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tanus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8초

서울시 가로수의 연륜층 및 식재주변 토양의 증금속 농도와 연륜 생장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ree Ring Layer and Soil and Tree Ring Growth of Roadside Trees in Seoul)

  • 유재윤;손요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8-123
    • /
    • 2003
  • 본 연구는 서울 도심에 위치한 가로수 중에서 수령이 30년 이상 된 양버즘나무(Platanus occidentalis L.)와 은행나무(Ginkgo biloba L.)를 대상으로 토양 및 가로수의 연륜층별로 중금속 농도를 분석하여 이들 중금속이 가로수의 연륜 생장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비교 검토하였다. 가로수가 식재되어 있는 토양의 pH는 $6.62{\sim}8.01$이었으며, 중금속 평균농도는 Cr 0.63, Zn 109.03, Pb 26.49, Ni 1.98, Cu 44.98 mg/kg으로써 이 중 Zn, Pb, Cu의 농도는 일반 산림토양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속 및 철물을 취급하는 상가가 밀집해 있고 차량통행이 많은 청계 2가 지역의 중금속 농토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로수의 연륜폭을 1979년부터 2000년까지 측정하여 회귀식으로 나타낸 결과, 두 수종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토양 내 Cr, Pb, Cu의 농도는 양버즘나무의 최근 5년간 연륜층 내 Cr, Pb, Cu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토양 내 Ni 농도는 은행나무의 연륜층 내 Ni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양버즘나무의 5년 단위 연륜층별 Cr 농도와 은행나무의 5년 단위 연륜층별 Ni, Cu 농도는 각각 연륜생장에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한편 서울지역의 연평균 기온, 강수량, 강수일수와 연륜폭의 연도별 변화 경향은 유사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대전광역시 가로수의 지역별·수종별 생리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Roadside Trees by Regional Groups and Species in Daejeon City)

  • 김동일;박관수;김길남;이항구;박범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88-94
    • /
    • 2011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서 생육하고 있는 가로수(은행나무와 양버즘나무)를 대상으로 지역별 수종별 광합성 특성 및 수분이용효율, 엽록소 형광반응 그리고 엽록소 함량을 조사 분석하여 환경오염과 수목의 피해 관계를 규명하고 가로수의 향후 유지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는 오염이 가장 적을 것으로 사료되는 충남대학교, 신도심 지역으로 교통량이 비교적 적은 대덕연구단지, 다양한 공장이 밀집되어 있는 대화공단, 그리고 교통량이 가장 많고 도로가 오래된 대전역 주변 가로수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은행나무와 양버즘나무의 광합성 능력은 충남대학교 지역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대전역 지역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반면, 수분이용효율은 광합성 능력과 반대로 대전역 지역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광화학효율과 엽록소 함량은 광합성 능력과 같은 경향으로 충남대학교 지역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대전역 지역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모든 실험에서 은행나무가 양버즘나무보다 양호한 생리적 반응을 보였다.

도시 내 가로수의 광선투과량에 따른 온도저감 효과 - 서울시 서초구를 중심으로 -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According to Light Transmittance of Urban Street Trees - Focused on Seocho-gu in Seoul -)

  • 김은범;김남춘;신지훈;송원경;김도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5-54
    • /
    • 2017
  • With rapid urbanization and reckless urban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the urban environment has gradually gotten worse, and urban heat island effect has been dramatically intensified. Thus, the importance of street greenery that can mitigate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has further been highlighted.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aimed at selecting suitable plant species for street greenery to reduce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Towards this end, five roads located in Seocho-gu, Seoul were selected as study sites, and plant species composition and difference of surface temperatu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relation to the light transmittance. The street with the greatest temperature difference is Bangbae-ro(Platanus occidentalis). On the other hand, the road with the lowest temperature difference is Nambusunhwan-doro(Metasequoia Glyptostroboides). The effect of temperature reduction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light transmittance.Bangbae-ro(Platanus occidentalis) with the lowest light transmittance showed the highest temperature difference and Nambusunhwan-doro(Metasequoia Glyptostroboides) with the highest light transmittance showed the lowest temperature difference. It is analyzed that there are most differences in temperature when the amount of lights coming in between the crown is small. Th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can be obtained by planting deciduous broad-leaved trees. Also species with dense crown and broad width of crown will be able to maximize the effect of temperature reduction.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expand the other species of trees in the street, and analyze the germicidal trees and shrubs as well as the differences in the packaging materials.

오존에 노출된 버즘나무의 광합성 특성과 민감성 지표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a Sensitive Indicator for $O_3$-exposed Platanus orientalis)

  • 이재천;오창영;한심희;김판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20-226
    • /
    • 2005
  • 오존 노출이 버즘나무의 광합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년생 버즘나무 유묘에 하루에 8시간씩 100 ppb의 오존을 처리하였다. 오존 처리를 진행하는 동안, 3주마다 버즘나무의 엽내 엽록소 함량과 광합성 특성을 측정하였다. 오존에 의한 잎의 가시적 피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또한 엽내 엽록소 함량은 대조구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광합성량, 기공전도도, 수분이용효율은 오존 처리 6주 후에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 한편 탄소고정효율과 광화학 효율은 오존 처리 3주와 6주 후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탄소고정효율은 오존 스트레스에 가장 민감한 파라미터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오존 민감성을 평가하기 위한 매우 적당한 지표로 생각되었다.

