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typus koryoensi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3초

참나무시들음병을 매개하는 광릉긴나무좀(딱정벌레목: 긴나무좀과)에 대하여 (Platypus koryoensis (Murayama) (Platypodidae: Coleoptera), the Vector of Oak Wilt Disease)

  • 홍기정;권영대;박상욱;류동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3-117
    • /
    • 2006
  • 2004년에 우리나라에 처음 발생이 확인된 참나무시들음병을 매개하는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 (Murayama))과 일본에서 참나무시들음병을 매개하는 Platypus quercivorus (Murayama) 성충의 형태적 특징을 도해와 함께 비교하였고, 동북아지역의 참나무시들음병과 관련된 매개충에 대하여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트랩 종류와 수간내 위치가 광릉긴나무좀, Platypus koryoensis(딱정벌레목: 긴나무좀과) 포획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rap Type and Location on Tree Trunk on Platypus koryoensis (Coleoptera: Platypodidae) Trapping)

  • 김준헌;이정수;박일권;최원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45-149
    • /
    • 2010
  • 참나무시들음병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 (Platypus koryoensis (Murayama)) (Coleoptera: Platypodidae) 모니터링에 활용 가능한 트랩 종류, 색, 설치위치가 포획수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다. 조사는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에서 수행되었으며 끈끈이 평판 트랩과 다중깔때기 트랩 두 종류 트랩이 이용되었다. 조사된 두 트랩의 종류는 광릉긴나무좀 포획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끈끈이 평판 트랩의 경우 노란색, 검정색, 흰색, 투명색으로 시험한 결과 트랩색이 광릉긴나무좀 포획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끈끈이 평판 트랩과 다중깔때기 트랩 모두 수간내 경사 위쪽과 아래쪽에 설치된 경우, 산의 경사 위쪽에 설치한 트랩에 유의하게 많은 수의 광릉긴나무좀이 포획되었다. 이는 두 가지 트랩이 모두 광릉긴나무좀 모니터링 및 방제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A New Record of Candida kashinagacola (Synonym Ambrosiozyma kashinagacola) from Galleries of Platypus koryoensis, the Oak Wilt Disease Vector, in Korea

  • Suh, Dong Yeon;Kim, Seong Hwan;Son, Seung Yeol;Seo, Sang Tae;Kim, Kyung Hee
    • Mycobiology
    • /
    • 제41권4호
    • /
    • pp.245-247
    • /
    • 2013
  • The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pest affecting oak trees in Korea. Candida kashinagacola was isolated from galleries of the beetle in oak wood and identified by analyses of morphology,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nucleotide sequence of the large subunit ribosomal DNA. This is the first report on Candida species associated with oak wilt disease vectored by the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in Korea.

Filamentous Fungi Isolated from Platypus koryoensis, the Insect Vector of Oak Wilt Disease in Korea

  • Suh, Dong-Yeon;Hyun, Min-Woo;Kim, Seong-Hwan;Seo, Sang-Tae;Kim, Kyung-Hee
    • Mycobiology
    • /
    • 제39권4호
    • /
    • pp.313-316
    • /
    • 2011
  • The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is a serious pest of oak trees i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filamentous fungi present in the body of the beetle. Fourteen genera of filamentous fungi belonging to Ascomycota and Basidiomycota were isolated. Among the isolated fungi, some were able to produce wood degrading enzymes. This is first report of fungi associated with P. koryoensis.

Yeast Associated with the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the Pest of Oak Trees in Korea

  • Yun, Yeo Hong;Suh, Dong Yeon;Yoo, Hun Dal;Oh, Man Hwan;Kim, Seong Hwan
    • Mycobiology
    • /
    • 제43권4호
    • /
    • pp.458-466
    • /
    • 2015
  • Oak tree death caused by symbiosis of an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and an ophiostomatoid filamentous fungus, Raffaelea quercus-mongolicae, has been a nationwide problem in Korea since 2004.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yeast species associated with P. koryoensis to better understand the diversity of fungal associates of the beetle pest. In 2009, a total of 195 yeast isolates were sampled from larvae and adult beetles (female and male) of P. koryoensis in Cheonan, Goyang, and Paju; 8 species were identified by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molecular analyses. Meyerozyma guilliermondii and Candida kashinagacola were found to be the two dominant species. Among the 8 species, Candida homilentoma was a newly recorded yeast species in Korea, and thus, its my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described. The P. koryoensis symbiont R. quercusmongolicae did not show extracelluar CM-cellulase, xylanase and avicelase activity that are responsible for degradation of wood structure; however, C. kashinagacola and M. guilliermondii did show the three extracellular enzymatic activities. Extracelluar CM-cellulase activity was also found in Ambrosiozyma sp., C. homilentoma, C. kashinagacola, and Candida sp. Extracelluar pectinase activity was detected in Ambrosiozyma sp., C. homilentoma, Candida sp., and M. guilliermondii. All the 8 yeast species displayed compatible relationships with R. quercus-mongolicae when they were co-cultivated on yeast extract-malt extract plates. Overall,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P. koryoensis carries the yeast species as a symbiotic fungal associate. This is first report of yeast diversity associated with P. koryoensis.

