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ing method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25초

산림표층토를 활용한 비탈면 생태복원녹화에 관한 연구(I) (Development of Revegetation Method Using Forest Topsoil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Slopes(I))

  • 남상준;여환주;최재용;김남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10-119
    • /
    • 2004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 spraying cultivation method using forest topsoils in order to restore the disturbed slopes. In November the researcher collected a depth of 5 cm of topsoils from a well developed forest, after the fallen leaves were cleared. The essential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using the forest topsoils, during the early stages of planting, time is necessary for the desired vegetation to reach a similar state to the vegetation being restored. The best possible effect is obtained through a method utilizing forest topsoil(30%)+loam silt soil(70%)+seeding with grasses and native plants including trees, shrubs, and herbs. Several plants such as Pinus densiftora, Potentilla fragarioides, Miscanthus sinensis, Erigeron canadensis seemed to be naturally emerged from the topsoils From this experiment, it was recommended that environment potential within topsoil should be comprehended. Also, topsoil deposit and gathering methods should be experimented properly.

인삼 논 직파 재배시 파종방법이 출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wing Method on Growth of Directed Seeding Cultivation Ginseng in Paddy Fields)

  • 성봉재;지무근;이가순;김선익;김현호;조진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2호
    • /
    • pp.151-155
    • /
    • 2020
  • 본 연구는 논 직파재배시 적정 파종방법에 따른 인삼의 출아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고,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논 인삼 직파재배농가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반자동식 파종기(SAS)를 이용할 경우에는 작업속도가 빠르지만 인건비가 높은 단점이 있었고, 굴렁쇠파종기(HS)는 작업속도가 빠르고, 출아율도 높았지만 작업자가 8명이 소요되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높은 단점이 있었다. 파종기별 하루 작업면적은 전동식이 가장 많은 6,611 ㎡ 였지만 파종시 종자소모량이 많은 단점을 보였고, 3,305 ㎡를 파종하는데 걸리는 작업시간은 산파가 가장 길은 15시간이 걸렸고, 반자동식(SAS)은 8시간이 소요되었다. 직파재배 파종방법에 따른 1년생 인삼의 출아율은 산파가 69.1%로 가장 높았고, 수동식파종기와 굴렁쇠파종기 처리구의 출아율도 66.4%와 67.3%로 양호하였으며, 반자동 파종기 처리구의 출아율은 64.2%로 가장 낮았다. 또한, 파종방법에 따른 1년생 인삼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인삼재배 농가의 경제적 규모에 따라 적절한 파종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데 영세적 규모일 경우 산파가 적합하고, 규모화 된 재배농가는 전동식 파종기(MDS)를 활용하여 직파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잔류유분 함유 반출처리토 재활용을 위한 호밀 식재 식물상 토성회복 가능성 (Phyto-restoration Potential of Soil Properties using Secale cereale for Recycle of Soils with Residual TPHs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after Off-site Treatment)

  • 박지은;배범한;주완호;배세달;배은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9권3호
    • /
    • pp.25-32
    • /
    • 2014
  • The amount of TPH contaminated soil treated at off-site remediation facilities is ever increasing. For the recycle of the treated-soil on farmlands, it is necessary to restore 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soil characteristics and to remove residual TPH in the soil by an economic polishing treatment method such as phytoremediation. In this study, a series of experiments was performed to select suitable plant species and to devise a proper planting method for the phyto-restoration of TPH-treated soil. Rye (Secale cereale) was selected as test species through a germination test, among 5 other plants. Five 7-day-old rye seedlings were planted in a plastic pot, 20 cm in height and 15 cm in diameter. The pot was filled with TPH-treated soil (residual TPH of 1,118 mg/kg) up to 15 cm, and upper 5 cm was filled with horticulture soil to prevent TPH toxic effects and to act as root growth zone. The planted pot was cultivated in a greenhouse for 38 days along with the control that rye planted in a normal soil and the blank with no plants. After 38 days, the above-ground biomass of rye in the TPH-treated soil was 30.6% less than that in the control, however, the photosynthetic activity of the leaf remained equal on both treatments. Soil DHA (dehydrogenase activity) increased 186 times in the rye treatment compared to 10.8 times in the blank. The gross TPH removal (%) in the planted soil and the blank soil was 34.5% and 18.4%, respectively, resulting in 16.1% increase of net TPH removal. Promotion of microbial activity by root exudate, increase in soil permeability and air ventilation as well as direct uptake and degradation by planted rye may have contributed to the higher TPH removal rate. Therefore, planting rye on the TPH-treated soil with the root growth zone method showed both the potential of restoring biological soil properties and the possibility of residual TPH removal that may allow the recycle of the treated soil to farmlands.

