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te Part

검색결과 952건 처리시간 0.032초

원색도감(原色圖鑑) 발간(發刊)을 위한 한국산(韓國産) 자낭균류(子囊菌類)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Taxonomical Studies on Korean Fungi of Ascomycetes for the Publication of Colored Illustrations)

  • 이용보;이지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01-110
    • /
    • 1982
  • 본연구(本硏究)는 원색(原色) 한국산(韓國産) 버섯도감발간사업(圖鑑發刊事業)을 위하여 1981년(年) 7월(月) 1일(日)부터 1982년(年) 6월(月) 30일(日)까지 1년간(間) 경기도(京畿道) 광육임업시험장(光陸林業試驗場)을 주(主)로 하고, 경기도(京畿道), 용문산(龍門山), 강원도(江原道) 치악산(雉岳山), 충청북도(忠淸北道) 용이산(俗離山), 경상남도(慶尙南道) 지이산(智異山), 전라남도(全羅南道) 무등산(無等山), 제주도(濟州道) 한라산(漢拏山) 등지(等地)에서 신선(新鮮)한 자낭균류(子囊菌類)를 채집(採集) 촬영(撮影)하여 원색(原色)슬라이드와 건조표본(乾燥標本)을 작성(作成)하고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를 완성(完成)하였다. 조사(調査)된 결과(結果)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밝혀진 총고등균류수(總高等菌類數)인 620여종중(餘種中) 흔히 볼 수 있는 균류(菌類)와 한국미기록(韓國未記錄) 자낭균류(子囊菌類) 101종(種)의 원색(原色) 슬라이드와 분류상(分類上)의 검색표(檢索表)를 완성(完成)하였다. 이들은 10목(目) 19과(科) 50속(屬) 101종(種)에 속(屬)하고, 또 이들의 세계적(世界的) 분포(分布)가 밝혀졌다. 그들 중 Peziza vesiculosa 큰 주발버섯, Rhizina inflata 땅해파리, Gelasinospora longispora, Sordaria fimicola, Cantharomyces exiguus, Dichomyces biformis, D. furcifer, D. homalotae, D. hybridus, D. vulgatus, Dioicomyces anthici, Enathromyces indicus, Laboulbenia borealis, L. brachconychi, L. cristata, L. exigua, L. fusciculata, K. filifera, L. flagellata, L. rougetii, L. tachys, L. vulgaris, L. yoshidai, Rickia ancylopi, R. papuana 그리고 R. peyerimhoffii의 26종(種)은 한국산(韓國産) 미기록종(未記錄種)이며, 그 보통명(普通名)과 기재(記載)를 하였다. 본론문(本論文)에서는 예정(豫定)대로 101종(種)의 자낭균류중(子囊菌類中) 원색도판(原色圖版) 1면(面)만을 게재(揭載)하였다.

  • PDF

Polyester 직물에의 Hematite 입자의 부착과 제거에 관한 계면 전기적고찰 (제2보) (Interfacial Electrical Studios on Adhesion of Hematite Particles to Polyester Fabric and their Removal from the Fabric(Part 2))

  • 강인숙;김성련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65-773
    • /
    • 1995
  • Effect of interfacial electrical conditions such as, the f potential of PET fiber and u-Fe203 particles, the stability parameter and potential energy of interaction on adhesion of a-Fe903 particles to PET fabric and their removal from the fabric, were investigated as functions of pH, electrolyte and ionic strength. The stability parameter, potential energy of interaction between a-Fe2O3 particles and PET fabric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heterocoagulation theory for a sphere-plate model The adhesion of a-Fe2O3 particles to PET fabric and their removal from PET fabric were carried out by using water bath shaker and Terg-O-Tometer under various solution conditions. The adhesion of a-Fe2O3 particles to the PET fabric and the removal of a-Fe2O3 particles from the PET fabric were biphasic and were maximum and minimum at pH 7~8, respectively. With high pH and polyanion electrolytes in solution, the adhesion of a-Fe2O3 particles to the PET fabric was low but effects of electrolytes on the removal of a-Fe2O3 particles from the PET fabric was small. The adhesion of a-Fe2O3 particles to the PET fabric and the removal of a-Fe2O3 Particles from the PET fabric were biphasic, and were lowest and highest at the ionic strength 1$\times$10-3, respectively. The adhesion of a-Fe2O3 particles to PET fabric was well related with the interfacial electrical conditions;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f potentials of a-Fe2O3 Particles of its absolute value, the stability parameter and the maximum of total potential energy, while, the adhesion was not related with the t potentials of PET fiber itself. Therefore, the primary factor determining the adhesion of a-Fe203 particles to PET fabric may be the stability of dispersed particles caused by the electrical repulsion of particles. The removal of a-Fe203 particles from PET fabric was not related to such interfacial electrical conditions as the t potentials of PET fiber, the stability parameter and the maximum of total potential energy but removal was related to t potential of a-Fe203 particles.

