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otus spp.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6초

산패유를 이용한 느타리버섯 균사체의 생산 (Production of Pleurotus spp. Mycelium Using Rancid Frying Oils)

  • 정기태;주인옥
    • KSBB Journal
    • /
    • 제11권5호
    • /
    • pp.572-576
    • /
    • 1996
  • Conditions for the culture of Pleurotus spp. mycelium using rancid frying oils were investigated. Among the six strains tested, Pleurotus ostreatus CBS 03 showed the greatest mycelial growth on fish paste and ramyon frying oil, and was used in this study.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mycelial growth were from 25 to $30^{\circ}C$ and pH 5.5 to 6.0, respectively. Tryptone for mycelial growth was better than any other nitrogen sources. The addition of $KH_2PO_4 and MgSO_4$ enhanced mycelial growth at 0.2 and 0.01% on fish frying oil, and at 0.1 and 0.03% on ramyon frying oil. Among the vitamins used, thiamine and nicotinic acid were the most effective ones.

  • PDF

Molecular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Green Mold, Trichoderma spp. isolated from Oyster Mushrooms

  • Choi, In-Young;Hong, Seung-Beom;Yadav, Mahesh C.
    • Mycobiology
    • /
    • 제31권2호
    • /
    • pp.74-80
    • /
    • 2003
  • Isolates of Trichoderma spp. collected from Pleurotus ostreatus and P. eryngii beds, which included loosened substrate compactness and development of green colour, were grouped into three species. The occurrence of different species of Trichoderma was as T. cf. virens(70.8%), T. longibrachiatum(16.7%) and T. harzianum(12.5%). The conidia of Trichoderma spp. were ellipsoidal, obovoid and phialides were bowling pins, lageniform and the length of phialides was $3.5{\sim}10.0{\times}1.3{\sim}3.3{\mu}m$. Phialides of T. cf. virens and T. harzianum were tending clustered, but it was solitary disposition in T. longibrachiatum. T. cf. virens was characterized by predominantly effuse conidiation, sparingly branched, and fertile to the apex and it was penicillate type. RAPD analysis could detect variability amongst three different species of Trichoderma using two newly designed URP-primers. However, intra-specific variation could not be detected in all the isolates except for rDNA sequence data classified Trichoderma isolates into three distinct groups representing three species. The profiles of rDNA sequences of isolates representing a species showed high similarity in T. cf. virens and T. harzianum. However, there was a variation in rDNA sequences of isolates representing T. longibrachiatum.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reveals that molecular techniques of RAPD and rDNA sequencing can greatly aid in classification based on morphology and precise identification of fast evolving species of Trichoderma.

느타리버섯 속(Pleurotus spp.)의 계대배양에 따른 유전적 변이 (The Genetic Variations of Pleurotus spp. on Subculture)

  • 강경홍;송주희;김홍남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3-30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느타리버섯과 큰느타리버섯의 균사체 계대배양에 따른 유전적 변이 양상을 조사하고, 각각의 이핵체와 단핵체를 RAPD 방법으로 계대배양 횟수에 따른 변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유전적 변이와 생장력과의 관계를 추적하기 위하여 계대배양 횟수 및 종에 따른 생장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균사생장력은 대체적으로 3회와 4회째 계대배양 때의 생장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5회째 이상부터는 감소하였다. 느타리버섯 이핵체는 가장 빠른 생장속도를 보였으며, 느타리버섯 단핵체와 큰느타리버섯 이핵체, 단핵체는 거의 비슷한 속도로 생장하였다. 또한, 느타리버섯의 이핵체와 큰느타리버섯 이핵체 간의 생장속도는 동일한 조건에서 약4배의 차이기 났다. 유사성 조사에서는 느타리버섯 이핵체는 57.5%, 단핵체 85.7%, 큰느타리버섯 이핵체는 71.8%, 단핵체 72.2% 이상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균주의 변이는 생장속도와 균주의 type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생장속도가 빠른 균주가 느린 균주보다 변이가 많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핵균주보다는 단핵균주가 유전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phylogenetic tree에서는 종, 균주 type, 균주 생장속도 및 계대배양 횟수와는 무관하게 branch가 분기되고, grouping 되었다. 결론적으로, 균사체의 많은 계대배양은 생장속도를 저하시키고, 유전적 변이를 야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동일한 조건의 배양에서 이핵균주로 배양 보존하는 것보다는 단핵균주로 배양 보존하는 것이 종균제조와 육종에 유리한 것으로 사료된다.

