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xel-frequency method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39초

Image Authentication and Restoration Using Digital Watermarking by Quantization of Integer Wavelet Transform Coefficients

  • Ahsan, Tanveer;Chong, Ui-Pil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87-193
    • /
    • 2012
  • An image authentication scheme for gray scale image through embedding a digital watermark by quantization of Integer Wavelet Transform (IWT) coefficients of the image is proposed in this paper. Proposed method is designed to detect modification of an image and to identify tampered location of the image. To embed the watermark mid-frequency band of a second level IWT was used. An approximation of the original image based on LL band was stored in LSB bits of the pixel data as a recovery mark for restoration of the image. Watermarked image has achieved a good PSNR of 40 dB compared to original cover image. Restored image quality was also very good with a PSNR of more than 35 dB compared to unmodified watermarked image even when 25% of the received image is cropped. Thus, the proposed method ensures a proper balance between the fidelity of the watermarked image and the quality of the restored image.

Graphical Selection of Optical Materials Using an Expanded Athermal Glass Map and Considering the Housing Material for an Athermal and Achromatic Design

  • Lim, Tae-Yeon;Kim, Yeong-Sik;Park, Sung-Chan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9권5호
    • /
    • pp.531-536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 new graphical method for selecting a pair of optical glass and housing materials to simultaneously achromatize and athermalize a multilens system composed of many elements. To take into account the lens spacing and housing, we quantify the lens power, chromatic power, and thermal power by weighting the ratio of the paraxial ray height at each lens to them. In addition, we introduce the equivalent single lens and the expanded athermal glass map including a housing material. Even though a lens system is composed of many elements, we can simply identify a pair of glass and housing materials that satisfies the athermal and achromatic conditions. Applying this method to design a black box camera lens equipped with a 1/4-inch image sensor having a pixel width of $2{\mu}m$, the chromatic and thermal defocusings are reduced to less than the depth of focus, over the specified ranges in temperature and frequency.

Fast Bilateral Filtering Using Recursive Gaussian Filter for Tone Mapping Algorithm

  • 프리마스투티 대위;남진우;차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76-179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st implementation of Bilateral filter for tone mapping algorithm. Bilateral filter is able to preserve detail while at the same time prevent halo-ing artifacts because of improper scale selection by ensuring image smoothed that not only depend on pixel closeness, but also similarity. We accelerate Bilateral filter by using a piecewise linear approximation and recursive Gaussian filter as its domain filter. Recursive Gaussian filter is scale independent filter that combines low cost 1D filter which makes this filter much faster than conventional convolution filter and filtering in frequency domain.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proposed method is simpler and faster than previous method without mortgaging the quality.

  • PDF

계층적 타일기반 탐색기법과 SIMD 구조가 적용된 스캔변환회로의 FPGA 구현 (FPGA Implementation of Scan Conversion Unit using SIMD Architecture and Hierarchical Tile-based Traversing Method)

  • 하창수;최병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2023-203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그래픽스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고성능 스캔변환회로를 설계하고 FPGA로 구현한 내용을 기술한다. 스캔변환회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타일기반 탐색기법과 SIMD 구조를 적용한 스캔변환회로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한 스캔변환회로는 Xilinx Vertex4 LX100 FPGA 디바이스에서 약 124Mhz로 동작가능하며, 실제 연산결과의 올바른 출력을 확인하기 위해 셰이더, 텍스처 매핑회로 그리고 $240{\times}320$ 컬러 TFT-LCD의 컨트롤러를 설계하여 통합하였다. FPGA상에 구현된 스캔변환회로는 약 311Mpixels/sec의 픽셀 생성율을 가지므로 데스크 탑 PC용 3차원 그래픽스 시스템뿐만 아니라 고성능을 요구하는 모바일 3차원 그래픽스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후처리 알고리듬 (An Effective Postprocessing Algorithm in Multimedia System)

  • 박경남;김승진;유현배;이건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1521-153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신호적응필터 및 블록간 선형조합을 이용하여 멀터미디어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양자화잡음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제안 알고리듬에서는 모든 블록에 대해서 DCT 계수의 특성에 따라서 저주파, 고주파, 및 중간조 블록으로 블록 분류를 행한 후, 링잉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영상내의 고주파 블록에 대해서 Sobel 연산자를 이용하여 에지맵을 구한 다음, 에지들의 존재유무에 따른 신호적응필터를 수행함으로써 영상의 원래 에지들을 보호하면서 에지 주위에 나타나는 링잉 현상을 효율적으로 제거한다. 그리고 블록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곳의 화소 밝기값 정보들을 이용하여 블록화 현상이 발생한곳의 화소 밝기값들을 개선시킴으로서 블록화 현상을 효율적으로 제거한다. 모의실험 결과 기존 방법에 비하여 PSNR 측면에서 0.2~0.4 dB 정도의 향상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주관적 화질면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PDF

주파수 위상 부호화와 위상 랩핑 방법을 이용한 영상 암호화 및 복호화 시스템 (Image Encryption and Decryption System using Frequency Phase Encoding and Phase Wrapping Method)

