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tform Labor Market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플랫폼 노동시장의 구직기간 단축 결정요인: 웹크롤링과 생존모형을 이용한 분석 (Determinants of Shortening Job-hunting Period in Platform Labor Market: Analysis by using Web Crawling and Survival Model)

  • 이종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1-1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플랫폼 노동시장에서 신규 구직자의 임금수준이 첫 업무획득기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최근 플랫폼 노동시장은 실업률 증가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플랫폼 노동시장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고용주와 고용인 간의 신뢰형성이 중요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전 고용주의 피드백이 고용주와 고용인간의 정보 비대칭 문제해결을 위해 중요하다고 하였다. 다만, 첫 번째 업무를 획득하지 못한 신규 구직자의 경우 이전 고용주에 의한 피드백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플랫폼에서는 임금이 고용주가 아닌 구직자들에 의해 스스로 제시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신규 구직자의 낮은 임금이 구직기간 단축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Freelancer.com에서 발췌한 3,704명의 구직자 정보를 사용한다. 생존 분석 결과에 따르면, 플랫폼 노동시장에서 신규 구직자의 낮은 임금은 구직기간 단축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rrival at the Caspian Coast: Migration, Informality and Urban Transformation in Sumqayit, Azerbaijan

  • JAGER, PHILIPP FRANK
    • Acta Via Serica
    • /
    • 제5권2호
    • /
    • pp.51-90
    • /
    • 2020
  • The city of Sumqayit in Azerbaijan was famous in the USSR for its chemical plants, which supplied the whole country with plastics, detergents, and fertilizers. While production increased in the post-WWII period, young people from remote Caucasian villages were attracted as workers to the industrial settlement on the shore of the Caspian Sea and worked together with specialists from all over the USSR. Migration did not stop when the USSR collapsed. To the contrary, mobility increased as Azerbaijani refugees from Armenia and IDPs from Karabakh fled to Sumqayit, which grew to become the second-largest city of Azerbaijan. Although a generation has passed since the ceasefire, IDPs still are separately administered. In the last 20 years, more and more internal migrants have chosen the Greater Baku Region as their destination, mostly finding jobs in the informal labor market. In the post-independence transformative period, informal housing has offered migrants a place to stay in the city. Sumqayit can be regarded as an arrival city, an established urban platform for migrants who prefer internal over transnational migration.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직업능력개발정책 - 이행노동시장 모형을 중심으로 - (Job Competency Development Polic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유길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67-174
    • /
    • 2017
  •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이 직업능력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이행노동시장(Transitional Labor Market: TLM) 모형을 중심으로 조명해보고, 이를 토대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직업능력개발정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4차 산업혁명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존의 일자리의 상당부분을 소멸하게 함과 동시에 일자리의 형태와 직무의 내용, 일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환경 하에서는 노동시장 이행의 각 단계에서 위험이 증대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교육훈련제도의 혁신과 생애경력개발 및 평생직업능력개발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인재를 육성하고, 4차 산업혁명이 초래할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존의 직업능력개발체제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하도록 패러다임적인 발전을 이루어야 하고,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생태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이러닝 교수 설계자 인적 자원 유통을 위한 휴먼 클라우드 플랫폼 프레임워크 설계 (A Design of Human Cloud Platform Framework for Human Resources Distribution of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

  • 김용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7호
    • /
    • pp.67-75
    • /
    • 2018
  • Purpose - In the 21st century, as information technology advances alongside the emergence of the 4th generation, industrial age, industrial environment has become individualized and customized. It is important to hire good quality employees for good service in the industry. The e-learning market is growing every year. Although e-learning companies are finding better quality employees in e-learning, it is not easy to find it. Companies also spend a lot of time and cost to find employee. On the employees side, they want to get a job freely when they want, but they cannot find their job easily. Furthermore, the labor market environment is changing fast. In the 4th generation, industrial age, employers require to find manpower whenever they need and want at little cost. So of their own accord, we have considered the necessity of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for employees and employers in e-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human cloud platform framework for enabling an efficient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in e-learning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pinpoint the items of a human cloud platform framework, the study was initi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ss. First, items of competency relating to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 was analyzed. Second, based on the items of information from this analysis, selection and validity verification took place with 5 e-learning specialists group. Third, the opinion of experts who were in charge of hiring in e-learning companies were collated with the questionnaire. Lastly, the human cloud platform framework was proposed based on opinion results. Results - The framework was comprised of 7 domains and 27 items in order to develop the human cloud platform for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highly considered item were 'skill (4.60)' that employee already have the capability. Following this (in order) were 'project type (4.56)', 'work competency (4.56)', and 'strength area of instructional design (4.52)'. Conclusions - The 27 items in the human cloud platform framework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Following this, we can consider to develop the human cloud platform for finding a job and hiring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 easily. For successful platform operation, we need to consider reliability between employer and employee. In addition, we need quality assurance system based on operation has public confidence.

