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Cells

검색결과 2,834건 처리시간 0.032초

Activation of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3 by the methanolic extract of Schisandra chinensis fruit and its chemical constituent γ-schisandrin

  • Nam, Yuran;Kim, Hyun Jong;Kim, Young-Mi;Chin, Young-Won;Kim, Yung Kyu;Bae, Hyo Sang;Nam, Joo Hyun;Kim, Woo Kyu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1권3호
    • /
    • pp.309-316
    • /
    • 2017
  •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3 (TRPV3) is a non-selective cation channel with modest permeability to calcium ions. It is involved in intracellular calcium signaling and is therefore important in processes such as thermal sensation, skin barrier formation, and wound healing. TRPV3 was initially proposed as a warm temperature sensor. It is activated by synthetic small-molecule chemicals and plant-derived natural compounds such as camphor and eugenol.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SC) has diverse pharmacological properties including antiallergic, anti-inflammatory, and wound healing activities. It is extensively used as an oriental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SC fruit extracts and seed oil, as well as four compounds isolated from the fruit can activate the TRPV3 channel. By performing whole-cell patch clamp recording in HEK293T cells overexpressing TRPV3, we found that the methanolic extract of SC fruit has an agonistic effect on the TRPV3 channel. Furthermore, electrophysiological analysis revealed that ${\gamma}$-schisandrin, one of the isolated compounds, activated TRPV3 at a concentration of $30{\mu}M$. In addition, ${\gamma}$-schisandrin (${\sim}100{\mu}M$) increased cytoplasmic $Ca^{2+}$ concentrations by approximately 20% in response to TRPV3 activation. This is the first report to indicate that SC extract and ${\gamma}$-schisandrin can modulate the TRPV3 channel. This report also suggests a mechanism by which ${\gamma}$-schisandrin acts as a therapeutic agent against TRPV3-related diseases.

체외에서 돼지 정자-난자의 상호작용시 투명대내 Lectin 결합 (Binding of Lectins to the Zona Pellucida on Sperm-oocytes Interaction in the Pig)

  • 황인선;김정익;정희태;양부근;박춘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9권3호
    • /
    • pp.179-186
    • /
    • 2002
  • Objective: Lectins are cell-agglutinating and sugar specific proteins or glycoproteins of non-immune origin that precipitate glycoconjugates having saccharides of appropriate complementarity. Because of these properties, plant lectins have been used to help characterize the carbohydrate moieties of glycoproteins in the zona pellucida (ZP) of several mammalian species including pigs. Treatment of oocytes with various lectins blocks sperm binding to the ZP in various mammalian speci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sugar residues in the ZP of pig oocytes matured in vitro and the ability of spermatozoa to bind to ZP and in vitro penetration in oocytes treated with 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labelled lectins. Materials and Methods: The lectins of Banderiaea simplicifolia (BS-II, bind to $\beta$-D-N-acetylglucosamine), Canavalin ensiformis (Con A, bind to $\alpha$-D-Mannose), Lens culinaris (LCA, bind to a-D-Mannose), Ricinus communis (RCA-I, bind to $\beta$-D-Galactose) and Ulex europaeus (UEA-I, bind to $\alpha$-L-Fucose) were examined for spermatozoa penetration, binding capacity to ZP and distribution of lectins. Results: The penetration rates were significantry (p<0.05) higher in control oocytes (63%) than those treated with all lectins, but penetration rates ($40{\sim}49%$) were simililar in group treated with lectins. The incidence of monospermy was similar in oocytes untreated and UEA-I, but it was higher in oocytes treated with BS-II, Con A, RCA-I and LCA. The porcine oocytes cultured for 48 h in TC-199 medium were freed from cumulus cells and treated for 30 min with fluorescein isothiocyanate-labelled lectins. When examined under fluorescein illumination, higher (p<0.001) proportions of oocytes showed fluorescein of zona pellucida after treatment with Con A (93%), LCA (93%) and RCA-I (100%) than BS-II (37%) and UEA-I (50%). All of the oocytes treated with RCA-I exhibited strong fluorescein in the outer region of the zona pellucida while those treated with LCA exhibited strong fluorescein throughout the zona pellucida. BS-II bounded mainly to the outer region and UEA-I bounded mainly to the inner region of the zona pellucida, with either strong or weak fluorescein. At 120 min after insemination in vitro, fewer spermatozoa were bound to the zona pellucida of the oocytes treated with BS-II, Con-A and RCA-I. Of the lectins, Con A most inhibited sperm binding.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ta$-D-Galactose residues in the porcine zona pellucida may act as primary sperm receptors and inducers of the sperm acrosome reaction and these sugar residues may be involved in the block to polyspermy.

