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Leaf Disease

검색결과 779건 처리시간 0.025초

종합적 방제기술을 이용한 유기재배 생강의 근경썩음병 억제 (Suppression of Rhizome Rot in Organically Cultivated Ginger Using Integrated Pest Management)

  • 심창기;김민정;김용기;홍성준;박종호;한은정;김석철
    • 식물병연구
    • /
    • 제21권3호
    • /
    • pp.215-221
    • /
    • 2015
  • 본 연구는 유기농 생강재배지에서 발생한 생강 뿌리썩음병을 헤어리벳치와 난각칼슘+훈탄을 혼합 처리하여 방제하고자 하였다. 생강의 잎이 황화되고 식물체가 시드는 생강 근경썩음병의 병징은 화학비료 처리구에서 7월 1일부터 시작되었다. 수확기인 10월 2일에 생강 근경썩음병이 더욱 진전되어 생강의 줄기가 갈변하고 식물체가 고사하여 36.7-43.0%의 높은 발병율을 보였다. 반면에 헤어리벳치+훈탄+난각칼슘 처리구는 9월말까지 근경썩음병이 전혀 발생되지 않았고 10월 초순까지 발생이 지연되어 1.3-1.7%의 매우 낮은 발병율을 보였다. 토양내 Na, Fe, Cu 함량은 헤어리벳치+훈탄+난각칼슘 처리에 의해 처리 전보다 감소하였으나 유기물 함량은 31.6%로 시험 전보다 2배 증가하였다. 토양내 Pythium sp.의 밀도는 헤어리벳치+훈탄+난각칼슘 처리구($0.3-2.0{\times}10^3cfu/g$)에서 낮았으나, 화학비료 처리구($12.0-12.3{\times}10^3cfu/g$)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유기농 생강 재배지에 헤어리벳치를 녹비작물로 재배하고 토양 개량제인 훈탄과 난각칼슘을 토양에 처리하면 생강의 고질적인 병인 생강 근경썩음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virulence Gene Diversity of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 Isolated in Korea

  • Park, Hyoung-Joon;Han, Sang-Wook;Oh, Chang-Sik;Lee, Seung-Don;Ra, Dong-Soo;Lee, Suk-Ha;Heu, Sung-G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9호
    • /
    • pp.1500-1509
    • /
    • 2008
  • The hybridization patterns with the avrBs3 gene that is known to determine the recognition of host specificity were used to study the diversity of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 causing bacterial leaf pustule in soybean. A total of 155 strains were isolated from diverse tissues of soybean cultivars collected in Korea and were classified into six different type strains of OcsF, SL1017, SL1018, SL1045, SL1157, and SL2098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avrBs3-homologous bands. When these type strains were inoculated on various cultivars, most of the Korean strains mildly induced disease symptoms on the resistant CNS1 cultivars. Unlike other type strains, strain SL2098, which appeared not to contain any avrBs3 homolog, induced only a few pustules on even highly susceptible cultivars. When a plasmid carrying the 3.7-kb avrBs3-homologous gene from strain SL1045 was introduced into SL2098, the transformant could not recover the pathogenicity in susceptible host plants. However, when avrBs3-homologous genes of strain SL1018 were mutated by transposon mutagenesis, one of the mutants in which a 5.2-kb chromosomal band homologous to avrBs3 was disrupted could not induce the hypersensitive response on resistant cultivars such as William82 or CNS2.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avrBs3 homologs may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athogenicity of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 and the recognition of soybean cultivars.