건설 프로젝트 생산성 정보 플랫폼 구축방안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the construction project productivity data platform development)

  • 강고운;이규;이교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96-297
    • /
    • 2018
  • Due to the decrease in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stagnation of overseas construction, it is concerned the instability of the construction market. Enhancing the Korean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productivity improvement could be the breakthrough. In addition, defining construction contents utiliz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drawing attention along with the tren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development toward the labor productivity improvemen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figure out the present state of the productivity management in field and comprehend the factors influence on construction productivity for further Korean construction productivity data platform.

  • PDF

웹 기반형(Web-based) 플랫폼 노동자의 임금 결정요인: 이전 고용주에 의한 평가의 관점에서 (Determinants of Wage for Web-based Platform Workers: In perspective of evaluation by previous employers)

  • 임지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1-14
    • /
    • 2022
  • 본 연구는 웹 기반형(web-based) 플랫폼 노동자의 임금 결정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18년 9월 전 세계적 플랫폼 노동시장 중 하나인 Freelancer.com에서 웹 크롤링(web-crawling)한 총 3,575명의 구직자 정보를 사용하였으며, 전통적 노동시장에서 유의하였던 학력, 경력과 더불어 플랫폼 노동시장에서 새롭게 사용 가능해진 이전 고용주에 의한 평가가 플랫폼 노동자의 임금상승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 OLS 및 QR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OLS 분석결과 플랫폼 노동자의 임금은 과거 유의하였던 학력, 경력뿐 아니라 이전 고용주에 의한 평가(리뷰 수)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QR 분석결과 플랫폼 노동자의 임금수준이 상승함에 따라 교육보다는 경력이 리뷰 수보다는 추천 수가 플랫폼 노동자의 임금상승에 더욱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앱을 활용한 전통시장 배송 모형에 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Compromised Delivery Model of Traditional Market Using Delivery Application)

  • 유창권;김기평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10호
    • /
    • pp.45-51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win-win development plan for not only suppliers of delivery applications but also traditional market vendor companies and delivery riders by analyzing existing delivery models and presenting a new delivery model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the traditional market using delivery apps. Research desgin, data, and methodology - Specifically, small retailers, such as traditional markets and supermarkets, presented a compromised delivery model that utilizes the platform of specialized delivery app service providers for order reception, and that the delivery is delivered by delivery systems jointly hired by Vendor companies, such as franchising companies. To validate the significance of the trade-off delivery model, a cost-benefit analysis was conducted by those involved in the delivery application. Results - From the perspective of suppliers of specialized delivery applications, it is analyzed that the use of specialized delivery applications in traditional markets will be a new market opportunity for service providers to achieve increased sales. It is expected that consumer choice and satisfaction will be increased as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of traditional market businesses that were available only through direct visit from the user side of the delivery application will be expanded. From the standpoint of delivery application franchises, it is analyzed that they can seek to increase sales and increase customer service as well as ease labor cost burden due to joint employment of delivery riders. The delivery rider will be able to seek to improve customer service due to job security, wage stability, risk reduction and overheated competition due to direct employment.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 compromised delivery model solved the problems raised in the preceding study conducted on delivery application suppliers, users, franchises, and riders to establish that it could be a strategic alternative to increasing sales and expanding detailed rights for the self-employed in the traditional market, which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management. However, the adoption of a compromise delivery model requires social consensus from those involved in the delivery application and requires legal, institutional and policy support, which will require continued follow-up research on the delivery model in the future.

