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al fluid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21초

흉막중피 세포종 -4례 보고- (Pleural Mesothelioma -Report of 4 Cases-)

  • 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권1호
    • /
    • pp.49-54
    • /
    • 1969
  • Four cases of pleural mesothelioma were treated surgically. The tumors from all cases were microscopicaly malignant, although only in one case the tumor was found to be diffuse in growth. The diagnosis made before operation were exudative pleurisy, empyema or lung cancer with no tumor cells found in examination of pleural fluid, sputum or the specimen of pleuraI biopsy. In two cases only the tumors were resected, and in other two cases pneumonectomy and pleuropneumonectomy were performed. Irradiations added in two cases postoperatively were found not to be beneficial. Postoperative recurrence of tumor growth were found in three cases within two months after surgery, and in one case no evidence of recurrence was noted four and a half months after resection of the tumor.

  • PDF

항결핵치료 종료후 발생한 농흉 (Empyema Occurred after Completion of Antituberculous Chemotherapy)

  • 윤기헌;유지홍;강홍모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6호
    • /
    • pp.554-558
    • /
    • 1992
  • A 38 years old man had been treated as a pulmonary tuberculosis by the positive result of acid fast stain of bronchial washing from the focal infiltrative lesion at left lower lobe. On radiologic examination after one year treatment, there was an aggravation of lesion at left lower lobe with moderate amount of pleural effusion at the same side. After 11 weeks, follow up chest film disclosed bilateral pleural effusion. The pleural fluid of both side was pus in gross appearance with low pH, high LDH, low glucose and high protein. Pleurodectomy was performed to remove the loculated empyema with the thickened pleura of right thorax. This pleuro-pulmonary lesion can be easily misdiagnosed as a tuberculous lesion if it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as a possible diagnosis.

  • PDF

흉막 및 종격동 질환의 방사선학적 소견 (Radiological Findings of Pleural and Mediastinal Diseases)

  • 최요원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6호
    • /
    • pp.543-553
    • /
    • 2005
  • Radiological analysis of chest lesions detected on chest radiographs or CT scans begins with their classification into parenchymal, pleural, or extrapleural lesions according to their presumed origin. The mediastinum is divided anatomically into the anterior, middle, and posterior mediastinal compartments, and localizing a mediastinal mass to one of these divisions can facilitate their differential diagnosis. A differential diagnosis of a mediastinal mass is usually based on a number of findings, including its location; the structure from which it is arising; whether it is single, multifocal (involving several different areas or lymph node groups), or diffuse; its size and shape; its attenuation (fatty, fluid, soft-tissue, or a combination of these); the presence of calcification along with its characteristics and amount; and its opacification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contrast agents.

합병부폐렴삼출 및 농흉의 치료성적과 예후인자 (Treatment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of Complicated Parapneumonic Effusion and Empyema)

  • 김영주;차승익;권지숙;유승수;전희정;김은진;김창호;박재용;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1호
    • /
    • pp.24-30
    • /
    • 2007
  • 연구배경: 폐렴 환자 중 약 40%에서 흉막삼출이 동반되고 이 가운데 약 10%에서 배액이 필요한 합병부폐렴삼출 또는 농흉으로 진행된다. 저자들은 합병부폐렴삼출 및 농흉 환자에서 치료성적과 예후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9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합병부폐렴삼출 및 농흉으로 치료받았던 1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대상환자 중 101예(87.8%)에서 치료성공을 보였는데 다변량분석에서 흉막액 LDH 수치(OR 7.37;95% CI, 1.63-33.37; p=0.009)가 치료성공 및 실패에 중요한 예후인자로 나타났다. 해열기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인자로는 흉막액의 농성여부(r=0.236;p=0.01)와 섬유소용해물질 사용빈도(r=0.257; p=0.01)가 확인되었고 입원기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인자는 없었다. 결 론: 흉막액 LDH 수치가 합병부폐렴삼출 및 농흉에서 치료성적과 연관된 예후인자로 생각된다.

농흉 환자의 흉막액에서 분리된 Bifidobacterium dentium strain ATCC 15424의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 (Genome sequence of Bifidobacterium dentium strain ATCC 15424 originally isolated from pleural fluid of an empyema patient)

  • 문지회;김수진;양석빈;장은영;신승윤;이진용;이재형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80-28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농흉 환자의 흉막액에서분리된 Bifidobacterium dentium ATCC 15424균주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보고한다. 이 균주의 유전체는 구강에서 분리된 다른 B. dentium 균주에 존재하지 않는 type III 및 IV secretion system proteins, N-acetylmuramoyl-L-alanine amidase 그리고 PRTRC system protein E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등 247개의 ATCC 15424균주 특이적인 유전자들을 포함한다. 이 유전체의 서열 정보는 B. dentium의 자연적 변이와 세균 종 내의 유전체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림프구 우위성 삼출성 늑막액의 진단에 있어서의 경피적 늑막 침 생검의 역할 (The Role of Percutaneous Pleural Needle Biopsy in the Diagnosis of Lymphocyte Dominant Pleural Effusion)