작부체계(作付體系) 개선(改善)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I)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the Cropping System (I))

  • 최창열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61-73
    • /
    • 1983
  • 경지(耕地)의 이용율(利用率)을 높이면서 식량작물(食糧作物)의 증산(增産)을 위하여 현행작부체계(現行作付體系)를 개선(改善)할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충남지방(忠南地方)을 도시근교(都市近郊)(대덕(大德) 천원군(天原郡)), 평야지역(平野地域)(논산(論山) 당률군(唐律郡)), 해안지역(海岸地域)(서산(瑞山) 보령군(保寧郡)), 및 산간지역(山間地域)(공주(公州) 청양군(靑陽郡))으로 구분(區分)하여 각(各) 지역별(地域別)로 10호(戶)의 농가(農家)를 선정(選定) 계(計)400호(戶)의 농가(農家)에 대(對)하여 1982년(年)에 재배(栽培)한 전답(田沓)의 작부양식(作付樣式)과 그 이용(利用) 상황(狀況)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한다. 1) 밭의 평균이용율(平均利用率)은 161.9%이었는데 평야지역(平野地域)은 188.9%로 그 이용율(利用率)이 가장 높았고 도시근교(都市近郊)는 152.0%로 가장 낮았다. 2) 밭에서 재배(栽培)된 작목수(作目數)는 32종(種)이었는데 밭의 총식부면적중(總植付面積中) 콩의 재배면적(栽培面積) 비율(比率)이 18.8%로서 가장 높았고 다음은 보리가 15.4%, 고추는 13.1% 그리고 배추가 10.1% 등이었으나 도시근교(都市近郊)에서는 고추, 평야지역(平野地域)과 해안지역(海岸地域)에서는 콩, 산간지역(山間地域)에서는 보리의 재배면적비율(栽培面積比率)이 가장 높았다. 3) 논의 평균이용율(平均利用率)은 115.6%이었는데 도시근교(都市近郊)는 140.0%로 그 이용율(利用率)이 가장 높았고 해안지역(海岸地域)은 108.2%로서 가장 낮았다. 4) 논에서 재배(栽培)된 작목수(作目數)는 12종(種)이었는데 수도(水稻)를 제외(除外)하면 보리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이 가장 넓어서 총식부면적(總植付面積)의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은 딸기가 4.0%이었으나 도시근교(都市近郊)에서는 딸기, 기타지역(其他地域)에서는 보리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이 가장 넓었다. 5) 밭의 작부유형(作付類型)은 1년(年)1작형(作型)과 1년(年)2작형(作型)으로 나타났는데 1년(年)2작형(作型)은 다시 작물간(作物間)의 조합(組合)에 따라서 38형(型)으로 분류(分類)되며 기중(其中) 대맥(大麥)+대두형(大豆型)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은 1년(年)2작면적(作面積)의 35.0%를 차지하고 있으나 도시근교(都市近郊)에서는 이 형(型)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이 좁은 반면(反面) 채소류간(菜蔬類間)의 조합면적(組合面積)이 넓었다. 6) 논의 1년(年)2작형(作型)은 다시 6개형(個型)으로 나뉘는데 수도(水稻)+맥류형(麥類型)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이 1년(年)2작면적(作面積)의 42.8%로 가장 높은 비율(比率)을 차지하고 있으나 도시근교(都市近郊)에서는 이 형(型)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이 좁고 수도(水稻)+과채류(果菜類)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이 가장 넓었다. 한편 답이작면적(沓裏作面積)은 1년(年)2작면적(作面積)의 76.3%로서 답전작면적(沓前作面積)보다 현저히 넓었다. 7) 밭의 작부조합(作付組合)에 있어서는 동과(同科) 또는 근록작물(近綠作物)로서 윤작특성(輪作特性)이 근사(近似)한 작물간(作物間)의 불합리(不合理)한 재배조합면적(栽培組合面積)이 19.09ha에 달(達)했다. 8) 밭에서의 식량작물(食糧作物) 재배면적(栽培面積)은 88.92ha인데 반(反)하여 채소류(菜蔬類)는 93.70ha, 그러고 공운작물(工芸作物)이 21.80ha로서 식량작물(食糧作物)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이 채소류(菜蔬類)의 재배면적(栽培面積)보다 좁았다. 9) 1910년(年)부터 1980년(年)까지 연구보고(硏究報告)된 보문중(報文中) 1134건(件)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우리나라에서의 작부(作付) 체계(體系)에 관(關)한 연구(硏究)는 답이작중심(沓裏作中心)으로 이루어졌고 연구(硏究) 목적(目的)은 14개(個)로 분류(分類)할수 있었는데 파종기(播種期), 파종량(播種量), 시비량(施肥量), 이식기(移植期), 작휴법(作畦法), 파종방법(播種方法) 및 품종선발(品種選拔) 시험(試驗) 등이 대부분(大部分)이었다.