한반도 쌍자옆식물의 시.공간적 분포역 복원 (The Distribution of Dicotyledons in Time and Space in the Korean Peninsula)

  • 공우석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8
    • /
    • 1996
  • 한반도 쌍자엽식물의 시·공간적 분포역을 식물화석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오래된 쌍자엽식물은 중생대 백악기의 Platanus, Viburnum, Populophyllum등이다. 당시에 남한에서는 17속의 쌍자엽식물이 보고되었으며 그 중 9속(버즘나무 Platanus, 분꽃나무 Viburnum, 버드나무 Salix, 사시나무 Populus, 녹나무 Cinnamomum 감탕나무 Ilex, 장구밤나무 Grewia, 두릅나무 Aralia, 생강나무 Lindera)은 현 재에도 자연적으로 분포한다, 우리나라의 신생대 제3기 팔레오세와 에오세에 대한 화석정보 는 불분명하다. 올리고세의 쌍자엽식물은 황해 봉산에서 12속이 발견되며 그중 11속은 아직 도 자라고 있다. 마이오세에는 북한의 gkarud도와 강원도의 7곳과 남한의 경북과 강원의 4 곳에서 72속의 쌍자엽식물이 출현했으며 16속(Engelhardtia, planera, Hamamelis, Porana, Sassafras, Parrotia, Comptonia, Hemitrapa, Nothofagus, Erica, Pasania, Cryptocary, Phoebe, Entada, Carpites, Trochodendron)을 제외한 나머지 56속은 현생한다.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 동안 복한 전역의 7곳과 남한 전역의 10곳에서 53속의 쌍자엽식물이 산출되었 으며 그 중 Engelhardtia, raphidephis, Sapium등 3속을 제외한 모든속이 아직도 자연적으로 분포한다. 홀로세에는 남한의 14곳에서 29속의 쌍자엽식물이 출토되었는데 Lespidobalanus 를 제외한 나머지는 지금도 잘 자라고 있다. 요약하면 한반도에 중생대 백악기에 쌍자엽식 물이 출현한 이래 신생대 제3기 올리고세와 마이오세 그리고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와 홀로세까지 큰 변화없이 식물상과 식생이 지속적으로 명맥이 유지되고 번성하였다, 이는 한 반도가 여러 차례가 기후 변화에 따라 식생대의 이동은 있었으나 식물상의 멸종을 가져올 정도의 환경적 격변을 겪지 않고 비교적 안정적인 환경이 장기간 지속되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기후가 변화할 때마다 식물들리 서식, 생존할수 있는 다양한 피난처가 한반도의 도 처에 산재되어 있었음을 뜻한다,.

  • PDF

대전시의 가로수 수피 및 표사의 중금속 오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Heavy Metal Pollution in Soils and Barks of Roadside Trees in Taejon)

  • 오인혜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9-24
    • /
    • 1992
  • 대전시 도로변의 대기오염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요 간선도로변, 외곽의 도로변 및 보문산의 가로수 중 버즘나무 (Platanus orientalis), 은행나무 (Ginkgo biloba) 및 백합나무(Lirodendron tulipifera) 를 선택하여 그 수피내의 납과 카드뮴의 축적량을 측정하고 교통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수피내의 납 축적량은 가로수의 수피에서는 2-1109ppm 으로 보문산 지역의 수피내의 함량이 5-11ppm 인데 비하여 지역에 따라 차이도 심하고 농도가 높았다. 또한 교통량과의 관계는 차량통행량의 증가에 따라, 특히 병목 현상이 심한 지역에서 납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는데, 차량 통행량 증가에 따라 수피내의 중금속의 최대 축적량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에 비하여 가로수 수피내의 카드뮴 축적량은 보문산 수피내의 축적량보다 다소 높았으나 변이가 적게 나타났다.

  • PDF

인장(引張) 및 압축부재(壓縮部材)와 적층수(積層數)가 플라타너스 집성재(集成材)의 휨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Tension, Compression Lamination and Number of Lamination on the Flexural Properties of Platanus occidentalis L. Laminated Beam)

  • 오세창;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3-12
    • /
    • 198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flexural properties(Modulus of Rupture, Modulus of Elasticity) of Platanus occidentalis L. laminated beams fabricated with 1, 3, 5, 8, 15 lamination and Tension, Compression lami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R increased with increasing number of lamination in 3, 5, 8, 15-beam and Tension lamination beam. MOR of Compression lamination beam was lower than that of 3-beam, MOR of vertical beam not having Tension or compression lamination was lower than that of horizontal beam, but MOR of vertical beam with tension or compression lamination was same or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horizontal beam. 2. The allowable working stress showed the same tendency. This str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number of lamination. This value of Tension lamination beam was higher than that of compression lamination beam. 3. MOE of all laminated beams was higher than that of solid beam and Tension lamination beam was higher than that of 3-beam. MOE of Tension lamination beam was higher than that of Compression lamination beam. MOE of all vertical beam was higher than that of horizontal beam except for T-2, T-5, C-3. 4. Most beam failures appeared to begin in tension. These tension failures were classified into Splintering tension, Cross-grained tension, Simple tension, Brittle tension. All test beam failure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1) Tension failure 2) Compression failure 3) Horizontal shear failure.