느타리버섯의 Benomyl 저항성(抵抗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Benomyl Resistance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spp.))

  • 유성준;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8
    • /
    • 1984
  • 1. Benomyl은 버섯류(類)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을 억제(抑制)하였는데 $ED_{50}$은 Pleurotus spp. 25ppm, Agaricus bisporus 50ppm, Flammulina velutipes 200ppm으로서 Pleurotus spp.가 benomyl에 대하여 감수성(感受性)이 가장 높았다. 2. Benomyl 함유배지(含有培地)에서 계대배양(繼代培養)할 때 5세대(世代) 및 10세대(世代)에는 1세대(世代)보다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증가(增加)하였고 생장증가율(生長增加率)은 명(各) 버섯균(菌)의 benomyl $ED_{50}$농도(濃度)에서 가장 높았다. 3. Benomyl 처리(處理) 배지(培地)에서의 계대별(繼代別) 균사생장(菌絲生長)은 균(菌)의 종류(種類)에 따라 달라서 P. florida는 5세대(世代), Agricus bisporus는 7대(代)까지는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증가(增加)하다가 그후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Benomyl의 계속처리(繼續處理)는 mutant sector의 발생(發生)을 유기(誘起)하였는데 sector의 출현(出現)은 benomyl의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낮을때 빨랐으며 P. ostreatus가 P. florida 보다 빨랐다. 5. Benomyl에 의해 유기(誘起)된 mutant sector는 약제(藥劑)에 계속처리(繼續處理)된 모(母) colony 보다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빨랐으나 benomyl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에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benomyl란 함유배지(含有培地)에서 계대배양시(繼代培養時) 정상(正常) colony에서 보인 균사생장(菌絲生長)의 증가(增加)는 약제저항성(藥劑抵抗性)에 기인(起因)하는 것이었다.

  • PDF

rDNA의 ITS II 부위의 염기서열분석에 의한 느타리버섯 종간의 근연관계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Pleurotus species Inferred from Sequence Data of PCR Amplified ITS II Region in Ribosomal DNA)

  • 배신철;성기영;이신우;고승주;은무영;이인구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2호통권77호
    • /
    • pp.155-165
    • /
    • 1996
  • 느타리 버섯속 6종 23균주에 대한 rDNA의 ITS II 부위의 DNA 염기서 열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종간 및 종내의 근연관계를 조사하였다. rDNA의 ITS II 부위를 증폭하고자 5.8S rDNA의 3'말단 부위와 285 rDNA의 5'말단 부위에 두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증폭을 행하였다. 느타리버섯 6종의 게놈 DNA로 부터 ITS II 부위를 증폭한 결과 종에 따라 밴드 길이에 차이가 있었으며 ITS II 부위의 길이 차이로 느타리 버섯 6종을 구분할 수 있었다. 같은 종내 개체간 구분을 위하여 느타리 버섯 6종 23균주의 PCR 증폭 결과는 느타리버섯(P. ostreatus) ASI 2096, ASI 2025와 노랑 느타리 버섯(P. cornucopiae) ASI 2038 균주외에 동일 종내 균주의 ITS II 길이는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느타리 버섯 6종 및 ASI 2095, ASI 2025 그리고 ASI 2038에 대한 ITS II 부위의 염기서열을 비교해 보면 염기서열의 변이가 ITS II 부위가 시작되는 부분과 말단 부분에서 주로 존재하였다. ASI 2095와 ASI 2025 균주들은 동일 종내 느타리 버섯(P. ostreatus, ASI 2001) 균주와 ASI 2038와 ITS II 부위의 DNA 염기서열에 차이를 보였다. 이들 염기서열을 기초로 하여 Neighbor program을 이용한 균주간 유연관계는 느타리 버섯(P. ostreatus), 사철 느타리 버섯(P. florida), 여름 느타리 버섯(P. cornucopiae) 그리고 맛 느타리 버섯(P. eryngii)들이, 노랑 느타리 버섯(P. cornucopiae)과 호고 느타리 버섯(P. cystidious)이 각각 서로 가까운 유연관계를 나타내었으나 ASI 2025와 ASI 2038 균주 들은 특이한 계통분지를 나타내었다.

