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us energy hous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7초

배관 재질 및 길이에 따른 대규모 시설원예단지용 미활용 에너지 시스템의 성능 평가 (Effects of Pipe Network Materials and Distance on Unused Energy Source System Performance for Large-scale Horticulture Facilities)

  • 이재호;윤여범;현인탁;이광호
    • KIEAE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119-125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ipe network materials and distance on system performance utilizing unused energy sources in large-scale horticulture facility. For this, the modeling was performed with a 100 m long and 100 m wide rectangular shaped glass house having an area of 1ha ($10,000m^2$) using EnergyPlus software. The heat sources considered were air source, geothermal heat, power plant waste heat, sea water heat, and river water. The temperature variation of the fluid with regard to pipe material and distance from the heat source and the resultant heat pump electricity consumptions were calculated. It turned out that the fluid temperature reaching the heat pump increased as the distance from the heat source increased in case of sea water and river water, which have higher temperatures than the surrounding soil, improving the heat pump efficiency. It was vice versa in case of the power plant waste heat. In addition, pipe material of PVC showed the smallest effect on the system performance variation due to the lowest thermal conductivity, compared to PB and HDPE.

주택에서의 단열성능 강화가 냉난방부하에 미치는 영향 (The Strengthening Effect of the Heating and Cooling Load on the Thermal Performance in the Housing Unit)

  • 이준기;김성훈;이갑택;이경희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8권12호
    • /
    • pp.483-488
    • /
    • 2016
  • In this study, we chose the rural house as a standard model. In order to review the energy difference of cooling and heating loads, we changed the thermal transmittance standards. By using the thermal transmittance standard in 2011 as the Basic CASE, the thermal transmittance standard in 2013 as well as 2016, and the thermal transmittance standard of passive houses, we compared the results with regard to the cooling and heating energy load. Because of the heat loss, it can be confirmed that with an improved thermal performance of the building structure, the maximum increase of the cooling energy load was 36 kWh from June to September. Because of the heat loss, it was also confirmed that with the improved thermal performance of a building structure, the maximum decrease of the heating energy load is 1,498 kWh from November to April. Even though the heat loss of the building structure could decrease the cooling energy load by improving thermal transmittance standards in Korea, the energy saving performance is worse than the situation of heating energy load in heating period. Compared with CASE 1 and CASE 2, as well as CASE 1 and CASE 3, we CASE 3 was found to have the best energy saving rate when compared to the other cases : CASE 3 increased by 1,452 kWh and CASE 2 by 588 kWh, because the window thermal transmittance standard of 2016 was added.

지역별 단독주택 에너지 절감 리모델링 전략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Energy Efficient Refurbishment Strategies for Detached Houses in Three Climate Zones)

  • 이병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518-527
    • /
    • 2020
  • 그린 리모델링 전략 수립이 기술 중심적으로 진행되어 현장 상황을 반영한 맞춤형 전략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논문은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하여 현장에 적합한 리모델링 전략수립 방법론으로 민감도 분석을 통한 기술전략 평가와 활용가능성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30평형 규모 단독주택을 대상으로 에너지플러스엔진과 모드프론티어 최적화 기법을 통합하여 활용하여 서울, 대전, 부산지역에 1980년대 이전, 1984년, 2010년 준공기준을 적용한 총 9개 모델 대상 최적화 후 민감도 분석을 통한 리모델링 전략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1980년 이전 모델의 경우 지붕 단열성능 강화 전략이 민감도 상위 순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호 총일사취득율 기준은 전 지역, 전 준공 시기를 막론하고 다음 상위 민감도를 갖으며, 이는 열관류율 중심 기준에서 총일사취득율 기준을 포함하는 성능 기준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대규모 철거공사를 수반하는 창면적비의 조정은 민감도가 낮아 형상 유지 리모델링의 효용을 확인하였다. 사례별 상이한 민감도 결과는 리모델링 전략 수립에서 민감도 분석을 경제성, 시공성 등의 기준 등과 함께 종합적인 리모델링 전략 수립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동해 가스 하이드레이트 탄성파자료의 중합전 심도 구조보정 (Prestack Depth Migration for Gas Hydrate Seismic Data of the East Sea)

  • 장성형;서상용;고진석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6호
    • /
    • pp.711-717
    • /
    • 2006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1997년부터 새로운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는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조사하기 위해 동해 일원에서 탄성파탐사를 실시하고 있다. 탄성파 반사자료로부터 가스 하이드레이트 부존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해저면과 평행하면서 위상이 반대로 나타나는 고진폭 반사파 Bottom Simulating Reflector (BSR)과 BSR상부에서의 진폭감소, 하부에서 진폭증가와 구간속도 감소 둥을 들 수 있다. 대용량 탐사자료로 구성된 탄성파 반사자료에 깊이영역 구조보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컴퓨터와 병렬처리 기술이 필요하다. PSPI법은 적은 컴퓨터 계산량과 효율성 그리고 주파수 영역에서 구조적으로 병렬화가 용이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구조보정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동해 가스 하이드레이트 탄성파 반사자료에 대한 일반자료처리와 함께 BSR로 여길 수 있는 구간에 대해 message passing interface_local area multicomputers(MPI_LAM)으로 병렬 코드화된 MPI PSPI를 이용하여 깊이영역 중합 전 구조보정에 적용하였다. 중합 전 깊이영역 구조보정 입력자료를 위한 속도모델은 자체 개발된 지오빗을 이용하여 중합 단면도로부터 지층경계면을 구하고 중합속도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BSR은 시간영역구조보정 된 중합 단면도상에서 음원모음도 3555-4162 사이와 왕복주시 2950 ms 부근에서 확인되지만 깊이영역 단면도에서는 해수면 6 km에서 17 km사이, 해저면에서 약 2.1km 깊이영역에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구조보정 결과 반사파 에너지가 집중되는 지점에서 영상화가 잘 이루어지므로 관심대상 지역에 에너지를 많이 보낼 수 있는 자료취득변수를 결정해야 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