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umule elong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건답직파에서 토양수분조건에 따른 벼 품종의 출아특성 (Seedling Emergence of Dry-seeded Rice Varieties under Two Soil Moisture Regimes)

  • 이변우;명을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02-511
    • /
    • 1994
  • 벼 건답직파에서 벼 품종들의 출아·입모 특성과 유아의 신장 특성과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국내의 재래종, 육성종 및 샤레벼, 미국 직파재배품종, 이태리 품종 등 98개 품종을 토중 4.5cm에 파종하여 적습과 과습조건하에서 출아율, 입모율, 평균출아일수, 중배축장, 하위절간장, 초엽장, 불완전엽장 등을 조사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적습조건에서 입모율은 9∼92.5%, 평균출아일수는 12∼25일 범위였고, 과습조건에서의 출아율은 0∼90%, 평균출아일수 27∼34일로 양조건 모두 품종간 변이가 매우 컸으며, 대부분의 품종은 과습조건에서 출아율이 낮아지고 출아속도가 늦어졌다. 2. 출아·입모율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인 형질은 적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 초엽장, 불완전엽장이었고, 과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 제1, 2절간장, 초엽장, 불완정엽장이었다. 3. 평균발아일수는 중배축장, 초엽장, 불완전엽장과 유의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4. 표준편회귀분석결과 출아·입모의 품종간 차이에 가장 유의적으로 기여하는 형질은 적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과 초엽장, 과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과 제2절간장이었다. 5. 평균출아일수의 품종간 차에 유의적으로 기여하는 형질은 적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 불완전엽장으로 회귀계수는 부의 방향이었으며, 제1,2절간장은 정의 방향이었다. 과습조건에서는 중배축장만이 유의적 기여를 하였는데 회귀계수는 부의 방향이었다. 6. 본 실험의 결과로 볼 때 건답직파조건에서 출아율이 높고 출아속도가 빠른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중배축, 초엽 및 불완전엽의 신장이 잘되는 특성의 선발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액체배지배양에서 당근 체세포배의 발아 억제 현상 (Germination Arrest of Carrot Somatic Embryos Cultured in Liquid Medium)

  • 소웅영;이은경;홍성식;조덕이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5-180
    • /
    • 2000
  • 발아를 위한 MS 액체배지에서 체세포배를 1주일간 배양하다가 고형배지로 옮겨 배양하면 92%가 발아하지만 액체배지 배양기간이 길어지면 발아율이 낮아져서 4주간 배양 후 고체 배지로 옮기면 26% 밖에 발아하지 않았다. 액체배지에서 발아처리된 체세포배는 배축과 유근의 생장은 충실하게 일어나데 일부에서는 배축에 2차배가 발생되거나 배축과 유근 기부에서 캘러스가 형성된 경우도 있었다.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 결과 경정분열조직을 이루고 있는 세포는 엉성하게 배열되어 있고 제1엽원기가 발생된 경우 그 구조가 충실하지 못하여 생장이 중단되어 있으며 엽원기의 발생이 않된 경우도 있었다. 그러므로 액체배지에서 체세포배의 발아가 억제된 원인은 경정분열조직의 구조적 결함으로 경엽부 형성이 일어나지 못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건답직파에서 파종심도와 관개조건에 따른 벼 품종들의 출아특성 (Seedling Emergence of Dry -seeded Rice under Different Sowing Depths and Irrigation Regimes)

