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al fluid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34초

경피경간 담도내시경술 이후에 발병한 담즙흉 1예 (A Case of Cholethorax following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scopy)

  • 박찬성;이순정;도기원;오쌍용;조현;김민수;홍일기;방성조;제갈양진;안종준;서광원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2호
    • /
    • pp.131-136
    • /
    • 2008
  • 담즙흉은 담도 또는 담낭과 흉강 사이에 형성된 누공을 통해 담즙이 흉강으로 누출되어 흉수의 형태로 관찰되는 흉막염의 일종으로, 주로 흉강-복부 외상과 관련된 매우 드문 합병증이며 그동안 국내에는 담즙흉에 대한 문헌보고가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외상 후 흉막성 흉통과 호흡곤란을 호소하였고 담도결석 제거를 위한 경피경간담도내시경술 이후에 흉수가 발생한 환자에서 담즙흉으로 진단된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점액양 연골 육종 1례의 세침 흡인 세포학적 소견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Myxoid Chondrosarcoma of Pleura -A Case Report-)

  • 명나혜;조경자;장자준;조재일;심영목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52-157
    • /
    • 1990
  • 70세 여자의 늑막에 발생한 점액양 연골육종의 세침흡인세포학적 소견을 기술하였다. 환자는 4개월간의 좌측 흉통과 2개월간의 호흡곤란을 호소하였고 흉부 X-선 및 전산화 단층촬영상 좌측 늑막강에 위치하여 흉벽을 침범하는 커다란 분엽상 저음영성 종괴와 늑막 삼출액이 관찰되었다. 종괴의 세침 흡인 도말은 세포 밀도가 매우 높았고, 세포질이 풍부한 나원형 세포들이 점액성 물질내에 산재되거나 간혹 뭉쳐 있었다. 풍부한 세포질은 불투명한 청색으로 소포를 함유하기도 하였으며 그 경계는 흩어진 세포에서는 비교적 분명했으나 세포집단에서는 불분명하였다. 핵들은 한쪽으로 치우쳐져 둥글거나 난원형을 보였고 염색질은 미세하였으며 다수의 작은 핵소체를 갖고 있었다. 세포들간의 다형성이나 유사분열은 잘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소견은 연공육종의 세포학적 특징과 유사했으나 연골 성분이 관찰되지 않았고 점액성 물질이 매우 풍부하여 확진을 위한 생검이 시행되었고 조직학적으로 점액양 연골육종임이 확인되었다.

  • PDF

결핵성 흉막염에서 초감염 결핵과 재발성 결핵의 임상 양상 (Tuberculous Pleurisy :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imary and Reactivation Disease)

  • 홍구현;임상수;신재민;박재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6호
    • /
    • pp.526-532
    • /
    • 2006
  • 연구배경: 결핵성 흉막염은 대부분 초감염 결핵의 형태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결핵환자가 감소함에 따라 초감염 결핵보다 재발성 결핵으로 결핵성 흉막염이 발생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6년 2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에서 결핵성 흉막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과거력과 방사선 소견에 따라 초감염 결핵과 재발성 결핵으로 분류하고 두 군 사이에 임상 소견, 방사선 소견, 그리고 6 개월 동안 항결핵 약물치료 후 잔여 흉막비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 과: 1. 결핵성 흉막염 환자 141명 중에서 135명에서 초감염 결핵과 재발성 결핵의 구분이 가능하였는데 초감염 결핵의 소견을 보인 환자는 38명(28%), 재발성 결핵의 소견을 보인 환자는 97명(72%)으로 재발성 결핵의 소견을 보이는 환자가 더 많았다. 2. 초감염과 재발성 결핵 환자 사이에서 성별, 나이, 증상의 발현 시작부터 흉수검사까지의 기간, 진단 시의 흉수의 양, 흉수 총백혈구수, 림프구수, LDH, ADA 수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6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24명의 환자들의 잔여 흉막비후의 정도에 있어서 초감염 결핵과 재발성 결핵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결핵성 흉막염 환자 중에서 초감염 결핵보다 재발성 결핵의 소견을 보이는 환자가 더 많았으며 두 군 사이에 임상 소견, 방사선 소견, 흉수 소견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6 개월 치료 후의 잔여 흉막비후의 정도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흉수의 감별 진단 시 Soluble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1 (sTREM-1)의 유용성 (Soluble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1: Role in the Diagnosis of Pleural Effusions)