천연항균제처리에 의한 과채류의 선도유지 및 병해방지에 관한 연구 -저장중 병리적 장해 방지를 중심으로- (Prevention from microbial post-harvest injury of fruits and vegetables by using grapefruit seed extract, a natural antimicrobial agent)

  • 조성환;서일원;이근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265-270
    • /
    • 1993
  • 과채류의 저장중, 신선도를 유지하고 병리적 장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천연 식물성 항균제인 grapefruit종자추출물(GFSE)로 처리하여 과채류의 품질향상을 유도할 수 있었고 저장시 과채류 부패병원균의 감염 및 생육을 억제할 수 있었다. Grapefruit종자추출물은 세균, 곰팡이 등, 광범위한 범위의 식물변패미생물에 대하여 $50\;ppm{\sim}2,000\;ppm$의 처리농도로 뚜렷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변패된 과채류에서 분리한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와 같은 세균을 100 ppm의 GFSE용액으로 처리하여 균체세포의 세포막기능이 파괴되어 세포내용물이 균체외부로 유출되어 균체의 생육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곰팡이 Fusarium sp.의 균사체도 1,000 ppm의 용액처리로 세포벽기능이 파괴되었고, Penicillum sp.의 포자 내용물도 GFSE처리로 소실되어 정상적인 발아기능이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농가에서 수확한 대파, 양파, 고추 등을 GFSE용액에 침지처리하고 동결건조하여 색택 및 조직면에서 우수한 저장효과를 얻을 수 있었고, 감자의 발아를 억제하고, 호박, 오이, 토마토, 밀감 등 과채류의 신선도를 상당기간 동안 연장할 수 있었다.

  • PDF

질산화 슬러지에 의한 폐수 중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제거 (Removal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in Wastewater by Nitrifying Sludge)

  • 임경조;홍순호;정진석;유익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6호
    • /
    • pp.775-780
    • /
    • 2009
  • 폐수 방류수 중에 포함될 수 있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제거를 위해 생물학적 영양소 제거 공정에 존재하는 질산화 슬러지의 효용성을 탐색하여 보았다. 질산화 슬러지에 포함된 암모니아 산화균은 ammonia monooxygenase(AMO) 활성에 의해 암모니아 산화를 유발하는데, AMO의 기질 특이성이 낮아 암모니아 산화와 동시에 다양한 화합물이 공산화된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산화 활성이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제거에 효과적인지 판단하기 위해, 질산화 슬러지, 유기물산화 슬러지, 멸균 슬러지를 각각 이용하여 3가지의 모델물질(bisphenol A(BPA), nonylphenol(NP), dibutyl phthalate(DBP))에 대한 제거 효율을 비교하였다. 질산화 슬러지에 의한 분해에서는 3가지 모델물질 모두, 배지 중에 질소원으로 아질산염보다 암모늄염을 이용했을 때의 초기 분해속도가 빠르게 나타나서 암모니아 산화 활성과 모델 물질의 분해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아질산염을 공급한 질산화슬러지에서나 혹은 질산화 활성이 낮은 유기물산화 슬러지를 이용한 경우는 일정한 적응 시간이 지난 이후에 모델 물질들의 분해가 시작되었다. 이는 모델 물질을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균주의 성장 및 활성이 일정한 적응 시간 이후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모델 물질의 제거에 슬러지에 의한 물리적 흡착이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멸균 슬러지를 이용한 흡착 제거를 시도하였다. 초기 투입량의 10~20% 내외가 흡착에 의해 상등액에서 제거되었는데, 이를 통해 폐수 슬러지를 이용한 BPA, NP, DBP의 제거에는 물리적 흡착보다는 생물학적 분해 기작이 더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 자생식물들에 대한 미백 및 항산화 효능 탐색 (Preliminary Screening of Some Jeju Island Native Plants for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y)