방사선을 이용한 벼 흰잎마름병 저항성 돌연변이 벼 계통의 선발 (Screening of Gamma Radiation-Induced Pathogen Resistance Rice Lines against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 임찬주;이하연;김웅범;아마드 라자;문제선;김동섭;권석윤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09-213
    • /
    • 2010
  • Bacterial blight is one of the most serious diseases of rice (Oryza sativa L.), and it has been known that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Xoo) causes this disease symptom. To develop resistance rice cultivars against Xoo, 3,000 lines of $M_3$ mutants, which were irradiated with gamma ray, were tested by 'scissor-dip method' primarily, and 191 putative resistant lines were selected. In $M_4$ generation, these lines were screened again with various ways such as measuring of symptom of bacterial blight in leaf, number of tiller, fresh weight, and phenotypic segregation ratio in next generation. Finally, six resistance lines were selected. RT-PCR analysis revealed that these lines displayed high level of R-genes such as Xa21, Pi36, and Pi-t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utations by gamma ray cause disruptions of regulatory signal transduction systems of these R-genes. Furthermore, these selected mutants could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rice cultivar resistant to Xoo.

2001년 농작물 병해 발생개황 (Review of Disease Incidence of Major Crops in 2001)

  • 김충희
    • 식물병연구
    • /
    • 제8권1호
    • /
    • pp.1-10
    • /
    • 2002
  • 2001년 기상의 특징은 3월부터 5월까지 계속된 극심한 가뭄과 생육기간 내내 계속된 고온현상 그리고 별다른 태풍의 내습 없이 9, 10월 수확기 맑은날의 지속으로 요약할 수 있다. 벼는 순조로운 기상 때문에 잎, 이삭도열병, 세균성벼알마름병, 흰잎마름병, 잎집무늬마름병의 발생이 예년에 비해 경미하였으나, 감비추진 정책에 의해 생육후기 깨씨무늬병이 발생하여 전국적으로 문제시되었으며 그동안 발생이 적었던 줄무늬잎마름병이 경기, 충청, 호남 서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고추는 생육기 비가 많이 왔던 전남북 지역에서 역병 발생이 심하였으며 토마토와 오이는 대부분 예년에 비해 병발생이 적었다. 수박의 경우는 꽃자리 부분이 썩는 푸른곰팡이병이 전국적으로 발생하였으며 CGMMV는 전년에 비해 상당폭 발생면적이 감소하였고 노지재배의 경우 탄저병 발생이 예년에 비해 심하였다. 참외와 딸기도 전년에 비하여 병발생이 경미하였으며 예년에 발생이 많았던 참외의 급성위조증상도 발생이 대폭 감소하였다. 마늘·양파의 흑색썩음균핵병은 봄철의 가뭄과 고온현상으로 병발생의 전년의 절반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감자의 풋마름병은 발병포장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고구마의 덩굴쪼김병도 발생이 감소하였다. 사과의 경우 전반적으로 병 발생이 예년에 비해 경미하였으며 배는 흰가루병이 많이 발생하였다. 맥류의 붉은곰팡이병은 예년처럼 거기 발생이 없었다.

난황유를 이용한 가지과 작물의 흰가루병 방제 (Control of Powdery Mildew on Solanaceous Crops by Using COY (Cooking Oil and Yolk Mixture) in the Greenhouse)

  • 권진혁;심창기;지형진;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5권1호
    • /
    • pp.23-29
    • /
    • 2009
  •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 동안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시설하우스와 유리온실에 재배중인 가지, 파프리카, 토마토에 발생하는 흰가루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친환경 농자재인 난황유를 살포한 것과 난황유에 칼슘과 님오일을 혼합한 제제를 살포한 후 병 방제효과와 식물체 상에서 병원균의 형태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채종유로 만든 난황유를 5일 간격으로 3회 지상부에 골고루 살포하고 최종약제 살포 후 5일째 병 진전을 조사한 경우 가지 흰가루병이 94.6% 방제가 되었고, 파프리카 흰가루병은 난황유만을 살포한 경우에는 91.6%의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난황유에 칼슘과 님오일을 혼합하여 살포할 경우 96.2%의 더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시설하우스내 토마토(방울, 완숙) 철가루병 방제를 위해 채종유로 만든 난황유를 살포할 경우 91.1$\sim$91.7% 정도 방제 되었으며, 난황유와 칼슘과 님오일을 혼합하여 살포할 경우 100% 방제가 되었다. 난황유를 처리하지 않은 식물체 표면에서는 건강하고 왕성한 균사, 분생포자경, 분생포자들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었으나, 난황유를 처리한 이후에 관찰된 흰가루병균은 기주식물과 병원균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세포벽이 파괴되어 원형질이 빠져나가 균사가 모두 쭈그러들었으며 분생포자가 생성되지 않았다.