  • PDF

한반도 중서부 청동기시대 유물의 융합과학적 연구: 서산 신송리유적 석기의 재질특성과 산지추정 (Interdisciplinary Study on Bronze Age Artifacts in Midwestern Korea: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Presumption for Stone Artifacts of the Sinsongri Site in Seosan)

  • 이찬희;김란희;어언일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05-217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서산 신송리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석기를 대상으로 재질분석과 석재의 원산지를 검토하였다. 연구대상 석기는 점판암제 석재 1점, 석촉 반제품 2점, 갈판 1점 및 안산암질암 석촉 반제품 1점이다. 점판암은 유적지 일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암석이나, 안산암질암은 10km 이상 떨어진 부석면 간월도와 안면읍 황도리 등에서 산출된다. 석기 구성암석과 추정산지 암석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 점판암제 석기는 재질 및 암석광물학적 특징이 거의 동일하였으나, 안산암질암 석기는 추정산지 암석과 일부 다른 특징이 나타났다. 주원소, 미량원소, 호정 및 불호정원소에 대한 비교에서도 점판암제 석기와 추정산지 암석은 동일한 경향을 보였으나, 안산암질암 석기와 추정산지 암석은 다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신송리유적에서 출토된 점판암제 석기는 유적 주변에 분포하는 암석을 원료로 제작한 자급형 석기로 해석된다. 그러나 안산암질암 석기는 외래형 석기로 추정되며, 광역적 조사를 비롯한 주변 유적에서 출토된 화산암제석기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여 종합적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직배양(組織培養)에 의한 인삼성분(人蔘成分)의 변화(變化) -제1보(第一報) Callus와 인삼성분(人蔘成分)의 비교(比較)- (Study on the Changes in Saponins from Ginseng Callus by Tissue Culture -Part 1. Comparison of Saponins from Callus Tissue and from the Root of Ginseng Plant-)

  • 양융;최용조;김해중;이상정;박세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1-188
    • /
    • 1978
  • 1년생(年生) 수삼근(水蔘根)과 엽병(葉柄)(petiole)으로 조직배양(組織培養)한 callus 양자간(兩者間)의 유효성분(有效成分)인 saponins 및 sapogenins에 관하여 비교(比較)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인삼(人蔘)과 callus는 Liebermann-Burchard 반응(反應)에서 양성(陽性)으로 확인(確認)되었다. (2) Ginsenoside $Rx[x=o,a,b_1,b_2,c,e,d,g(f)]$의 Rf치(値)는 거의 일치(一致)하였으며 상대함량비(相對含量比)는 인삼(人蔘)에서 Rb,c : Rg(f)=21.1 : 20.5 (1.03 : 1), Rb,c,d : Re,g(f)=22.8 : 26.9(1 : 1.17)이었으며, callus에서 Rb,c : Rg(f)= 18.2 8.4(2.16 : 1) Rb,c,d : Re,g(f)=19.28 : 31.6(1 : 1.63)이었다. (3) 인삼(人蔘)과 callus의 sapogenins에 있어서 diol; triol, oleanolic acid, ${\beta}-sitosterol$의 Rf치(値)는 거의 일치(一致)하였으며 상대함량비(相對含量比)는 인삼(人蔘)에서 diol : triol = 13.8 : 7.4(1.86 : 1)이었고, callus에서 diol : triol = 19.2 : 7.2(2.66 : 1)이었다.