  • 유병삼;문지영;김주호;현진원;강경아;고재숙;서영경;백지훈;박덕훈;이종성;정은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1-17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37 종의 식물추출물에 대한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을 조사하였다. 미백 효능은 in vitro tyrosinase 저해활성과 B16-F1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를 조사하여 확인하였고, 항산화 효능은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측정방법과 DCF-DA (dichlorofluorescin diacetate)를 이용한 V79-4 폐 섬유아세포에서 활성 산소종 소거작용 능력을 조사하여 측정하였다. 세포실험 조건에서 식물추출물들의 투여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MTT (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assay를 수행하였다. 미백 효능조사 실험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던 8종의 식물 추출물들은 토끼를 이용한 국소 독성 시험 및 인체 피부 자극 임상 시험에 적용하여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높은 미백과 항산화 효능을 동시에 나타내었던 비수리(Lespedeza cuneata), 제주광나무(Ligustrum lucidum (stem)), 산뽕나무(Morus bombycis (stem)), 꿀풀(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의 식물추출물들은 화장품 원료화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C57BL/6J db/db생쥐에서 여주 (Momordica Charantia)의 항당뇨 효과 (Effect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on anti-diabetic activity in C57BLI/6J db/db mice)

  • 정재황;이상화;허진주;이기남;남상윤;윤영원;정성훈;이영호;이범준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27-336
    • /
    • 2008
  • Many herbal extracts have been reported to have a preventive or therapeutic effect of on diabetes mellitus. Momordica Charantia commonly known as bitter melon or karela has been reported to be a medicinal plant for treating various diseases including cancers and diabet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nti-diabetic effects of bitter melon (BM) as determined by blood glucose levels, glucose tolerance test (GTT), insulin tolerance test (ITT), insulin and HbA1C activities in serum, serum biochemical and lipid levels, histopathology, immunohistochemistry and AMPK-${\alpha}2$ expression of skeletal muscle in male C57BL/6J db/db mice. There were four experimental groups including vehicle control, BM 10 mg/kg, BM 50 mg/kg, and BM 250 mg/kg. BM at doses of 10, 50, and 250 mg/kg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diabetic mice everyday for 8 weeks. The treatments of BM 10, 50, and 250 mg/kg significantly decreased the blood glucose level in the diabetic mice compared with vehicle control (p < 0.05). The treatments of BM 10 and 50 mg/kg significantly decreased the GTT, ITT and HbA1c levels in the diabetic mice compared with vehicle control (p < 0.05). All BM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GOT, GPT, BUN, LDL and glucose levels in the diabetic mice compared with the vehicle control mice (p < 0.05). The livers of mice treated with the BM 10, 50, and 250 mg/kg showed a remarkable decrease in the number of lipid droplets compared with the vehicle control. The pancreas of mice treated with the BM 10, 50, and 250 mg/kg showed a remarkable increase in insulin concentration of ${\beta}$-cells compared with the vehicle control. In addition, the treatments of BM 10, 50, and 250 mg/kg actual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AMPK-${\alpha}2$ compared with vehicl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BM has a respectable anti-diabetic effect resulting from inhibition of blood glucose level and lipid level in serum and that consumption of BM may give a benefit for controlling diabetes mellitus in humans.

