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ktonic ciliate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9초

섬모충류에 대한 요각류 Acartia hongi의 섭식: 실험실 연구 (Ingestion on Planktonic Ciliates by Copepod Acartia hongi: A Laboratory Study)

  • 양은진;최중기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265-276
    • /
    • 2009
  • Acartia hongi is the most dominant and widespread planktonic copepod in Gyeonggi Bay, Yellow sea. Ingestion rates and selectivity of A. hongi on phytoplankton and planktonic ciliates were determined in the laboratory. Ingestion rates of A. hongi on planktonic ciliates and phytoplankton increased in proportion to prey concentration increase. When A. hongi was fed with various mixture combinations of planktonic ciliates and phytoplankton, their ingestion rate on ciliates tended to increase as the percentage of ciliates in prey biomass increased. Clearance rate of A. hongi on planktonic ciliates was higher than for phytoplankton in all experiments without regard to relative percent of ciliate biomass. This trend suggests that A. hongi was preferentially preying on planktonic ciliates. Under mixed prey availability, it is likely that selective feeding and higher clearance rate of planktonic ciliates by A. hongi is related to the higher nutritional value of ciliates compared to phytoplankton.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selective ciliate feeding by A. hongi will positively benefit its growth and abundance, and as a result negatively impact the population dynamics of planktonic ciliates in Gyeonggi Bay.

시화호에서 하계 섬모충류의 초식압에 미치는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영향 (Influence of Mesozooplankton on the Grazing Pressure of Planktonic Ciliates in Sihwa Lake During Summer)

  • 홍현표;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4호
    • /
    • pp.265-271
    • /
    • 2014
  • 시화호에서 식물플랑크톤 및 섬모충류의 포식자인 중형동물플랑크톤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는 하계에 섬모충류의 초식압에 미치는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희석실험과 요각류 첨가 배양 실험을 병행하였다. 희석실험에서 섬모충류는 식물플랑크톤 생산량의 104%를 하루에 소비하였으나, 요각류 Acartia sinjiensis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섬모충류의 초식압은 19%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미소형식물플랑크톤의 주요 초식자인 $>20{\mu}m$ 빈섬모충류에 대한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선택적 섭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중형동물플랑크톤에 의해 섬모충류의 개체수가 강하게 지배되는 시기에는 섬모충류의 실제 초식압은 과대평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화호에서 요각류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는 춘계와 하계에는 식물플랑크톤의 초식자로서 섬모충류의 역할은 크게 감소될 것으로 판단되며, 초식자로서 섬모충류의 역할을 더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섬모충류에 대한 중형동물플랑크톤의 포식압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First Record of Two Marine Planktonic Ciliates Rimostrombidium orientale and R. veniliae (Ciliophora: Choreotrichida) from Korea

  • Lee, Kyu-Chul;Choi, Joong-Ki;Kim, Sun-Young;Yang, Eun-Ji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2권2호
    • /
    • pp.217-221
    • /
    • 2006
  • Two marine planktonic ciliates are investigated by using protargol impregnated techniques. These are Rimostrombidium orientale Song and Bradbury, 1998 and R. veniliae Montagnes and Taylor, 1994. Both species are new to Korean waters.

북동 태평양수역에서 위도에 따른 부유 원생동물의 분포 (The Distribution of Planktonic Protists Along a Latitudinal Transect in the Northeast Pacific Ocean)

  • 양은진;최중기;김웅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287-298
    • /
    • 2004
  • As a part of Korea Deep Ocean Study program,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planktonic protists in the upper 200 m of the northeast Pacific from $5^{\circ}N$ to $17^{\circ}N$, along $131^{\circ}30'W$. Area of divergence was formed at $9^{\circ}N$ which is boundaries of the north equatorial counter current (NECC) and the north equatorial current (NEC) during this cruise. Chlorophyll-a concentration was higher in NECC than in NEC area. Pico chl-a(<$2\;{\mu}m$) to total chl-a accounted for average 89% in the study area. The contribution of pico chl-a to total chl-a was relatively high in NEC area than in NECC area. Biomass of planktonic protists, ranging from 635.3 to $1077.3\;mgC\;m^{-2}$(average $810\;mgC\;m^{-2}$), was most enhanced in NECC area and showed distinct latitudinal variation. Biomass of HNF ranged from 88.7 to $208.3\;mgC\;m^{-2}$ and comprised 15% of planktonic protists. Biomass of ciliates ranged from 123.6 to $393.0\;mgC\;m^{-2}$ and comprised 25% of planktonic protists. Biomass of HDF ranged from 407.2 to $607.8\;mgC\;m^{-2}$ and comprised 60% of planktonic protists. HDF was the most dominant component in both NECC and NEC areas. Nano-protist biomass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total protists in the both areas. The contribution of nanoprotist to total protists biomass was relatively higher in NEC area than in NECC. The biomass of planktonic protis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hytoplankton biomass in this study area. The size structure of phytoplankton biomass coincided with that of planktonic protists. This suggested that the structure of the planktonic protists community and the microbial food web were dependent on the size structure of the phytoplankton biomass. However, biomass and size structure of planktonic protist communities might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column and food concentration in this study area.

