiry of spirituality which can be described as "emptying out".

  • PDF

누정의 기능에 따른 누정시조의 특성 (The Characters of Pavilion Si-Jo According to its Function)

  • 남동걸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0집
    • /
    • pp.75-96
    • /
    • 2004
  • 누정은 대체로 승경의 요처에 자리하여 상자연의 풍류를 극대화하고 있는 장소이다. 이러한 곳이기에 조선조 사인들은 누정을 소유하는 것이 평생의 꿈이었다. 그러므로 누정과 관련된 문학작품은 여러 장르에 걸쳐 많을 수밖에 없다. 여기서는 누정시조를 누정의 기능과 관련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누정은 경관이 좋은 곳에 자리 잡고 있음으로 산수자연을 감상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사방이 트인 공간이기에 돌아다니면서 경관을 볼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누정시조에서의 산수자연은 여타의 산수유람 시조의 감상태도와는 차이가 있다. 즉 산수유람 시조는 장소를 이동하면서 산수자연을 감상하는 모습이 나타나는 반면 누정시조는 한자리에서 '눈돌리기‘만으로 산수자연을 앙관, 부찰, 원망한다는 점이 다른 것이다. 둘째, 누정은 학문수양 및 강학의 공간으로 기능하기도 한다. 누정은 상대적으로 막히고 답답한 공간인 서원에 비해 교육효과가 높을 수 있다. 그러기에 이곳은 학문수양과 강학을 하는 등 서원과 같은 역할을 했다. 더 나아가 산수자연을 감상하면서 그 속에서 자연의 이치를 깨닫기도 하고 호연지기를 기르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유형의 시조는 대부분 한시와 같이 전해지며 성현의 이름이나 고전의 문구가 작품 속에 등장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셋째. 누정은 계회 및 시회의 공간으로 기능한다. 누정 주인의 요청에 의해 시적 교류가 이루어지고 이런 시적교류는 후에 시단 및 가단 형성의 중요한 동기가 된다. 넷째, 누정은 유오적 주연의 기능을 한다. 단순한 유오적 주연의 공간이라 하더라도 개방적인 누정의 특성상 사대부로서의 일탈된 면모가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누정이라도 폐쇄성이 있는 경우는 사대부들의 긴장이 이완된 형태의 작품이 나타나기도 한다.

  • PDF

한국 현대시에 수용된 마르크 샤갈 그림 - 김영태 시집 "유태인 사는 마을의 겨울" 김춘수 시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이승훈 시집 "시집 샤갈$\lcorner$에 수용된 샤갈의 그림세계 (Mark Chagall's Paintings Transferred into Contemporary Korean Poems: Youngtae Kim's Anthology, Winter in the Village of Jews, Chunsoo Kim's "Snow Falling on the Village of Chagall," and Sunghun Lee's Anthology, Poetic Anthology of Chagall)

  • 윤호병
    • 인문언어
    • /
    • 제1권1호
    • /
    • pp.141-157
    • /
    • 2001
  • In his discussion of some desirable tuning points in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Henry H. H. Remark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iterary approach to other forms of art.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such a method of comparative literature, the present study focusses on three contemporary Korean poets who have transferred Mark Chagall′s paintings into their poetry: Youngtae Kim, Chunsoo Kim, and Sunghun Lee. They are usually evaluated as surrealist/modernist in our literary circles. In transforming Chagall′s paintings into his poems, Youngtae Kim has incorporated a variety of surrealist mosaic techniques such as montage and collage. The resultant peculiarity of his poetry makes it hard to lay bare the correspondence or similarities between his poetic world and the world of Chagall′s artistry. It is nonetheless possible to see how Kim, as a poet and painter, had interpreted Chagall′s world with a bird′s-eye view of it. Chunsoo Kim′s "Snow Falling on the Village of Chagall" relates specially to one of Chagall′s paintings, "I and My Village." The present study has taken notice of this correlation in sorting out some basic elements of poetic transfiguration. One of the techniques employed in the poem under discussion is that of juxtaposing the Russian village of Chagall and the Korean village the poet visualizes, with the effect of putting two national traditions in contrast. A reading of the poem reveals that it is not so much the result of a detailed analysis of the painting as a revival of its lingering impression as a whole. In Sunghun Lee′s poetry, surrealist techniques are again a hallmark. But his method of transferring the images of the paintings into his poems falls somewhere between those of Youngtae Kim′s and Chunsoo Kim′s: it is akin to the ′bird′s-eye method′ of the former and shares the impressionistic touch with the latter, but at the same time Lee is analytical by disposition and opts for concrete descriptions. ′Love,′ ′farm,′ and ′time′ are the keywords that are brought under discussion in the present study. There is a growing demand in the current international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for broadening the area of comparative literature. This study hopes to be a small contribution to endorsing the importance of comparative approach to fine arts.