  • 임재준;김우진;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899-906
    • /
    • 1997
  • 연구 배경 : 경피적 늑막 침 생검술은 항산균 검사 음성이고 세포진 검사에서 악성세포를 찾을 수 없는 림프구 우위성 삼출성 늑막액의 진단에 있어서 시금석으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경피적 늑막 침 생검술은 침습적인 시술이며 그 진단율이 않고 비교적 높은 부작용을 동반한다. 최근 흉수의 adenosine deaminase와 carcinoembryonic antigen의 농도가 결핵성 늑막염과 악성 감별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경피적 늑막 칩 생검의 유용성을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4년 1월부터 1996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 입원한 림프구 우위성 흉막 삼출증 환자 중 항산균 도말 검사가 음성이고 세포진 검사 역시 음성이어서 늑막 침 생검을 시행한 7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늑막 침 생검의 결과와 합병증의 병발 비율을 조사하였으며 흉수의 ADA가 40IU/L이상인 집단, CEA가 10ng/ml 이상인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최종 진단과 늑막 침 생검 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 총 73례의 늑막 침 생검으로 35례에서는 특이 진단이 가능하였는데 모두 결핵성 늑막염과 합치하는 소견이었으며 30례에서는 비특이적 늑막염으로 특이진단을 내릴 수 없었고 나머지 8례는 적절한 늑막 조직을 얻지 못하였다. 기흉등의 합병증은 9례 즉 12%에서 발생하였다. 흉수 ADA 수치가 40IU/L 이상이었던 49례의 경우 진단을 내리지 못한 2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결핵성 늑막염으로 진단되어 결핵성 늑막염에 대한 양성예측율은 100%였는데 늑막 침 생검으로는 28례만을 결핵성 늑막염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한편 흉수 CEA가 10ng/ml 이상이었던 6례는 결국 악성 늑막 삼출 4례, 악정 종양과 연관된 늑막삼출과 결핵성 늑막염 각 1례씩으로 진단되어 악성 늑막 삼출에 대한 양성 예측율은 83%였고 늑막 침 생검으로는 한례도 진단해내지 못하였다. 결 론 : 항산균 도말 검사와 세포진 검사 음성인 림프구 우위성 늑막 삼출의 진단에 있어서 경피적 늑막 침 생검의 진단율은 48%로 높지 않으며 흉수 ADA가 충분히 CEA가 낮은 경우의 결핵성 늑막염에 대한 양성 예측율은 100%로 경피적 늑막 칩 생검의 역할이 재검토되어야 한다.

  • PDF

체강액에서 총 Lactate dehydrogenase 및 Lactate dehydrogenase 동위효소 측정의 진단학적 의의 (Diagnostic Significance of Total Lactate Dehydrogenase(LD) and LD Isoenzyme Measurement in the Body Fluids)

  • 전창호;배은경;홍석일;김정숙;이영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93-199
    • /
    • 1986
  • 1984년 10월부터 1986년 5월까지 영남대병원 임상병리과에 의뢰된 132예의 복수액과 늑막액의 진단적가치를 설정하기위한 연구로서 총 LD, LD 동위효소의 활성도, 생화학 및 혈액학적 검사, 세포진검사 등의 소견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복수액은 총 LD활성도 및 단백양으로 여출액의 감별이 가능하였다. 2. 복수액과 늑막액의 악성삼출액은 LD2가 염증성 삼출액에 비하여 증가되었고(P<0.01), 혈청에 비하여 LD4가 증가되어(P<0.05)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3. 늑막액과 복수액의 염증성 삼출액은 LD5가 증가하여 혈청과 악성삼출액에 비하여 의의성 있는(P<0.05) 증가를 나타내었다. 4. 복수액에서는 염증성 삼출액의 총 LD양은 악성삼출액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여 총 LD활성도에 의한 삼출액의 구별이 가능하였으나 늑막액에서는 악성 삼출액과 결핵성 삼출액의 총 LD 활성도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5. 총 LD 및 LD5동위효소의 삼출액에서 백혈구수와 상관관계가 성립하지 않았다.