  • 김정현;박은영;김원희;박웅;정혜철;이지현;김은경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4호
    • /
    • pp.290-298
    • /
    • 2007
  • 연구배경: 흉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생성되며 임상적으로 여출액과 삼출액으로 구분하게 되며 삼출액일 경우에는 그 원인 질환들을 감별해야 하나 적용할 만한 표지자가 많지 않다. Soluble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sTREM-1)는 면역글로블린의 일종으로 세균이나 진균 감염에서 증가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활성화된 탐식세포에서 떨어져 나와 체액에서도 수용성 상태로 발견될 수 있다. 저자들은 흉수에서 sTREM-1의 측정이 흉수의 감별 진단에 유용한지와 감염성 질환에 의한 흉수에 대한 표지자로서 유용한지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흉수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에서 흉수의 세포 수 및 백혈구 분획, 생화학적 검사(pH, protein, LDH, glucose), 세포진 검사, ADA, 미생물학적 검사 결과 이외에 sTREM-1을 측정하였다. 대상환자는 48명으로 남:여 각각 27:21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9세였다. 최종 진단은 암성 흉수는 13명, 결핵성 흉수는 14명, 부폐렴성 흉수는 17명, 여출성 흉수는 4명이었다. 결과: 흉수의 sTREM-1은 부폐렴성 흉수에서 $344.0{\pm}488.7pg/mL$로 결핵성 흉수($81.7{\pm}56.6pg/mL$)와 악성 흉수($39.3{\pm}19.6pg/mL$)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부폐렴성 흉수에 대한 sTREM-1의 ROC 곡선 결과 55.4 pg/mL에서 민감도와 특이도가 각각 70.6%와 74.1%로 측정되었다. 또한 흉수 sTREM-1은 흉수의 호중구수, 흉수 LDH, 흉수/혈청 LDH, 흉수 ADA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흉수의 sTREM-1은 부폐렴성 흉수에서 다른 원인의 흉수에서보다 유의하게 상승되어 부폐렴성 흉수의 표지자로서 유용하였으며 기존의 진단 표지자에 더하여 흉수의 감별진단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핵성 흉막염 환자에 있어서 효소결합 면역분석법으로 측정한 Purified-Protein-Derivative와 Lipoarabinomannan-B에 대한 Immunoglobulin G 항체의 진단적 가치에 관한 연구 (Immunoglobin G Antibodies to Purified-Protein-Derivative and Lipoarabinomannan-B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in the Diagnosis of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 문태훈;조철호;곽승민;김진주;조상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4호
    • /
    • pp.455-464
    • /
    • 1995
  • 연구배경: 인체의 결핵균 감염에 대하여 체액성 면역과 세포 매개성 면역이 함께 관여하며 효소결합 면역 분석법으로 결핵균 항원에 대한 항체(IgG)를 측정하는 것은 결핵성 흉막염 진단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방법: 1992년 5월부터 1994년 7월까지 인하대학교 인하병원에 흉막염으로 입원하였던 환자 중 원인이 확진된 결핵성 흉막염 환자 40예, 비결핵성 흉막염 환자 19예를 대상으로 하여 혈청 및 흉막액에서 PPD 항원과 LAM-B 항원에 대한 IgG 항체가의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결과: 1) 결핵성 흉막염군의 흉막액 및 혈청내 PPD와 LAM-B 항체가는 비결핵성 흉악염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05) 2) 혈청내 PPD와 LAM-B 항체가는 흉막액내 항체가 보다 높았다. 3) PPD와 LAM-B에 대한 흉막액 항체와 혈청 항체간에는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4) 흉막액 PPD 항체의 결핵성 흉막염 진단기준을 0.091로 할 경우 진단적 예민도는 55.0%, 94.7%를 나타내었다. 5) 흉막액 LAM-B 항체의 결핵성 흉막염 진단기준을 0.337로 할 경우 진단적 예민도는 50.0%, 특이도는 94.7%를 나타내었다. 5)결핵성 흉막염군의 진단 양성률은 PPD 피부반응 검사, 흉막액의 양, 활동성 폐결핵 동반여부 등에 의해 영향받지 않았다. 결론: PPD와 LAM-B에 대한 IgG 측정은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PPD와 LAM-B에 대한 IgG는 수동적으로 흉막조직을 통해 혈청에서 흉막액으로 이동함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급성 화농성 심낭염의 임상적 관찰: 5예 (Clinical Observation of Acute Suppurative Pericarditis: 5 Cases)

  • 마중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7권1호
    • /
    • pp.79-84
    • /
    • 1974
  • Acute suppurative pericarditis is recognized as a rare disease since development of antibiotics but therapeutically as an important one. To our knowledge, acute suppurative pericarditis alone has not been reported previously in Korea. In this paper, we report 5 cases of acute suppurative pericarditis which were experienced during the period between January 1959 and December 1973. The patients ranged in age from 9 months to 59 years at the time of admission. Four of 5 patients were male and one female. Acute suppurative pericarditis is usually associated with pneumonia, empyema, sepsis, osteoarthritis, lung abscess, cholecystitis or tonsillitis. In our series, pneumonia was the most common associated disease. One patient had osteoarthritis. Pleural effusions were observed in three of the 5 patients. Staphylococcus aureus was cultured from pericardial fluid in 4 patients and also cultured from both pericardial and synovial fluid in one. Three of the 5 patients had cardiac tamponade and one patient required prompt pericardiocentesis. 3 of the 5 patients were treated with antibiotics and pericardiostomy, one with antibiotics and pericardiocentesis, and one with antibiotics and saline irrigation through drainage sinus from the pericardial sac. Four of the five patients were recovered without pericardial constriction. One was discharged with poor condition. In this instance, follow-up study couldn`t be made.