  • 이변우;명을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9-68
    • /
    • 1995
  • 건답직파에서 파종심과 파종후 관개에 의하여 경도를 달리한 조건에서 벼 품종들의 출아와 유아 신장 특성을 비교검토하였다. 우리 나라의 재래도, 샤레벼 및 통일계와 일반계 육성품종, 미국, 이태리, 인도 품종 등을 포함한 46개 품종을 공시하였으며, 파종심은 1, 3, 5cm로 하였고, 파종후 계속 관개를 하지 않은 처리와 파종후 14일에 고랑에 관개를 한 처리를 두었다. 실험은 사양토의 야외 포장에서 실시하였으며 파종 다음날에 B9.2mm의 소나기성 강우가 있었고 그 후는 맑은 날이 지속되었다. 실험기간 30일간의 평균지온은 16. 5C 내외였다. 1. 파종후 토양의 경도는 직선적으로 증가하여 파종후 14일에는 2. 5kg/$cm^2$에 달하였으며 무관개구는 이후 계속 증가하여 4kg/$cm^2$에 이르렀고, 관개구는 관계후 0kg/$cm^2$가까이 까지 낮아졌다가 다시 증가하여 파종후 28일 경에는 2.5kg /$cm^2$에 달하였다. 2. 파종심도에 관계없이 출아율은 관개구가 무관개구보다 높았다. 1cm 파종심에서 품종간 출아율의 차이는 관개구에서는 크지 않았으나 무관개구에서는 차이가 컸다. 우리 나라 육성 품종들은 모두 무관개구에서 출아율이 현저히 낮았는데 이는 출아 속도가 느려 토양의 경화가 상당히 진전된 후에 출아하였기 때문이었다. 3cm와 5cm 파종심에서 출아율은 관개구와 무관개구 사이에 고도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는데, 우리 나라 육성품종들은 관개 및 무관개 조건에서 모두 낮은 편에 속하였으며 , Italicona-verneco, Chlnsura Boro, Weld Pally 등이 출아가 양호하였다. 3. 1cm 파종심의 무관개구에서 50%출아일수는 8일~30일의 큰 품종간 변이를 보였는데 Italiconaverneco, Chinsura Boro, Tebonet, 다 다조 등이 10일 내외로 가장 빨랐으며 우리 나라 품종들은 모두 20일 이상으로 출아 속도가 느렸다. 출아속도는 1cm 파종심의 무관개구, 3cm와 5cm 파종심의 관개 및 무관개구의 출아율과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이 있었다. 4. 제2절간장을 제외한 중배축장, 초엽장, 제1절간장 및 불완전엽장은 파종심간에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이 있어서 낮은 파종심에서 신장이 잘되는 것은 깊은 파종심에서도 신장이 잘되었다. 중배축장은 제1절간장 및 불완전엽장과는 고도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 초엽장과는 상관이 없었으며, 불완전엽장과 초엽장간에는 높은 상관이 있었다. 5. 3cm 파종심에서 초엽이 지면을 뚫고 추출한 품종은 Italiconaverneco, Chinsura Boro, Weld Pally 뿐이었고, 5cm 파종심에서는 초엽이 지면을 뚫고 출아하는 품종은 없었으며 Chlnsura Boro가 지면하 0.5cm까지 신장하였을 뿐이었다. 3cm 파종에서 불완전엽이 지면을 뚫고 나오는 품종은 우리 나라의 샤레벼들, 다다조, 미국의 건답직파재배 품종 등이었으며 우리 나라 육성종들은 모두 지중에서 신장이 멈추어 제1본엽이 지중에서 추출하였으며, Scm파종심에서 불완전엽이 지면을 뚫고 나오는 품종은 Chinsura Boro뿐이었고 Nato, Labelle, Weld Pally, Italliconaverneco 등도 지면 가까이 까지 신장하였다. 6. 50% 출아일수는 제2절간장을 제외 한 모든 유아 형질의 신장도와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는데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인 것은 중배축장+제1절간장+불완전옆장이었으며, 다음이 불완전엽장이 었다. 7. 출아율은 중배축장+제1절간장+불완전엽장, 중배축장+초엽 장과 모든 파종심에서 높은 정의 상관을 보여 제1본엽의 추출 위치가 높을수록 출아에 유리하였다, 유아 형질별로 보면 3cm와 5cm 파종심 의 관개구에서는 불완전엽장과의 상관이 가장 높고, 다음이 초엽장, 중배축장의 순으로 높았으나 무관개구에서는 중배축장과의 상관이 가장 높고 다음이 제1절간장, 불완전엽장의 순으로 상관이 높았고 초엽장은 상관이 낮아 토양에 토막이 생기거나 경화되는 조건에서는 중배축과 제1절간이 잘 신장하는 품종이 추출력이 높아 출아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종자의 배발달에 따른 배유의 구조변화 및 조직화학적 연구 (Structural Changes and Histochemical Study of Endosperm on Panax ginseng C.A. Meyer during Embryo Development)

  • 유성철;김유갑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37-43
    • /
    • 1992
  • Structural changes of the endosperm of Panax ginseng C.A. Meyer from fertilization to germination were investigated by light microscope. The endosperm of the ginseng seed is cellular type. Since endosperm cells adjacent embryo continuously breakdown and disappear with the elongation of embryo, the real of endosperm is gradually decreased. As the anatropous ovules of immature seed with green seed coat developes more and more, ovary cells adjacent ovary cavity become abundant by the periclinal division, their size is decreased, hypotrophy of cell wall discern, and they are gradually differentiated in seed coat. Though embryo responds strongly to basic dye at the stage of completion of endosperm formation, tissue of endosperm responds to acidic dye positively Cell wall of embryo and endosperm are composed of primary cell wall not lignified. Endosperm cells adjacent embryo begin to breakdown in the endosperm tissue of indehiscent seed before the beginning of the after-ripening. Dehiscent seed of which seed coat is opened through after-ripening represent the form as a seedling in the result of embryo developments with the formation of organs; radicle, cotyledon, plumule. Umbilifom layer represents strong positive response to the toluidine blue and the basic function. Umbiliform layer that endosperm cells breakdown and disappear is observed clearly at the periphery of the embryo cotylemon, while slightly at the periphery of the radicle.

  • PDF

괴경(塊莖)의 크기 및 절제(切除)가 올방개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Tuber Size, Bud and Tuber Removal, Tuber Cutting on Growth of Eleocharis kuroguwai Ohwi)

  • 김재철;손석용;유길림;윤종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8-33
    • /
    • 1989
  •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 올방개의 초기(初期) 붕아력(崩芽力)과 괴경(塊莖)의 파손(破損) 및 제거(除去)에 따른 지상부(地上部) 지하부(地下部) 생육량(生育量)을 폿트재배(栽培)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괴경(塊莖)의 크기가 클수록 초기(初期)에 유아(幼芽)와 유근신장(幼根伸長)이 촉진(促進)되고 발생수(發生數)도 많았으며, 후기(後期)의 지하부(地下部)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이 많았다. 2. 유아(幼芽) 유근(幼根)을 제거(除去)한 괴경(塊莖) 및 괴경(塊莖)을 제서(除去)한 유아(幼芽) 유근(幼根)만의 개체(個體)에서 생산(生産)된 지하부(地下部)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은 정상개체(正常個體)에 비(比)하여 적었다. 3. 괴경(塊莖)을 절단하면 정상괴경(正常塊莖)에 비(比)하여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이 감소(減少)하였다. 4. 유아(幼芽) 유근제거(幼根除去), 괴경제거(塊莖除去) 및 괴경(塊莖)을 절단할 때 생산(生産)된 괴경수(塊莖數)는 정상괴경(正常塊莖)에 비(比)하여 많은 경우가 있었다. 5. 올방개의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과 지하부(地下部) 괴경수(塊莖數) 및 괴경중(塊莖重)과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6. 올방개 괴경(塊莖) 건물(乾物) 100g 당(當) 당질(糖質)은 78.9g, 인(燐)은 77mg, 철분(鐵分)은 16.8mg, 니아신은 1.3mg 함유(含有)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