  • 서동환;신창목;조규보
    • 한국광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07-51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출력평면에 나타나는 원 영상을 재생시키기 위하여 위상 랩핑 방법을 이용하여 암호화 수준을 향상시키고 주파수 영역에서 위상 부호화하여 암호화함으로써 잡음에 강한 복호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암호화된 영상은 원 영상이 아닌 위상 변조된 가상 영상과 무작위 위상 영상을 곱하고 제로 패딩(ze.o-padding)하여 푸리에 변환한 후 이 변환된 복소 영상을 데이터 전송 및 매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실수 값으로 변환하여 위상 부호화하여 만든다. 복호화 과정은 제안한 선형적인 영상을 비선형적인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위상 랩핑 방법에 의해 각각 만들어진 암호화된 영상과 복호화 키를 곱하여 푸리에 역변환하여 공간필터를 가진 출력 평면에서 원 영상을 복원함으로써 광축 정렬 문제와 픽셀 대 픽셀 대응이 용이하여 복원영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안한 방법은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암호화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있을 수 있는 복제 가능성을 원 영상의 어떤 정보도 포함하지 않은 가상 영상을 사용함으로써 배제할 수 있고 또한 실수 값을 위상 부호화함으로써 현재에 사용되는 공간 광 변조기로 표현이 가능하다.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암호화 방법의 적합성과 암호화된 영상과 복호화 키 영상에 잡음이 발생하더라도 원 영상의 복원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DCT와 정보 화소 밀도를 이용한 PDA로 획득한 명함 영상에서의 영역 해석 (Region Analysis of Business Card Images Acquired in PDA Using DCT and Information Pixel Density)

  • 김종흔;장익훈;김남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8C호
    • /
    • pp.1159-117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PDA에 장착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획득한 명함 영상에 대한 효율적인 영역 해석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크게 영역 분할, 정보 영역 분류, 문자 영역 분류의 3개 과정으로 구성된다. 영역 분할에서는 입력 명함 영상을 8${\times}$8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고 각 블록을 저주파 대역에서의 정규화 된 DCT 계수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정보 블록과 배경 블록으로 분류한 다음, 블록에 대한 영역 라벨링을 통하여 정보 영역과 배경 영역으로 분할한다. 정보 영역 분류에서는 각 정보 영역을 블록 신호의 수평, 수직 방향 에지 성분과 저주파 대역에서의 DCT 계수의 에너지 비와 이진화 된 정보 영역 내에서의 흑화소인 정보 화소의 밀도를 이용하여 문자 영역과 배경 영역으로 분류한다. 문자 영역 분류에서는 분류된 문자 영역을 정보 화소의 밀도와 평균 런 길이를 이용하여 다시 큰 문자와 작은 문자 영역으로 분류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영역 해석 방법은 여러 종류의 명함을 다양한 주변 여건에서 PDA로 획득한 시험 영상에 대하여 정보 영역과 배경 영역을 잘 분할하고, 정보 영역을 문자 영역과 그림 영역으로 잘 분류하며, 다시 문자 영역을 큰 문자와 작은 문자 영역으로 잘 분류함을 보였다 그리고 제안된 영역 분할 방법과 정보 영역 분류 방법은 기존의 방법들보다 각각 약 2.2-10.1%와 7.7%의 에러율 향상을 보였다.

Study on Preventing Bit Error of Digital Watermark Using Orthogonal Transform

  • Watanabe, Jun;Hasegawa, Madoka;Kato, Shigeo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ITC-CSCC -1
    • /
    • pp.277-280
    • /
    • 2002
  • Many digital watermarking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copyright protection. Especially, methods to add a watermark in the frequency domain are often used. In those methods, only a few components of frequencies are changed according to watermark information, so that the pixel values of the image obtained by the inverse transform sometimes exceed the dynamic range and owing to the clipping process at this time watermark information is changed. This phenomenon even occurs without attacks like image processing. In this paper, we propose two methods to prevent loss of watermark information, applicable to such cases, it is said that one is the method called "inversion of increase and decrease" and another is "conservation of amounts of changes." We can extract the watermark information correctly under the condition of no attacks by using these proposed methods.

  • PDF

평판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휘도 개선을 위한 불규칙 어드레싱 구동방식 (Irregular Addressing Scheme for Luminance Improvement of Flat Panel Plasma Display)

  • 손일헌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7호
    • /
    • pp.1943-195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평판 플라즈마 표시장치(PDP)의 휘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불규칙 어드레싱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종래의 계조 조정 방식에서 주사 전극의 선택이 한 가지 순열조합에 의해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것에 반하여 불규칙 어드레싱에서는 화소의 발광시간을 90%이상으로 늘릴 수 있도록 비순차적으로 주사 전극을 선택한다. 이 방식은 PDP의 물리적 구조에 무관하며 구동 전압이나 전류 등을 바꾸지 않고도 구현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 PDF

지역적 스펙트럼 상호유사성에 기반한 공간 적응적 영상 융합 (Spatially Adaptive Image Fusion Based on Local Spectral Correlation)

  • 김성환;박종현;강문기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Ⅳ
    • /
    • pp.2343-2346
    • /
    • 2003
  • The spatial resolution of multispectral images can be improved by merging them with higher resolution image data. A fundamental problem frequently occurred in existing fusion processes, is the distortion of spectral information. This paper presents a spatially adaptive image fusion algorithm which produces visually natural images and retains the quality of local spectral information as well. High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high resolution image to be inserted to the resampled multispectral images is controlled by adaptive gains to incorporate the difference of local spectr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high and the low resolution images into the fusion. Each gain is estimated to minimize the l$_2$-norm of the error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estimated pixel values defined in a spatially adaptive window of which the weight are proportional to the spectral correlation measurements of the corresponding regions. This method is applied to a set of co-registered Landsat7 ETM+ panchromatic and multispectral image da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