  • PDF

비소세포폐암에 발생한 악성 흉수의 예후 인자 (Prognostic Factors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임창영;이건;이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2호
    • /
    • pp.109-113
    • /
    • 2007
  • 배경: 비소세포폐암에 흔히 발생하는 악성 흉수는 환자의 예후에 나쁜 인자로 작용하여, 원격전이가 발생한 환자들과 비슷한 생존기간을 보인다. 비소세포폐암에 발생하는 악성 흉수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저자들은 악성 흉수가 발생한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악성 흉수를 동반한 비소세포폐암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환자의 특성(성별, 연령), 폐암 조직형 및 병기, 흉수 천자액 검사(pH, CEA, LDH, glucose, albumin), 흉수 발견 후 치료 방법을 인자로 설정하여 조사하였다. 각 인자의 생존기간을 Kaplan-Meier법으로 구한 후, log-rank test를 통한 단변량분석으로 인자 각 군의 생존기간 차이를 비교하였고,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 예후 인자를 찾기 위해 다변량분석으로 Cox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상환자 33명의 폐암 조직형은 선암이 23명으로 가장 많았다. 폐암과 악성 흉수가 동시에 진단된 경우를 제외하면 폐암 진단 후 악성 흉수가 진단되기까지의 중앙값 기간은 7.3개월($25^{th}{\sim}75^{th}:\;3.9{\sim}11.8$)이었다. 환자의 중앙값 생존기간은 3.6개월(95% Confidence Interval: $1.14{\sim}5.99$)이었다. 단변량분석에선 폐암 조직형이 유의성은 떨어지나 생존기간에 차이를 보였다(선암 4.067 vs. 비선암 1.867 개월, p=0.067). 교란변수의 영향을 제거한 다변량분석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비선암이 선암보다 사망위험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R.R 2.754, 95% Cl $0.988{\sim}7.672$, p=0.053). 결론: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악성흉수가 발생한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조직형에 따라 암사망 위험도에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 관찰되어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선천성 낭종성 기형의 외과적치료;1례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1 Case Report)

  • 이정희;임진수;최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4호
    • /
    • pp.320-324
    • /
    • 1993
  •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CCAM] of the lung is extremely rare. The patient was 10 year old female and had no specipic signs and symptoms except right lower chest pain for 5 days ago before admission.On simple chest X-ray and thoracic CT scan, about 9x8x8cm sized, heterogenous marginal enhanced multiseparated hypodence lesion with air fluid level and gas bubbles in posterior pleural space in right lower chest .The culture result of needle aspiration of cavity was apergillus flavus. Right lower lobectomy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 of biopsy was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 PDF

Thal 술식으로 치료한 Boerhaave 증후군 -1예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An Unnoticed Postemetic Esophageal Perforation With Thai Method)

  • 이재동;이종태;김규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5호
    • /
    • pp.935-940
    • /
    • 1988
  • Perforated esophagus is a surgical emergency; it is the most serious and frequently the most rapidly lethal perforation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Contamination of the mediastinum and often a pleural cavity with corrosive fluids, food material and bacteria leads to cardiorespiratory embarrassment, shock, major fluid losses and fulminating infection. Despite the improved diagnostic and treatment modalities, a perforation or leak from the esophagus remains a major source of morbidity and mortality. When esophageal perforation occurs, a successful outcome can be expected only when it is diagnosed soon after the event and repaired early. Esophageal perforations have a poor prognosis after delayed surgical treatment. With the use of the Thai onlay gastric patch method, a case of postemetic spontaneous perforation of the esophagus was successfully managed 6days after the event.

  • PDF

A T-cell type multicentric Lymphoma affecting central nervous system in a Cocker Spaniel dog

  • Kim, Ju-Won;Jung, Dong-In;Kang, Byeong-Teck;Yoo, Jong-Hyun;Park, Chul;Kim, Dae-Young;Park, Hee-Myu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63-367
    • /
    • 2008
  • A 4-year-old female Cocker spaniel was presented with respiratory distress and abdominal distension. Pleural effusion, ascites, hepatosplenomegaly, and superficial lymphadenopathy were observed and multicentric lymphoma was diagnosed by cytological examination. Immunophenotyping of lymph node and bone marrow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antigen receptor rearrangement identified a stage V lymphoma originating from T-cell. Despite of systemic chemotherapy using L-asparagenase, vincristine, cyclophoaphamide and prednisolone, neurologic deficits came out and progressed. Cerebrospinal fluid analysis revealed neoplastic lymphocytic pleocytosis indicating central nervous system involvement of lymphoma. The postmortem diagnosis was confirmed based on the histology and imunohistochemi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