  • PDF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이 Angiogenesis 억제기전(抑制機轉)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y on the Effect of Hwallakhyoreungdan(活絡效靈丹) on Angiogenic Inhibition Mechanism)

  • 나기환;최승훈;안규석
    • 대한한방종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7-36
    • /
    • 1998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Hwallakhyoreungdan on angiogenic inhibition mechanis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wallakhyoreungdan on angiogenic inhibition mechanism, MTT assay, cell adhesive inhibition effect, DNA fragmantaion analysis, Nuclear condensation assay, FACScan analysis, Angiogenic lumen formation assay, Immunocytochemistry analysis, RT-PCR for mRNA expression, Western blot analysis and Confocal analysis for $Ca^{2+}$ change were perform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ell adhesive inhibition ability was strong from $5{\mu}g/ml$. 2. The $G_0/G_1$ arrest peak was existed on ECV304 cell-line. 3. The cells on Collagen plate were inhibition of proliferation and inducement of apoptosis by HR water extract. 4. Angiogenic lumen formation was inhibited by HR water extract. 5. LFA-1 and ELAM-1's expression were inhibited by HR water extract. They are commenly participation on inflammation and tumor regeneration. 6. The expression of MMP-9 and uPA were inhibited by HR water extract. 7. The expression of integrin ${\alpha}_v{\beta}_3$ was inhibited by HR water extract. 8. The expression of intracellular molecule were successively inhibited by HR water extract therefore the proliferation of ECV304 cell line was stopped and apoptosis was induced. 9. The change of $Ca^{2+}$ was decreased by HR water extract it cause confusion of signal transduction pathway therefore it was take part in apoptosis. According to the results, Hwallakhyoreungdan showed to be a key antaonist of integrin ${\alpha}_v{\beta}_3$, and to be induction of apoptosis by p53 through flow cytometry. This report also demonstrated that expressions of MMP-9 and uPA was blocked under the angiogenesis model. Thus, we suggests that Hwallakhyoreungdan blocks angiogenesis by inducing apoptosis of ECV304 and ECVPAR cell lines and another oriental herbal medicine that treats blood-stasis type also has angiogenic inhibition effects.

  • PDF

원색도감(原色圖鑑) 발간(發刊)을 위한 한국산(韓國産) 고등균류(高等菌類)의 분류학적(分類學約) 연구(硏究) (Taxonomical Studies on Korean Higher Fungi for the Publication of Colored Illustrations)