벼 유기재배에서 석회보르도액을 이용한 벼 잎도열병 방제 효과 (Effect of Bordeaux Mixture on Control of Rice Leaf Blast)

  • 강범용;김선곤;김도익;이용환;최경주;최용수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182-186
    • /
    • 2008
  • 최근 벼 유기재배에서 식물병 방제를 위한 친환경농자재가 없는 것이 주요한 제한요인으로 제기되고 있다. 식물병 방제를 위해 보르도액은 효과적인 예방 농자재로 사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석회보르도액의 벼 잎도열병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온실검정결과 6-6식 석회보르도액 100배액을 발병초에 살포한 결과 70.8%의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포장검정에서는 4-8식과 6-6식 석회보르도액을 살포한 결과 잎도열병에 대한 방제효과가 73.6%와 71%를 나타냈다. 각각 조제한 석회보르도액의 30배와 50배 처리농도에서는 약해가 발생하였으나, 200배액 살포농도에서는 약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유기재배 및 무농약 재배포장에서 벼 잎도열병 방제를 위한 효과적인 친환경농자재로서 석회보르도액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illus sp. AB02를 이용한 식물 병원균에 대한 생물검정 (Biological Control of Plant Pathogens by Bacillus sp. AB02.)

  • 김근기;김용철;최영환;신택순;박기도;강위금;최용락;박현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58-864
    • /
    • 2008
  • 겨울철 과채류 시설 재배 단지에서는 저온 다습하여 균핵병 발생이 많아 피해가 심각하기 때문에,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법으로 균핵병을 방제하고자 길항균을 분리하였다. 시설 재배 토양으로부터 길항세균 55종을 분리하였으며, 분리한 길항세균 중에 가장 활성이 뛰어난 균주를 AB02 균주로 명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원균 5종에 대한 항균 스펙트럼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잿빛곰팡이병원균인 Botrytis cinerea와 균핵병원균인 Sclerotinia sclerotiorum에 항균효과가 뛰어났다. AB02 균주의 균핵병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실험은을 위해 들깨 pot 실험으로 병발생 억제효과와 병 방제효과를 조사했다. 그 결과 균핵병 발생 억제효과는 40%로 나타났고, 병 방제효과는 62%로 아주 높게 나타났다. AB02 균주의 식물 생육 촉진 효과는 전장이 120%, 생체중량이 141% 증가되었으며, 엽수와 엽면적은 각각 121%와 185%의 생육 촉진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뿌리 생육조사에서는 생체 중량이 무처리 보다 327% 증가하였다. 항균활성과 식물 생육 촉진 활성을 갖는 AB02 균주를 동정한 결과, Bacillus sp.로 확인되었다.

The Pear Black Necrotic Leaf Spot Disease Virus Transmitted by Talaromyces flavus Displays Pathogenicity Similar to Apple stem grooving virus Strains