  • PDF

청주시 용도지역별 가로수의 생리.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Ginkgo biloba와 Platanus orientalis를 중심으로-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oadside Tree by Difference under Zoning of Urban Districts in Cheong-ju City -Focused on the Ginkgo biloba and Platanus orientalis-)

  • 인형민;주진희;윤용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9-236
    • /
    • 2010
  • As air pollution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pressing urban environmental concerns,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ir pollutants(ex: $O^3$, $NO^2$, $SO^2$, Acid rain, etc.) on roadside trees and urban grove. In Korea, population density started to increase since the industrialization. Since dense population aggravates our living conditions, it's very important for us to preserve and keep a lively and refreshing nature in order to live with green nature in harmony under the current artificial environment-dominating world. In metropolitan cities, the production of pollutants increases in proportion to population growth. The vehicle exhaust gas and air pollutants from cooling and heating systems have been the major causes of acid rain. Furthermore, tire particles which are naturally produced by tire wearing on roads and other toxic substances in exhaust gas have caused a problem in human health directly and indirectly. In fact, a lot of studies have analyzed air pollution, roadside trees and plants in Korea. However, they are mostly limited to covering the influence of air pollution on the growth of plants. No paper has clearly explained why air pollution-resistant or-vulnerable species has shown different reactions yet. Even though a lot of urban roadside trees have died or stopped to grow from time to time, this kind of problem has not been properly examined. This paper is aimed to comparatively analyze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 such as photosynthesis, chlorophyll contents, soil volume water figure out their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factors against the expanding roadside trees in Cheong-ju, and provide basic data for management of roadside trees and elaboration of urban environment preservation policies.

식물 잎을 이용한 중금속 이온의 제거에 관한 연구 (Removal of Heavy Metal Ions from Aqueous Solution by Leaves)

  • 김종규;이장훈;이수영;나경원;나규환;최한영
    • 환경위생공학
    • /
    • 제24권2호
    • /
    • pp.31-39
    • /
    • 2009
  • In this research, I carried out the adsorption and removal test of Pb, Ni, Co and Cu ions using organic substances spread out any where in the nature which can be obtained easily from our neighbor-such as Paulownia coreana, Pinus densiflora, Juniperus chinesis, Quercus dentata, Magnolia kobus, Platanus occidentalis, Gingko biloba, Diospyros kaki leaves.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o find the best optional condition for the adsorption and removal, shows that the adsorption and removal ratio of Pb ion by a Paulownia coreana raw leaves is 99% at $70^{\circ}C$, those of Ni ion and Co ion by Magnolia kobus formalin treatment leaves are 79% at $70^{\circ}C$, 97% at $40^{\circ}C$ respectively. And that of Cu ion by Platanus occidentalis treatment leaves is 97% at $50^{\circ}C$ in mixed solution.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removal ratio by raw leaves and formalin treatment leaves, the removal ratio of treatment is 30~90% more effective than raw leaves in most cases. And I concluded Pb > Cu > Co > Ni ion in multiple solution and Co > Ni > Cu >Pb ion in single solution after testing adsorption and removal ratio of mixed solution separately as time goes by. In general, the reactions were completed within first 5 minutes. The test result of measuring the hydrolysable tannin content of each leaf shows that an overcup Quercus dentata is 11.36%, a Diospyros kaki is 10.81% and the rest of them are 2.49~4.12% in raw leaves cases. In treatment leaves cases, an overcup Quercus dentata is 3.23% and the others are less than 1%.

버즘나무 落葉의 水鎔性 黃含量에 의한 大氣汚染의 相對評價 (Relative estimation of air pollution by the water soluble sulfur content in the litters of plantanus orientalis)

  • Chang, Nam-Kee;Hye-Ryun Kwon;Sun-Kyung Lee;Mee-Jeong Ka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1호
    • /
    • pp.27-37
    • /
    • 1993
  • During the autumn of 1991, the water soluble sulfur content in litters of platanus orientalis on the street sides in seoul, pusan, taegu, taejeon, kwangji, ulsan and ch'unch'on cities were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 soluble s content in litters of p. orientalis and the traffic was analysed. The average content of water soluble s in litters of p. orientalis in pusan, taegu, taejeon, seoul, ulsan, ch'unch'on and kwangju cities were 0.71%, 0.60%, 0.66%, 0.58%, 0.50%, 0.43%, 0.38%,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s content in litters of p. orientalis is related to the traffic of each studied area. consequently the water soluble s content in litters of p. orientalis is supposed to be an indirect indicator of air pollu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