  • 이지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7-91
    • /
    • 1981
  • 본연구(本硏究)는 원색(原色) 한국산(韓國産) 버섯도감발행사업(圖鑑發行事業)을 위하여 1980年 9月 1일부터 1981년(年년) 8월(月) 31일(日)까지 1년간(年間) 경기도 광양(京畿遵 光陸)을 주(主)로 하고 경기도(京畿道) 용문산(龍門山), 강원도(江原道) 치악산(稚岳山), 충청북도(忠淸北道) 속리산(俗離山), 경상남도(慶尙南道) 지리산(智異山), 전라남도(全羅南道) 무등산(無等山), 제주도(濟州道) 한라산(漢拏山), 등지(等地)에서 신선(新鮮)한 고등균류(高等菌類)를 채집(採集) 촬영(撮影)하여 원색(原色)슬라이드와와 건조표본(乾燥標本)을 작성(作成)하고 분류(分類)하였다. 조사(調査)된 결과(結果)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밝혀진 총고등균류수(總高等菌類數) 620여종중(餘種中) 흔히 볼 수 있는 균류(菌類) 151종(種)의 원색(原色)슬라이드와 분류상(分類上)의 검색표(檢索表)를 완성(完成)하였다. 이들은 2강(綱), 37과(科), 89속(屬), 149종(種), 1변종(變種), 1품종(品種)에 속(屬)하고 또 이들의 세계적분포(世界的分布)가 밝혀졌다. 그들중 Aleuria aurantia (Fr.) Fuckel, 자등색 들주발버섯, Patella scutellata (St. Amans) Lambotte, 분홍작은 접시버섯, Calocora viscosa Fr., 등황색끈적 싸리버섯, Hygrocybe turunda (Fr.) Karst., 조면 무명버섯, Suillus pictus (Peck) Smith et Thiers, 붉은 비단 그물 버섯, Marasmius purpureostriatus Hongo, 자주 색줄 낙엽버섯, Pleurocybella porrigens (Fr.) Sing., 넓은 옆버섯, Lepiota bresadoiae Schulzer, 과립갓버섯, Russula aurata Fr., 금무당 버섯, Lactarius hygrophoroides Berk. et Br., 넓은 갓 젖버섯, Thelephora multipartita Fr., 많은가지 사마귀버섯, Inonotus mikadoi (Lloyd) Imaz, 황갈색시루뻔버섯, Antrodia mollis (Sommerf.) Karst, 구멍 주름버섯, Ganoderma neo-japonicum Imaz. 일본 불노초, Tyromyces lacteus (Fr.) Murr. 젖색 개떡버섯 등(等) 15종(種)은 한국산말기녹종(韓國産末記錄種)이며, 그 보통명(普通名)과 기재(記載)가 붙혀졌다. 본논문(本論文)에서는 예정(豫定)대로 151종(種)의 균류중(菌類中) 원색도감(原色圖鑑) 1면(面)만을 게재(揭載)하였다.

  • PDF

치근접촉이 마이크로 임플란트 인접골 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peri-implant bone stresses induced by root contact of orthodontic microimplant)

  • 유원재;김미령;박효상;경희문;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15
    • /
    • 2011
  • 마이크로 임플란트 시술의 중요한 위험요인 중 하나로 치근접촉 문제가 있으나, 관련 연구는 결과 분석에 치중되어 있고, 치근접촉이 마이크로 임플란트 안정성 상실로 이어지는 기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역학적 측면에서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Absoanchor 마이크로 임플란트(SH1312-7, Dentos Inc., Daegu, Korea) 첨부가 치근에 접촉되어 있을 때, 저작압 전달에 의한 마이크로 임플란트 변위가 인접골에 가하는 압축응력을 축대칭 유한요소모델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요소별 응력이 해면골의 최대압축강도나, 치밀골의 비정상 골개조 임계능력을 넘을 경우 해당 요소를 순차적으로 해석모델에서 제거하며 실행한 6단계해석의 결과, 마이크로 임플란트에 인접한 해면골의 전체적인 파절과 과부하에 따른 치밀골의 비정상 골개조가 임플란트 지지력 상실에 주 요인이 될 것으로 평가되었다. 치밀골의 과부하 영역은 초기에는 치밀골판의 하부에 존재하였으나 상부로 확장되었고, 응력 재분포로 인한 감소효과 없이 양성 되먹임(positive feedback)으로 결국 치밀골 전 두께로 확대됨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치근접촉된 마이크로 임플란트가 인접골을 훼손시켜 안정성 상실로 이어지는 과정을 모사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치근접촉에 따른 마이크로 임플란트의 불량한 예후에 대한 생역학적 측면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었다.

가토의 하악골 측방 변위에 의한 하악과두 변화 (CONDYLAR ADAPTATION UNDER LATERAL DEVIATION OF THE RABBIT MANDIBLE)