삼지구엽초 용매별 분획 추출물의 면역관련 활성 (Immunological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from $Epimedium$ $koreanum$ Nakai)

  • 박명수;김서진;왕준;김광희;오덕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0-115
    • /
    • 2012
  • 본 연구는 삼지구엽초의 기능성식품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써 우리나라 산야에서 존재하며 예로부터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삼지구엽초를 극성에 따라 용매별 분획 추출물들의 면역관련 활성을 검토하였다. 삼지구엽초 분획물별 생육촉진 활성은 B와 T cell 모두에서 에틸아세테이트와 물 분획 추출물이 대조구에 비해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육도 증가하였다. 삼지구엽초 추출물의 돌연변이 및 항돌연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삼지구엽초 추출물뿐만 아니라 각 용매별 분획물들도 돌연변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간접변이원 B(${\alpha}$)P에서는 TA98 균주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이 98%, TA100 균주에서는 부탄올 분획 추출물이 84%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직접변이원 4NQO에서는 TA98 균주와 TA100 균주에서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시료가 70% 이상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TA98 균주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이 80%, TA100 균주에서는 부탄올 분획 추출물이 90%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삼지구엽초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소재로서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蓮) 잎과 뿌리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Lotus (Nelumbo nucifera) Leaf and Root)

  • 정창호;손기봉;김진희;강선경;박은영;서권일;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1-138
    • /
    • 2010
  • 연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잎과 뿌리로 구분한 후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릭 화합물은 백련 잎에서 각각 12.84 mg/g 및 24.33 mg/g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의 부위별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백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다. 환원력도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환원력 또한 백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noleic acid를 이용한 자동산화 억제활성을 실험한 결과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과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tyrosinase 저해 활성 역시 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연의 부위별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활성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백련과 홍련잎 부탄올 분획물을 1mg/mL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각각 95.61%와 92.15%의 높은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보였다. 폐암세포와 결장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백련과 홍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생육억제활성을 보였다.

녹차 첨가 서리태 청국장의 3-morpholinosydnonimine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Seoritae Chungkukjang added with green tea powder against 3-morpholinosydnonimine-induced oxidative stress)

  • 조은주;박현영;이상현;김현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407-414
    • /
    • 2015
  • 본 실험에서는 청국장의 항산화 기능성 증진을 위해 녹차를 첨가한 서리태 청국장을 제조한 후 LLC-$PK_1$ 세포를 이용하여 SIN-1유도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검토하였다. 항산화능이 대두보다 우수한 서리태를 주재료로, 부재료로 녹차를 농도별(0.5%, 2.0%, 5.0%)로 달리하여 청국장을 각각 제조한 후 $ONOO^-$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서리태 청국장과 녹차첨가 서리태 청국장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개선효과를 비교한 결과, 녹차첨가 서리태청국장 추출물은 SOD, GSH-Px와 같은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여 세포생존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냈었으며, 특히 녹차를 5.0% 첨가했을 때의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차 첨가 서리태 청국장은$ONOO^-$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개선함으로써 이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는 항산화제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쑥부쟁이 분말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of White Bread Containing Aster yomena Powder)

  • 김용주;정지숙;김은하;손병길;고근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1-99
    • /
    • 2016
  • 쑥부쟁이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독특한 향기가 있어 식욕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산채나물로 이용되어 왔다. 산채나물은 항산화, 항암, 항염증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로 기능성 식품으로의 관심이 높아져 다양한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이 간세포 내 지방축적 유전자 발현 억제 및 지방축적 억제 효과, 항비만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기능성 측면에서 활용가치가 높다. 쑥부쟁이에 대한 연구가 일부 보고되었으나 이를 활용한 가공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는 우리밀 가루에 쑥부쟁이 분말 첨가량을 0, 0.5, 1.0, 1.5, 2.0%로 달리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쑥부쟁이 분말을 0.5~2.0% 첨가한 식빵은 대조구와 비교 시 외관, 향,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면에서 통계 수치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소비자에게 거부감 없는 제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쑥부쟁이 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총 폴리페놀 및 DPPH 라디칼 소거 등의 기능성이 증가하므로 기능성을 높인 제과제빵 및 면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