  • PDF

동궐도에 보이는 궁궐정원의 조영수법 (A Study on Design Techniques of Palace Gardens presented in Donggwoldo)

  • 진상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37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동궐도" 에 담겨있는 모든 정원 요소를 각 원(院)별로 나누어 세밀하게 살펴봄으로써 궁궐정원의 조영특성 및 수법을 파악 하여 전통계승을 통해 현대 정원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동궐도에 나타나 있는 궁궐정원의 모습을 정원 요소별로 관찰하여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동궐도에 나타나는 정원 요소로 괴석과 연못, 건물과 마당, 경계와 영역, 수목 등이 있으며. 공간에서 확인되는 각 구성요소의 배치특성을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입기의 경우 동궐도내의 원(院)은 명당 내부의 최적지를 선택하여 각각의 대지를 기존의 지형과 건물의 용도에 따라 적극적으로 자연을 변형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식재는 궁궐을 조성하면서 기존 수목을 그대로 활용하여 원칙적인 식재 방법이나 수종의 선택 기준은 확인되지 않았다. 대칭식재를 한 점이 특징으로, 이러한 대칭식재 방법은 음양 표시의 작정관(作庭觀)으로 보인다. 수종의 선정에 있어서는 상징적 의미가 강한 수종을 선택하여 식재하였다. 지당은 궁궐정원에서 대부분 관념적, 추상적 형태를 상징하는 원형으로 나타나며, 중락(衆樂)의 장소로 빈번하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정자를 만드는 형식은 일정하지 않았고, 형태적으로는 삼각, 사각, 오각, 육각, 팔각 등에서 십자모양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하게 조성되었다. 괴석과 석함은 주로 침전 주위와 동궁처소 그리고 후원에 배치되어 있었다. 화계(花階)는 주로 침전의 후면 및 동궁전, 공주의 처소 등 주로 부녀자의 거처에 나타난다. 취병(翠屛)은 자연과 단절하는 장벽이 아니라 선택적 인입을 하는 체와 같이 자연의 기를 안도하는 의도로 설치하였다. 우리나라의 정원은 구성방식에 있어서 서구나 중국의 경우와 매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조선시대 궁궐정원은 형식에 있어서는 엄격한 유가적 규범이 적용되었고, 작정 수법은 신선사상을 많이 차용하였다. 그러면서도 소탈한 측면을 가지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화단형태의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식재토양조성 및 관수방안 연구 (A Study for Making Planting Ground and Irrigation System for Greening Artificial Ground of Planter Type)

  • 김선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12-18
    • /
    • 2004
  • This study is to make plans for perpendicular greening with artificial ground of planter type to improve urban environment. The experiments of this study are performed to find out the suitable soil and irrigation method for artificial ground of planter greening. Thereupon, organic or inorganic soil improvement material is mixed with soil of each planter as experiment, In result, the plants in soil mixed organic soil improvement material thrive rather than that in soil mixed inorganic material, It is to be desired that the planter equip with the irrigation system, be wider than planter and be planted shrubs for positive plant growth. As for irrigation system, drip irrigation is effective on plant growth southern exposure but Ebb and Flow is effective eastern exposure. Therefore, irrigation system should consist of two types above plus keeping water on the bottom of planter to save water and store rainwater.