  • PDF

결핵성 늑막염에서 삼출액의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지표 (Clinical Indices Predicting Resorption of Pleural Effusion in Tuberculous Pleurisy)

  • 이재호;정희순;이정상;조상록;윤혜경;송치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5호
    • /
    • pp.660-668
    • /
    • 1995
  • 연구배경: 결핵성늑막염은 항결핵요법만으로 치료가 잘되므로 일반적으로 진단목적의 천지이외에 늑막 삼출액의 배액 등 적극적 처치는 불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삼출액의 소방화나 늑막비후로 인한 호흡곤란으로 늑막박피술 등의 처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흔히 접하게 된다. 본 연해서는 결핵성늑막염으로 항결핵제를 투여받았으나 후유증이 남아 늑막박피술을 받은 군과 약제만으로 치료하여 호전된 군간에 임상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1년부터 1993년사이에 서울특별시립 보라매병원에서 늑막생검상 결핵성늑막염으로 확진된 증례중 항결핵요법만을 받고 9개월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의 나이, 성별, 증상발현부터 치료까지의 기간, 일반화학검사결과 등을 알아보고, 늑막삼출액의 정도를 흉부방사선소견에 따라 나눈다음 후유증이 남아 늑막박피술을 받은 20명을 1군으로, 9개월의 항결핵요법만으로 호전된 20명을 2군으로 분류하여 두군사이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1) 늑막삼출액의 포도당치는 1군이 $63.3{\pm}30.8$, 2군이 $98.5{\pm}34.2$(mg/dl), 락트산탈수소효소치는 1군이 $776.6{\pm}266.0$, 2군이 $376.3{\pm}123.1$(IU/L) 그리고 증상 발현부터 치료까지의 기간도 1군이 $2.0{\pm}1.7$, 2군이 $1.1{\pm}1.2$(month)로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2) 1군에서 폐환기능은 수술후 2개월에 노력성폐활량이 $2.55{\pm}0.80$에서 $2.99{\pm}0.78$로, 1초시 호기량이 $2.19{\pm}0.7$에서 $2.50{\pm}0.69$(L)로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4예의 수술병리소견은 활동성결핵을 시사하였다. 3) 늑막삼출액의 백혈구감별산정 및 단백질값에는 두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결핵성늑막염에서 상대적으로 늑막삼출액의 포도당치가 낮거나 락프산탈수소효소치가 높은 경우에는 항결핵 요법후에도 후유증이 남을 확률이 높고 병리학적으로도 결핵이 완치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수술후에는 폐기능장애의 개선도 기대되므로, 유의한 후유증이 남으면 수술요법 등의 적극적 치료를 고려해야한다. 향후 결핵성늑막염이 항결핵요법만으로 후유증없이 치유되는가에 대한 검토와 함께 늑막삼출액의 흡수정도를 예측할수 있는 임상적지표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체강 삼출액의 세포학적 검사에서의 p53 면역염색의 유용성 (p53 Immunoreactivity in the Cytology of Body Cavity Fluid)

  • 성순희;한운섭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0
    • /
    • 1998
  • Mutant form of the p53 gene product is abnormally accumulated in the nuclei of the tumor cells due to prolonged half life, and readily detected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To determine the positivity rate of p53 in body cavity fluid according the primary site and histological types of tumors and the utility of p53 immunostaining as an adjunct in the diagnosis of malignancy, we reviewed 69 effusions, including pleural effusion, ascitic fluid, and pericardial fluid, that were diagnosed as overt malignancy and 21 effusions of suspicious malignancy, immunohistochemistry was performed on paraffin-embedded cell blocks using a monoclonal antibody to p53 supressor gene product(Clone DO7) and a standard avidin-biotin complex technique with a citrate buffer antigen retrieval solu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f the 46 pleural effusions with overt malignancy, 22 were immunopositive for p53 protein; of the 21 ascitic fluids with overt malignancy, 5 were positive for p53. Positivity rates according to the primary sites of tumors were 18 of 34(52.9%), 8 of 21(38.1%), 1 of 9(11.1%) cases of the tumors of the lung, GI tract, and ovary,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histologic types of lung cancer, 11 cases(61.6%) were positive out of 18 adenocarcinomas, 2 of 5 large cell undifferentiated carcinomas, and 1 of 2 small cell undifferentiated carcinomas. Of 21 cases of suspicious malignancy, 6 were positive for p53 and all of them(6/6) were confirmed as adenocarcinoma of the lung or GI trac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53 immunostaining using paraffin embedded cell block is useful diagnostic and prognostic marker in body fluid cytology although negative immunostaining does not exclude malignancy.

  • PDF

다량의 흉수를 동반한 난소 과자극 증후군 1례 (A Case of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with Massive Pleural Effusion)

  • 박형관;김유일;황준화;장일권;김영철;이여일;박경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684-691
    • /
    • 1997
  • 배란장애에 의한 불임증의 치료로 hMG/hCG등의 생식선 자극 호르몬을 이용한 배란 유도법이 많아 시용되는데 이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으로 난소 과자극 증후군(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이 드물게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전신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로 인해 체액 저류가 야기되어 부종 및 수, 심한 경우 다량의 흉수 등으로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다. 32세 여자환자에서 배란유도에 의한 불임치료를 목적으로 hMG 투여후 다량의 삼출성 흉수를 동반한 중증 난소과자극 증후군 1례를 경험하였고 흉관 10L이상의 흉수를 제거하고 기타 대증요법을 통해 완치되었던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