해양 섬모충플랑크톤 정량과 정성분석의 현실적 접근 (Practical Approach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of Marine Ciliate Plankton)

  • 김영옥;김선영;최정민;김재성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6권3호
    • /
    • pp.248-262
    • /
    • 2021
  • 섬모충플랑크톤은 크게 두 분류군, 세포가 피갑(lorica)에 에워 쌓여 있는 유종섬모류(tintinnids)와 피갑(lorica)이 없는 소모류(oligotrichs)로 대별하고 있다. 국내에서 해양 섬모충플랑크톤의 분류학적 연구는 비교적 종 동정이 용이한 유종섬모류를 대상으로 먼저 시작되었고, 분류기준인 피갑의 가변성 때문에 분류학적 문제점은 있으나, 현재까지도 주로 피갑의 형태적 특징에 따라 종을 구별하여 생태·생리학적 연구정보로 활용하고 있다. 반면, 소모류의 경우, 세포염색을 통한 섬모열의 정밀한 특징으로 종을 구별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소모류의 분류학적 연구는 2000년 이후에 비로소 국내에 소개되었다. 최근 분석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섬모충의 분류체계와 종 정보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고 이를 반영하여 국내 해양에서 출현하는 주요 섬모충플랑크톤 종류가 새롭게 정리되어 도감으로 출간되었다. 섬모충플랑크톤은 동물플랑크톤의 질 높은 먹이원이 되는 동시에 초미소(pico)와 미소(nano)플랑크톤의 포식자로서 해양 미세먹이망에서 중요한 중간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부유생태계에서 섬모충플랑크톤의 역할은 새로운 주제가 아닌, 현재는 해양생태학의 보편적 지식으로 공유되고 있다. 따라서 해양 섬모충플랑크톤의 현장 모니터링 방법과 실험실 분석의 과학적 타당성을 기반으로, 획득된 자료로써 그 신뢰성을 확보함은 국내 섬모충플랑크톤 연구 발전에 크게 일조하리라 기대된다. 섬모충플랑크톤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유종섬모류 동일종의 피갑변이, 세포염색에 의한 소모류의 정량·정성분석, 유전자 분석결과의 자료비교, 생태학적 정보비교, 섬모충플랑크톤 현장채집 방법을 제안하며, 현실적 수용가능 범위를 설정하여 섬모충플랑크톤 모니터링의 정도관리를 위한 연구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자 한다.

제주도 남부해역의 부유성 섬모충류의 종 조성과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and Species Composition of Planktonic Ciliate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 김요혜;이준백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2호
    • /
    • pp.59-69
    • /
    • 2003
  • 제주도 남부해역의 미세생물 먹이망 구조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부유성 유종섬모충(tintinnids)과 빈섬모충(aloricate oligotrichs)의 종 조성과 생물량의 계절 변화 특성에 대하여 중문주변해역의 6개 정점에서 1998년 7월부터 2000년 6월까지 매월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유종섬모충은 총 39종으로 세포수 범위는 100~5,400 cells. 1$^{-1}$(평균 314 cells . 1$^{-1}$) 이었고 가을철과 겨울철에는 외양성 종류가 주로 우점하였으며 봄철과 여름철은 외양성 보다 연안성 종류가 우세하였다. 빈섬모충은 총 15종이 동정되었고 세포수 범위는 140~21,000 cells.1$^{-1}$(평균 2,356 cells.1$^{-1}$)로써 Strombidium속의 종들이 전 계절에 걸쳐 우점하였다. 계절에 따른 종 다양성과 생물량 변화는 유종섬모충의 경우 차이가 컸지만 빈섬모충은 큰 차이가 없었다. 유종섬모충의 계절별 수괴지표 특성은 연구 해역의 해양환경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었으나 빈섬모충은 특이한 수괴지표 특성을 보이지 않았다. 해역별로 보면 외해역 보다는 해안역에서 세포수가 높았고 종 다양성도 높았다 섬모충의 총 탄소량의 범위는 0.01~136.06 $\mu\textrm{g}$C.1$^{-1}$(평균 5.01 $\mu\textrm{g}$C.1$^{-1}$)로 탄소량과 세포수의 월별 변동이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았다. 유종섬모충과 빈섬모충의 수심별세포수 분포는 모두 20 m층에서 가장 높았고 수직분포의 경향도 비슷하였으며, 엽록소 a 량의 수직분포와도 일치하고 있어 식물플랑크톤과 섬모충은 피식과 포식의 상관성을 보이고 있었다.