  • PDF

Infectious RNA Viruses in the Edible Mushroom Pleurotus spp.

  • Park, Jeonga-Soo;Kim, You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4권1호
    • /
    • pp.61-67
    • /
    • 1996
  • Double-stranded RNA (dsRNA) viruses and single-stranded RNA(ssRNA) viruses were detected in a strain of Pleurotus mushroom cultivated in a farm. Those fungal virsus were purified in the pH 6.0 or pH 7.2 using CsCI or Cs$_{2}$SO$_{4}$ buoyant density centrifugation. Each viral particles were not completely separated at any trials. However, mushroom bacili-form virus contains a single major nucleic acid with 0.7 Kb ssRNA, which might code for 20 Kd viral capsid protein. The dsRNAs are encapsidatred into spherical-form viruses, whereas ssRNA viral genomes are encapsidated into two different sizes of bacili-form particles. A healthy-looking mushroom also contained some spherical-form viruses with dsRNAs. Laboratory strains of Pleurotus ostreatus and a cultivated strain of P. sajor-caju did not show any viral particles. Mushrooms with specific disease symptoms. however, contained at least four different sizes of spherical-form viruses. Thus, we concluded that a bacilli-form virus case a severe disease symptoms of adnormal on mushroom development.

  • PDF

느타리버섯 푸른곰팡이병에 대한 Thiabendazole의 방제효과 (Effects of Thiabendazole on Green Mold, Trichoderma spp. during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spp.)

  • 전창성;유창현;차동열;김광포
    • 한국균학회지
    • /
    • 18권2호
    • /
    • pp.89-96
    • /
    • 1990
  • Thiabendazole이 느타리버섯 재배에서 발생하는 푸른곰광이병에 방제약제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천배지상에서 원제농도가 50ppm 처리구에서는 ASI 2001, 2072, 2016, 100 ppm에서는 ASI 2018, 500 ppm에서는 ASI 2070호가 균사생장이 억제되었다. 2. 볏짚의 침수시 처리된 약제의 농도 중 0.2g/1000ml 이상의 처리구에서 느타리버섯 균사생장이 억제되기 시작하였다. 3. 공시약제의 모든 처리는 푸른곰광이 병원균의 처리구와 푸른곰팡이 병원균과 느타리버섯균의 혼합처리구에서도 컬럼의 하단부에 푸른곰장이병의 발생을 발견할 수 없었다. 4. 살균 전 균상표면에 약제를 농도별로 표면살포한 결과 방제효과는 $2g/m^2$$5g/m^2$의 처리구에서 병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수량성은 $5g/m^2$ 처리구에서 가장 수량이 높았다.

  • PDF

Trichoderma속(屬)이 생산(生産)하는 항생물질(抗生物質)이 느타리버섯균(菌)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s of Antibiotic Components Produced by Trichoderma spp. to Oyster Mushroom)