에탄올 처리에 의한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 유인목 효율 증대 (Attractant Effect of Trap Logs Treated with Ethanol to Platypus koryoensis (Coleoptera: Platypodidae))

  • 손수연;이선근;서상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43-448
    • /
    • 2015
  • 참나무시들음병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 (Murayama))(Coleoptera: Platypodidae)의 에탄올과 신갈나무 수피 추출물의 유인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유인트랩과 유인목 시험에서는 에탄올과 신갈나무 수피 추출물을 사용한 처리구가 대조구(무처리)보다 높은 유인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두 유인제 간의 유의성은 찾지 못하였다. 유인목의 직경별 침입공 수를 비교한 결과, 침입공 수는 직경이 클수록 증가하였다. 유인목의 횡단면 상부와 하부 침입공 수를 비교한 결과, 상부보다 하부에 침입공이 많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직사광선에 의한 건조가 적은 하부가 매개충의 먹이가 되는 미생물 번식에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되었다. 결과적으로 신갈나무 수피 추출물보다 비용 면에서 경제적인 에탄올이 광릉긴나무좀 모니터링 및 방제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신갈나무 수피 추출물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계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Fine Structure of the Mouthparts in the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Coleoptera: Curculionidae: Platypodinae)

  • Moon, Myung-Jin;Park, Jong-Gu;Kim, Kyung-He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2권2호
    • /
    • pp.101-108
    • /
    • 2008
  • Recently, Platypus koryoensis has been reported as a major pest of oak trees in Korea which can introduce the pathogenic fungus(Raffaelea sp.) by making galleries into the heartwood of the tree. As the beetle has developed its effective drilling mouthpart enough to make tunnels, we have analyzed the fine structural aspects of the mouthpart using the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FESEM) to reveal its mechano-dynamic characteristics. The mouthparts of this ambrosia beetle which consist of a labrum, a pair of mandibles, a pair of maxillae and the labium exhibit typical morphology of mycophagous coleopteran beetles and have those characteristics of chewing mouthparts that can excavate galleries in the hardwood. Both of maxillary and labial palpi have the functions of direct the food to the mouth and hold it while the mandibles chew the food. The distal ends of these palpi are flattened and have shovel-like setae. Females have larger maxillary palpi and a larger gular region than males in general.

광릉긴나무좀(Coleoptera: Platypodidae)의 수간내 분포와 참나무 피해 (Tree Trunk Level Distribution of Entry Hole by Platypus koryoensis (Coleoptera: Platypodidae) and Its Implication to Tree Damage)

  • 최원일;이정수;최광식;김종국;신상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7-131
    • /
    • 2008
  • 참나무시들음병의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 Platypus koryoensis(Murayama)은 한국에서 참나무시들음병원균인 Raffaelea sp.를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나무시들음 발병정도는 광릉긴나무좀의 밀도에 의존적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樹幹)내 천공수와 집중도가 참나무 피해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락산 피해지에서 고사목 6그루와 피해목 28그루의 신갈나무의 피해정도, 단위면적당 천공수, 천공간 최근거리를 수간의 상부(지표로부터 50cm)와 하부(지표면)에서 조사하였다. 상부와 하부에서의 천공수는 양의 상관을 보였으며 천공간 최근거리 또한 같은 경향을 보였다. 천공수가 증가할수록 수목의 피해도가 심하였으나 수목의 피해도가 심할수록 천공간 최근거리는 감소하였다. 천공의 분포도 수목의 피해도가 증가할수록 집중분포에서 군일분포로 바뀌었다. 광릉긴나무좀이 초기에는 집중적으로 공격을 하나 수간내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종내경쟁이 일어나고 경쟁의 결과 개체간 간섭현상이 유도되고 천공의 공간적 분포가 균일하게 변환하게 된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참나무 시들음병 발생지역의 임분구조에 관한 연구 (Stand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Oak Wilt Infected Forest, Korea)

  • 엄태원;천정화;김경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0-232
    • /
    • 2009
  • 참나무시들음병 발생지역의 임분구조 특성 파악을 통한 피해해석을 목적으로, 전라남도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7개도 18개 참나무시들음병 발생지역을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고(Group A), 아울러 참나무시들음병의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에 의한 피해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설치된 경기도와 강원도 내 5개 고정조사지에도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Group B). 그 결과 전국 18개 지역(Group A) 가운데 17개 지역에서 참나무속(Quercus spp.) 수종들의 우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참나무시들음병 피해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설치한 5개 고정조사지(Group B)에서는 참나무시들음병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가운데 하나인 천공률(Relative Density of Entrance Holes)과 조사지 내 참나무속 수종들의 상대밀도 간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R^2=0.89$, p<0.05)가 인정되어, 임분구조상 참나무속 수종의 우점도는 참나무 시들음병의 발생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