  • 박해승;박영주;안병근;이건주;박준우;이용찬;조병욱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5호
    • /
    • pp.446-454
    • /
    • 2000
  • Condylar process of mandible is an important and fuctionally versatile part of the mandible. There were quite large amount of investigations on the functional and anatomical adapta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TMJ) to the surrounding tissues. But controversies on the mechanism of functional adaptation of the joint still exist.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TMJ by the lateral deviation of the maxillary incisor to shift the mandible right, and bone the undecalcified microscopic sections with fluorescent microscope and von Kossa staining with bright field microscope. Results were as follows: 1. Lateral deviation rendered shifting and tilting of the mandible, There were, compressions in the right joint and opening of the left joint space at early stage. At the same time, both condyles shifted slightly to anterior. 2. After $2{\sim}4$ weeks, left condyle showed anterior displacement and compressions in the joint space. Right condyle showed only slight shift to the anterior. 3.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lateral shift, anterior bite plate compressed both condyle heads until 2 weeks. 4. There are bone resorptions in the anterior aspect of the condyle head and apposition of posterior border. Bone remodeling were observed between 3 and 4 weeks. 5. After 8 weeks of the experiment,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condylar morpholog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ough slight shifting and compression were still pres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Lateral deviation of mandible evoked active remodeling of the TMJ until functional and anatomical reconstruction of TMJ position was achieved.

  • PDF

Contrast reference values in panoramic radiographic images using an arch-form phantom stand

  • Shin, Jae-Myung;Lee, Chena;Kim, Jo-Eun;Huh, Kyung-Hoe;Yi, Won-Jin;Heo, Min-Suk;Choi, Soon-Chul;Lee, Sam-Sun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6권3호
    • /
    • pp.203-21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ppropriate contrast reference values (CRVs) by comparing the contrast in phantom and clinical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Phantom contrast was measured using two methods: (1) counting the number of visible pits of different depths in an aluminum plate, and (2) obtaining the contrast-to-noise ratio (CNR) for 5 tissue-equivalent materials (porcelain, aluminum,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oxymethylene [POM],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Four panoramic radiographs of the contrast phantom, embedded in the 4 different regions of the arch-form stand, and 1 real skull phantom image were obtained, post-processed, and compared. The clinical image quality evaluation chart was used to obtain the cut-off values of the phantom CRV corresponding to the criterion of being adequate for diagnosis. Results: The CRVs were obtained using 4 aluminum pits in the incisor and premolar region, 5 aluminum pits in the molar region, and 2 aluminum pit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The CRVs obtained based on the CNR measured in the anterior region were: porcelain, 13.95; aluminum, 9.68; PTFE, 6.71; and POM, 1.79. The corresponding values in the premolar region were: porcelain, 14.22; aluminum, 8.82; PTFE, 5.95; and POM, 2.30. In the molar region, the following values were obtained: porcelain, 7.40; aluminum, 3.68; PTFE, 1.27; and POM, - 0.18. The CRVs for the TMJ region were: porcelain, 3.60; aluminum, 2.04; PTFE, 0.48; and POM, - 0.43. Conclusion: CRVs were determined for each part of the jaw using the CNR value and the number of pits observed in phantom images.

공동공진기를 이용한 무접점 전력 전송 장치 설계 (Design of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ing Cavity Resonator)

  • 장대순;김용남;허정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025-1033
    • /
    • 2011
  • 본 논문은 공동공진기(cavity resonator)와 스트립라인(stripline) 구조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한 무접점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전송 시 송수신기가 밀착된 상태에서 구현되는 무접점 전력 전송 방식으로, 외부에 도체 단자가 없어 송수신기가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전력 송수신에 필요한 수신부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공진기용 공동(cavity)의 윗면 도체판에 입력 포트 및 출력 포트용 슬롯(slot)을 구성하고, 그 위에 스트립라인 구조를 이용하여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를 형성한 공동공진기에서, 출력 포트의 일부를 분리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전력수신부를 형성하고, 이 전력수신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스트립라인-슬롯 결합(coupling)된 입력 포트, 공동공진기, 출력 포트용 슬롯 등은 모두 전력송신부에 포함시킴으로 전력 전송 장치를 송수신기로 분리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 송수신기를 결합시키면 마치 하나의 공진기 내에서 입력 포트에서 출력 포트로 전력이 전달되는 형태가 된다. 제작된 무접점 전력 전송 장치의 중심 주파수는 5.782 GHz이며, 이때 측정된 $S_{21}$값은 -1.07 dB로 나타나 약 78 %의 높은 전력 전송율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