  • PDF

모헌(慕軒) 강필신(姜必愼)의 생애와 문학연구 (A study on Mohun(慕軒) Gang, pil-shin(姜必愼)'s life and Literature)

  • 맹영일
    • 동양고전연구
    • /
    • 제69호
    • /
    • pp.205-232
    • /
    • 2017
  • 18C 전반기는 다양한 시인들이 출현했던 시기이다. 소론과 남인 계열, 중인계층의 문인들 역시 활발한 문학 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이 시기 남인문학을 주도했던 문인들은 소위 문외파로 불리던 사대부들이다. 이들 강박, 이인복, 이중환, 오광운, 강필신은 모두 근기 남인 계열의 사대부들이며, 백련시단의 구성원이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강박에게만 머물러 있었다. 강필신은 당대의 평가에 비해 그 실체를 밝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강필신은 조선 후기 남인 계열의 대표적 문인이다. 강필신의 생애와 교유관계를 분석하면 그의 문학세계의 면모를 일정부분 확인할 수 있다. 강필신과 교유관계를 맺었던 인물들은 크게 셋으로 구분된다. 먼저 백련시단으로 대표되는 청남 계열 문인들로 주로 서울에서 활동하는 집단, 두 번째로 진주 강씨 가문, 세 번째로 강필신의 말년 세거지였던 경상도 지역의 문인들로 분류할 수 있다. 강필신의 교유관계는 시회(詩會)를 통해 이루어졌다. 시회는 기본적으로 강박을 비롯한 인척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다만 살고 있는 지역에 따라 시회의 구성원들이 달라졌다. 강필신은 서울과 경상도를 오가며 시회를 가졌다. 이는 강필신이 근기 남인으로서의 특징을 지니면서 동시에 영남 남인으로서의 정체성도 지니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강필신의 문학이 근기 남인과 영남 남인 사이에서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었는지 좀 더 면밀하게 고찰하면 조선 후기 서울과 지방의 문학 교류 양상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강필신의 문학에 대한 보다 면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근(近)·현대(現代) 유학자(儒學者) 권우(卷宇) 홍찬유(洪贊裕)의 유자(儒者) 의식(意識)과 문학활동(文學活動) - 『권우집(卷宇集)』, 『음청록(陰晴錄)』을 중심으로 - (Confucian ritual and literary activities of Confucian scholars of modern and contemporary Gwonwoo Hong chanyu)

  • 정후수
    • 동양고전연구
    • /
    • 제62호
    • /
    • pp.117-143
    • /
    • 2016
  • 본 연구는 근 현대의 대표적인 유학자 권우(卷宇) 홍찬유(洪贊裕)(1915~2005)의 유자의식(儒者意識)과 문학(文學) 활동(活動)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권우의 문집 "권우집(卷宇集)"과 일기인 "음청록(陰晴錄)"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2장에서는 권우가 근,현대 대표적인 유학자, 교육자, 시인이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의 유자의식(儒者意識)을 살폈다. 권우의 유자의식은 모화(慕華)나 사대(事大)와 같이 명분과 형식을 중시하지 않았다. 그는 자신이 위치한 현실과 시대를 중시하고 그것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유학의 정신으로 보았다. 이는 조선 후기 실학자의 실사구시(實事求是)와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 권우는 이를 '중용(中庸)'이라 하였다. 3장에서는 근,현대를 대표하는 한시인(漢詩人)으로서 권우의 문학활동을 살펴보았다. 3-1절에서는 권우의 일기인 "음청록"을 중심으로 관수회 시단의 형성과정을 알아보았다. 관수회 시단은 1972년 겨울에 결성되었고, 명칭은 당시 시인들이 모이던 종로구 관수동의 이름을 딴 것이며, 멤버는 권우를 비롯한 13인이었다. 그들은 '시언지(詩言志)'의 창작 목표 아래, 산수의 아름다움과 풍속의 번화함, 인물들의 변화, 오래된 유적 등을 접하면서 느끼는 감회를 시화(詩化)하였다. 관수회 시단은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3권의 시집을 발간하였다. 3-2절에서는 권우를 비롯한 관수회 시단의 시적 경향을 살펴보았다. 그들의 시적 경향은 세 가지로 파악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영사시 계열로 유적지를 찾아가 역사적 사실에 기인해서 그 감회를 시화하는 것으로 <등부소산(登扶蘇山)>시를 들 수 있다. 두 번째는 풍자시 계열로 그들이 살고 있는 현실의 세태를 비판한 것으로 <북한산신록(北漢山新綠)>시를 들 수 있다. 세 번째는 풍류시 계열로 현실을 벗어난 탈속의 공간에서 정신적 자유를 읊은 것으로 <도봉관풍(道峰觀楓)>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