팔당호 유입부 경안천의 섬모충 플랑크톤 계절적 분포 (Seasonal Succession of Planktonic Ciliate in Kyungan Stream of Lake Paldang, Korea)

  • 문은영;김영옥;공동수;한명수
    • 생태와환경
    • /
    • 제41권1호
    • /
    • pp.11-18
    • /
    • 2008
  • 국내산 담수 섬모충 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0년 12월 15일부터 2001년 12월 6일까지 팔당호에서 표층수를 채집하였다. 출현한 분류군 중 소모류(Oligotrichs)가 53%로 출현 양이 가장 많았다. 상대적으로 높은 개체수를 보인 봄인 3월 30일($1.9\times10^4$ cells $L^{-1}$)과 4월 6일($1.85\times10^4$ cells $L^{-1}$),여름인 6월 8일($1.7\times10^4$ cells $L^{-1}$)과 7월 20일($1.9\times10^4$ cells $L^{-1}$)에 급증하였다. 우점적으로 출현한 종들은 뚜렷한 계절성을 나타내어 겨울과 봄인 저수온기에는 세포크기가 비교적 큰$(>50{\mu}m)$ Stylonychia sp1, Phascolodon vorticella, Codonella cratera가 출현하였으며 여름과 가을인 고수온기에는 세포크기가 작은$(<30{\mu}m)$ Vorticella spp., Rimostrombidium hyalinum, Halteria grandinella가 출현하였다. 세포크기가 큰 종들은 Chl-${\alpha}$와 상관성을(r=0.33, p<0.05, n=39) 나타낸 반면, 소형종인 Halteria grandinella는 bacteria와 상관성을(r=0.35, p<0.05, n=39) 나타내었다.

The Effects of Nonylphenol on Freshwater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Communities

  • Katano, Toshiya;Park, Chong-Sung;Baek, Seung-Ho;Han, Myung-Soo
    • 생태와환경
    • /
    • 제41권4호
    • /
    • pp.449-456
    • /
    • 2008
  • Recent studies reveal that the endocrine disrupter nonylphenol can also influence the growth of planktonic organisms. To clarify the effect of nonylphenol on the whole planktonic community, we monitored planktonic abundances after addition of nonylphenol using small-scale microcosms in a laboratory. Nonylphenol was added at final concentrations of 1.25 and $2.5{\mu}g\;L^{-1}$, close to the EC50 for the growth of the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Chlorophyll $\alpha$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between 2 to 5 days after nonylphenol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The abundance of the predominant phytoplankton, Stephanodiscus hantzschii, followed the same pattern as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hile there was no negative effect on the abundance of ciliates and rotifers, crustacean zooplankton abundance was higher in nonylphenol treatments. Although the relationship did not reach significance, the growth rate of rotifers tended to decline with increasing nonylphenol dosing. It is likely that the decreased rotifer grazing on S. hantzschii caus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abundanc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indirect effects of environmental pollutants when predicting the response of biological community to toxicant exposure.

Effects of an Artificial Breakwater on the Distributions of Planktonic Microbial Communities

  • Kim, Young-Ok;Yang, Eun-Jin;Kang, Jung-Hoon;Shin, Kyoung-Soon;Chang, Man;Myung, Cheol-Soo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1호
    • /
    • pp.9-17
    • /
    • 2007
  • The summer distributions of planktonic microbial communities (heterotrophic and phtosynthetic bacteria, phtosynthetic and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ciliate plankton, and microphytoplankton) were compared between inner and outer areas of Lake Sihwa, divided by an artificial breakwater, located on the western coast of Korea, in September 2003. The semi-enclosed, inner area was characterized by hyposaline surface water (<17 psu), and by low concentrations of dissolved oxygen (avg. $0.4\;mg\;L^{-1}$) and high concentrations of inorganic nutrients (nitrogenous nutrients $>36\;{\mu}M$, phosphate $>4\;{\mu}M$) in the bottom layer. Higher densities of heterotrophic bacteria and nanoflagellates also occurred in the inner area than did in the outer area, while microphytoplankton (mainly diatoms) occurred abundantly in the outer area. A tiny tintinnid ciliate, Tintinnopsis nana, bloomed into more than $10^6\;cells\;L^{-1}$ at the surface layer of the inner area, while its abundance was much lower ($10^3-10^4\;cells\;L^{-1}$) in the outer area of the breakwater. Ciliate abundance was highly correlated with heterotrophic bacteria (r = 0.886, p < 0.001) and heterotrophic flagellates (r = 0.962, p < 0.001), indicating that rich food availability may have led to the T. nana bloo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reakwater causes the eutrophic environment in artificial lakes with limited flushing of enriched water and develops into abundant bacteria, nanoflagellates, and cili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