Determinants to Behavioral Intentions of Job Recruiters to Distribute to E-Recruitment Systems

  • NGUYEN, Nhu-Ty
    • 유통과학연구
    • /
    • 제19권11호
    • /
    • pp.91-98
    • /
    • 2021
  • Purpose: With the interest and ability in recruitment, it is totally worthy to discover how is labor market developed in Vietnam since the existence of the Internet. Considering employers as well as recruiters similar to jobseekers in term of technology adoption of job distribution, they should be treated fairly while performing their scopes of work.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employers perceive online recruiting platform as a supportive system, and this is to find out contributions of external factors regarding Job Board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Conceptual framework tests the hypotheses involving in recruitment websites. Results: The results suggest that Board of Directors (BoD) or direct middle managers need to pay more attention on how their workforce performs through various channels of recruitment - both formal and informal, such as Linkedin or Facebook rather than a few compulsory job boards - no longer being accessed with high performance expectancy. However, the technology adaptation of recruitment is still a controversial issue due to its access to privacy of users. Conclusion: Therefore, employers should be more careful on how their personal contacts are going to be delivering without consent. Secondly, keeping systems up to date and "connected" is essential for both employees and employers.

다르덴 형제 영화에서 '노동'의 의미와 형식미학 (Meaning of 'Labor' and Aesthetic in Dardenne Brothers' Films)

  • 안숭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93-105
    • /
    • 2012
  • 다르덴 형제의 영화는 사회의 변방으로 밀려난 소수자들의 문제를 다룬다. 특히 오늘날 노동 시장에서 가치를 박탈당한 인간의 삶에 큰 관심을 가진다. 이 글은 칸 영화제 수상작인 다르덴 형제 영화의 근작 <로제타>, <아들>, <더 차일드>, <로나의 침묵>, <자전거 탄 소년>을 대상으로 그러한 다르덴 형제의 사회인식을 살펴본다. 그리고 그들의 사회인식을 적확하게 담아내는 고유한 형식미학적 스타일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먼저 다르덴 형제 영화의 내용을 보면, 절망적인 생계의 문제에 봉착한 개인이 등장한다. 그들의 고통은 정도 차를 두고 실업 상황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불가항력적인 '불안'과 '소외'의 이미지를 내보인다. 유념할 것은, 다르덴 형제의 영상은 내용을 담는 단순한 플랫폼이 아니라, 본질적인 주제의식을 드러내는 고안된 양식이라는 점이다. 단편적인 예를 들면, 인물을 담아내는 카메라의 위치와 시선, 움직임 모두가 세계 내에서 인물이 처한 상황을 성찰하게 한다. 플롯에 대한 고려도 거의 없고, 극적 장치도 없으며, 평면적이고 직선적이기까지 한 다르덴 형제의 영화가 끊임없이 긴장을 안기는 이유도 그와 같은 독자적인 형식미학의 힘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기본소득 논쟁 제대로 하기 (Debating Universal Basic Income in South Korea)

  • 백승호;이승윤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3호
    • /
    • pp.37-71
    • /
    • 2018
  • 2016년 이후 기본소득에 대한 학술적 관심을 넘어, 대중적, 정치적 관심이 증폭되었다. 이와함께 기본소득논쟁은 추상적 차원의 논쟁을 넘어 구체적 실행과 관련된 이슈들로 확장되었다. 본 연구는 기본소득에 대한 사회정책 분야의 주요 비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한다. 기존의 기본소득에 대한 주요 비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자리 문제와 사회보험 사각지대 문제는 기본소득을 필요로 할 만큼 심각하지 않다. 둘째, 기본소득의 과도한 재정소요로 기존 사회보장 제도들이 구축될 것이다. 셋째, 기본소득보다 기술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시민들의 역량을 배양하는 정책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반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변화의 장기적 추세, 새롭게 등장하는 플랫폼 기업의 고용 경향 및 플랫폼 노동과 사회보험의 부정합 등을 볼 때 기본소득 중심 복지국가 재구성은 필연적이다. 둘째, 사회보장제도 구축론은 우파 버전의 기본소득에 적용될 수 있는 비판일 뿐이며, 서구 복지국가 발달의 역사나 기존 연구들을 볼 때 기본소득이 기존 사회보장제도를 구축할 것이라는 근거는 없다. 오히려 공유자산에 대한 과세를 통한 기본소득은 기존의 복지국가 제도들과 공존할 수 있다. 셋째, 기본소득과 사회보장 제도의 양자택일 논쟁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이고 노동시장 정합적인 패키지로 어떻게 재구성할지 논의가 필요하다. 넷째, 탈노동은 노동에 대한 자유로운 선택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하며, 사회보장의 기본원칙은 욕구가 아니라 권리이다. 그리고 결론에서는 기본소득 논쟁이 더 생산적이기 위해서 기능적 관점을 넘어 분배정의 관점에서의 논쟁, 사회보험 중심 복지국가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쟁, 기본소득의 정치적 실현가능성에 대한 보다 정교한 논쟁과 비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