핑거접합방식에 의한 삼나무의 고주파가열 집성판 제조에 관한 연구 (1) - 삼나무 판재의 초산비닐수지 접착특성 - (Study on the manufacturing of high-frequency heating Japanese cedar laminated board by finger jointing method (1) - Gluing characteristics of Japnese cedar board by PVAc emulsion adhesives -)

  • 소원택;채정기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05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luing characteristics of poly vinyl acetate emulsion adhesive(PVAc) on the Cryptomeria japonica laminated boards. This sample trees are major planting species and have been planted in southern district for a long time. The optimum gluing conditions for laminated board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mount of spreading glue, assembly time, clamping pressure, and clamping time for PVAc resin were $200g/m^2$, 10min., $5kg/cm^2$, and 6hrs., respectively, and the relative formulae between extension ratio(x) and block shear strength(y) was $y=-9.6x+85.2(R^2=0.95)$.

  • PDF

사이클론 연소기를 이용한 탄화왕겨의 제조(I) (Production of Carbonized Rice Husks by a Cyclone Combustor(I))

  • 고길표;노수영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3권1호
    • /
    • pp.13-20
    • /
    • 1998
  • Carbonized rice husk(char from rice husk) can be used to improve soils for planting, seedlings, horiculture, pomiculture and truck gardening. Although it is not a fertilizer in nature, it stimulates the growth of plants. Carbonized rice husk is highly recommended for raising soil/water temperature, keeping moisture and aerating roots of pla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ffective production method of carbonized rice husks by a non-slagging vertical cyclone combustor. A cyclone combustor w vortex collecor Pocket in addition to central collector pocket was selected and tested. Isothermal tests and mixed firing with LPG and rice husk were performed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system. hut rice husk was used during the isothermal test to find the mass collected of rice husk. It was impossible to ignite rice husk itself ov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considered in this experiment. The composition of original and carbonized rice husks was analyzed by the ultimate analysis. With the air flow rate of 20 ㎥/h, LPG flow rate of 0.45 1/min, the required carbonized rice husk could be obtained.

  • PDF

이앙기 식부기구 기구학적 분석을 위한 해석적방법 (An Analytical Method for Kinematic Analysis of The Planting Mechanism of A rice Transplanter)

  • 김경욱;정창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권2호
    • /
    • pp.15-36
    • /
    • 1977
  • 일반적으로 기계의 분석법은 도해적 방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해적 방법이 간편하지만 그 정학성이 부정하고 해석적 방법은 복잡한 계산과정을 요구한다. 최근 많은 컴퓨터 시설은 해석적 방법의 활용을 가능케 하였으나 간단한 기구의 분석은 EH한 경제적인 면에서 컴퓨터의 광범위한 사용을 어렵게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형 계산기를 이용하여 크랭크로커 기구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적 방법을 위한 방정식을 유도하고 이 방법을 동력 이앙기의 직촌기구의 분석에 적용하였다. 기구 표시법으로 크랭크-로커 기구를 심볼 방정식으로 나타내고, 기구상의 각 링크에 고정된 좌표계를 3$\times$3행렬식을 이용하여 좌표계를 전이 시키는 방법으로 방정식들을 유도하였다. 크랭크-로커 기구의 링크상의 어떤 한점의 위치벡타를 행렬 방정식으로 표시하고 이 행렬 방정식을 일차, 이차 미분하여 그 점에 대한 속도와 가속도 방정식은 유도하였다.

  • PDF

보행형 인발식 마늘수확기 개발 (Development of a Walking Garlic Harvester with Pulling Mechanism)

  • 노광모;장영창;박준걸;용상호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7권6호
    • /
    • pp.513-520
    • /
    • 2002
  • A 5-row walking garlic harvester with pulling mechanism was developed in the study, based upon a kinematical analysis and related preliminary field tests on the conventional garlic harvesting method. The harvesting efficiency of the developed harvester was more than 98% in the garlic field irrigated before harvesting, 80-85% in the field without irrigation. The harvesting performance of the harvester was 660∼825㎡/hr at the forward speed of harvester of 0.3m/s in the irrigated field before garlic harvesting. For proper garlic drying and collection, the harvester discharged the harvested garlic on the ground uniformly at the angles of 135。∼150。 to its forward direction with the garlic bulb's placing toward the harvester. In the field tests, it was recommended that the forward speed of the harvester be approximately less than 0.2m/s, and that the spacing of planting garlic seeds should be standardized in the future fur increasing its harvesting effici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