  • 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5-109
    • /
    • 1985
  • 버섯 재배상(栽培床에)서 Trichoderma속(屬)을 분리, 동정하고 아울러 Trichoderma속(屬)이 생산하는 항생물질(抗生物質)이 느타리버섯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리된 Trichoderma속(屬)은 Rifai의 검색표에 따라 동정한 결과 Trichoderma hamatum, Trichoderma viride, Trichoderma koningii로 확인되었다. 2) 분리 동정된 Trichoderma속(屬) 중에서 Trichoderma viride(No. 10)이 느타리 버섯균 생육(生育)에 대한 저해율이 제일 높았다. 3) 각종 버섯균 중에서 Trichoderma viride(No. 10)에 의한 저해는 Pleurotus ostreatus와 Pleurotus sajor-caju가 제일 심했고 그 다음으로는 Lentinus edodes, Flammulina velutipes, Auricularicula auricula순이었다. 4) 추출된 백색 침상 결정 항균력(抗菌力)은 각각 1/10의 농도와 500ppm의 농도에서 cycloheximide $100{\sim}200ppm$의 항균력(抗菌力)에 해당하였다.

  • PDF

합성(合成) 배지(培地)에서 느타리속(屬)이 생산(生産)하는 섬유소(纖維素) 분해효소(分解酵素)에 관한 연구(硏究)(제2보) -비타민류(類), 무기(無機) 염류(鹽類)와 배양(培養) 조건(條件)의 영향(影響)- (Studies on Cellulases Produced by Pleurotus spp. on Synthetic Medium(II) -Effects of Vitamins, Inorganic Salts and Cultural Conditions-)

  • 홍재식;이종배;고무석;김정숙;이극로;정기태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7-41
    • /
    • 1986
  • Pleurotus spp.중 섬유소(纖維素) 분해효소(分解酵素) 생산력(生産力)이 가장 강한 Pleurotus sajor-caju JAFM 1017을 합성배지(合成培地) 상에서 vitamin류(類), 무기염류(無機鹽類)와 배양조건(培養條件)의 영향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섬유소(纖維素) 분해효소(分解酵素) 생산(生産)은 folic acid와 thiamine-HCI에 의해 촉진되었고 $KH_2PO_4$$MgSO_4$의 최적농도(最適濃度)는 각각 0.2%, 0.04%(w/v)이었으며 그 밖의 무기염류(無機鹽類)는 효과(效果)가 없었다. 효소생산(酵素生産)에 최적(最適)인 배양온도(培養溫度)와 배지(培地) pH는 avicelase가 $25^{\circ}C$, 5.5이었고, CMCase는 $30^{\circ}C$, 5.0이 였으며, ${\beta}-glucosidase$$30^{\circ}C$, 6.5이었다.

  • PDF

Efficient Recovery of Lignocellulolytic Enzymes of Spent Mushroom Compost from Oyster Mushrooms, Pleurotus spp., and Potential Use in Dye Decolorization

  • Lim, Seon-Hwa;Lee, Yun-Hae;Kang, Hee-Wan
    • Mycobiology
    • /
    • 제41권4호
    • /
    • pp.214-220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erform efficient extraction of lignocellulolytic enzymes amylase (EC 3.2.1.1), cellulase (EC 3.2.1.4), laccase (EC 1.10.3.2), and xylanase (EC 3.2.1.8) from spent mushroom compost (SMC) of Pleurotus ostreatus, P. eryngii, and P. cornucopiae. Optimal enzyme recovery was achieved when SMCs were extracted with 50 mM sodium citrate (pH 4.5) buffer at $4^{\circ}C$ for 2 hr. Amylase, cellulase, and xylanase activities showed high values in extracts from P. ostreatus SMC, with 2.97 U/g, 1.67 U/g, and 91.56 U/g, respectively, whereas laccase activity and filter paper degradation ability were highest in extracts from P. eryngii SMC, with values of 9.01 U/g and 0.21 U/g, respectively. Enzymatic activities varied according to the SMCs released from different mushroom farms. The synthetic dyes remazol brilliant blue R and Congo red were decolorized completely by the SMC extract of P. eryngii within 120 min, and the decolorization ability of the extract was comparable to that of 0.3 U of commercial laccase. In addition, laccase activity of the SMC extract from P. eryngii was compared to that of commercial enzymes or its industrial application in decolor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