  • Shim Hye-Kyung;Hwang Kyu-Hyon;Shim Chang-Ki;Son Su-Wan;Kim Dong-Giun;Choi Yong-Mun;Chung Young-Jae;Kim Dae-Hyun;Jee Hyeong-Jin;Lee Suk-Ch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3호
    • /
    • pp.255-259
    • /
    • 2006
  • The pathogenicity to pear trees and other experimental hosts of the Apple stem grooving virus Korean isolate (ASGV-K) carried by a fungal vector, Talaromyces flavus was examined. ASGV-harboring T. flavus induced mild symptoms on virus-free pears. Symptom severity was intermediate between pears showing typical PBNLS and virus-free pears. Ten cultivars of Phaseolus vulgaris showed 35%-90% infectivity by direct infiltration into leaves and roots by ASGV-harboring T. flavus. Application of fungal cultures to soils showed 0%-70% infectivity depending on the P. vulgaris cultivar. Sap extracted from ASGV-infected Chenopodium quinoa induced similar symptoms on P. vulgaris at 25 days after inoculation. Similar symptoms were also detected on P. vulgaris which were inoculated with ASGV-harboring T.flavus. When healthy P. vulgaris leaves were challenged with sap extracted from P. vulgaris leaves infected with ASGV-harboring T. flavus, typical symptoms were observed. These data suggest that T. flavus mediates the transfer of ASGV to host plants.

Phenotypic and Genotypic Analysis of Rice Lesion Mimic Mutants

  • Matin, Mohammad Nurul;Pandeya, Devendra;Baek, Kwnag-Hyun;Lee, Dong-Sun;Lee, Jai-Heon;Kang, Ho-Duck;Kang, Sang-G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159-169
    • /
    • 2010
  • Lesion mimic mutant (LMM) plants display spontaneous necrotic lesions on their leaves without any pathogenic infection. Specific rice LMMs designated as spotted leaf (spl) including spl1, spl3, spl4, spl5 and spl6 are genetically known as lesion resembling disease (lrd) mutant. The inheritance patterns in the $F_1$ and $F_2$ progenies of these mutants are controlled by recessive genetic factors. Lesion development in the rice LMMs were controlled by both development stage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rice LMMs exhibited higher numbers of spots under $45^{\circ}C$ temperature than those under $30^{\circ}C$. Contents of chlorophyll were drastically reduced at 60 days old LMM leaves when the spot formation was severe. The levels of endogenous hydrogen peroxide were highest at 45 days old mutants but reduced at 60 days old. Transcription levels of stress related genes including thioredoxin peroxidase and protein disulfide isomerase were reduced in spotted leaves than those of non spotted leaves. It could be suggested that scavenging system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induced by either stresses or innate metabolisms may not work properly in the rice LMMs. As these rice LMMs autonomously expressed clear lesions of lrd phenotype without pathogen infection, it could be useful to understand stresses responses in plants.

팥에 발생하는 바이러스 분리 동정 (Identification of Virus from Azuki Bean Plant)

  • 허남기;강문석;하건수;김혜자;최장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0-165
    • /
    • 1997
  • 팥 바이러스병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병징의 유형과 생육 단계별 감량정도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병징 유형별 바이러스를 분리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팥에 발생되는 바이러스병의 병징은 크게 mosaic, yellow mosaic 및 severe mosaic의 3가지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병징별 분포는 mosaic>severe mosaic>yellow mosaic 순이었다. 2. 성숙기까지 매개충 차단 재배시의 이병률은 1.5%(방임구 20.7%)로서 생육 후기에 감량될수록 이병률이 낮았으며 10a당 수량도 171kg으로서 방임구에 비하여 45% 증수되었다. 3. 지표식물 검정 결과 mosaic 유형은 CMV, yellow mosaic 유형은 AMV, severe mosaic 유형은 AzMV의 기주범위와 유사하였다. 4. 항혈청에 의한 각 병징별 반응결과 yellow mosaic 유형의 시요는 AMV 항 혈청과 mosaic 유형의 시요는 CMV의 항혈청과 침강선이 형성되어 각각 AMV 및 CMV의 한 계통으로 판정되었다. 5. 병징 유형별 전자현미경 관찰결과 yellow mosaic유형은 18~58$\times$18nm의 타원형 입자가 다수 관찰되었고 mosaic 증상의 시요에서는 직경 30nm의 구형 입자, severe mosaic병징의 시요에서는 730$\times$12nm의 사상형 입자와 봉입자가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