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xel error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29초

비디오 복호기에서의 어파인 변환을 이용한 적응적 에러은닉 기법 (Adaptive Error Concealment Method Using Affine Transform in the Video Decoder)

  • 김동형;김승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9C호
    • /
    • pp.712-719
    • /
    • 2008
  • 시간적 에러은닉 기법은 손실된 데이터를 포함한 프레임과 이전프레임사이의 시간적 상관도(temporal correlation)를 이용하여 손실된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시간적 에러은닉 방법은 블록단위의 복원기술과 화소단위의 복원기술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어파인변환(affine transform)을 이용한 화소단위의 시간적 에러은닉에 관한 것으로 이는 손실된 블록내에 객체 또는 배경이 어파인 모델로 모델링 될 수 있는 기하학적 변환 즉 회전, 확대, 축소와 같은 변환이 있는 경우 더욱 높은 성능을 가진다. 또한 어파인 모델의 계산과정에 사용되는 움직임벡터가 서로 다른 객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경우에도 높은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비용함수를 정의하고 비용 값에 따라 적응적으로 어파인 에러은닉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성능을 가지게 한다. 실험결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현재 H.264/AVC 참조소프트웨어에서 방법과 비교하여 최대 1.9 dB까지의 객관적 화질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p-채널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변동을 보상할 수 있는 5-TFT OLED 화소회로 (5-TFT OLED Pixel Circuit Compensating Threshold Voltage Variation of p-channel Poly-Si TFTs)

  • 정훈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79-28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p-채널 저온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변동을 보상할 수 있는 새로운 OLED 화소회로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5-TFT OLED 화소회로는 4개의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1개의 OLED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및 1개의 정전용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안한 화소회로의 한 프레임은 초기화 구간, 문턱전압 감지 및 데이터 기입 구간, 데이터 유지 구간 및 발광 구간으로 나누어진다. SmartSpice 시뮬레이션 결과,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이 ${\pm}0.25V$ 변동 시 최대 OLED 전류의 오차율은 -4.06%이였고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이 ${\pm}0.50V$ 변동 시 최대 OLED 전류의 오차율은 9.74%였다. 따라서 제안한 5T1C 화소회로는 p-채널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변동에 둔감하여 균일한 OLED 전류를 공급함을 확인하였다.

벡터 오차 확산법을 이용한 색보정 기반의 칼라 중간조 처리법 (Color halftoning based on color correction using vector error diffusion)

  • 최원희;이철희;김정엽;김희수;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7권5호
    • /
    • pp.76-8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벡터오차 확산법을 이용한 색수정 방법으로 장치간 색재현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색차를 줄이는 칼라 하프토닝(halftoning)법을 제안하였다 각 장치의 출력색을 추정하기 위하여 신경망을 이용하였으며 장치 특성화 과정의 평균 추정 오차를 정의하여 이를 색수정의 임계치로 정의하였다 즉 화소 단위로 색차를 비교하여 최대 허용 색차(임계치)보다 클 경우 그 화소의 프린팅을 위한 이진 도트 집합은 벡터 오차 확산법을 이용해 재배열된다 제안된 방법은 선택적으로 벡터 오차 확산법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벡더 오차 확산법이 갖는 스미어 현상(smear effect)을 줄일 수 있으며 색수정을 통하여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장치간 색차를 줄일 수 있었다.

  • PDF

인간의 공간 지각 특성을 이용한 에지 강조 컬러 해프토닝 (Edge Enhanced Halftoning using Spatial Perceptual Properties of Human)

  • 곽내정;장언동;송영준;김동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123-131
    • /
    • 2005
  • 디지털 해프토닝 방법 중 오차 확산 해프토닝은 다른 해프토닝 방법에 비해 우수한 화질을 보이지만 에지가 흐려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은 인간의 공간 지각 특성을 이용하여 에지를 강조하는 개선된 오차 확산 해프토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인간의 눈이 한 화소의 명암 값이 아니라 국부 평균을 인식한다는 것과 공간적 변화량을 인간이 인식하는 정도를 이용하여 에지 강조 정보량(IEE : information of edge enhancement)을 구한다. 이 값을 양자화기 입력에 더하여 해프톤 영상의 에지를 강조한다. 이때 컬러 성분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오차 확산 필터의 계수가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영상의 에지가 강조되어 시각적으로 선명한 영상을 생성함을 보여주며 에지를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컬러 임펄스나 거짓 등고선과 같은 단점도 줄여줌을 보여준다.

  • PDF

H.264 디코더에서 기울기 벡터를 이용한 에러복원 방법 (Error Concealment Using Gradient Vectors in H.264 Decoder)

  • 전성훈;유재명;이귀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3호
    • /
    • pp.197-204
    • /
    • 2006
  • 이동 통신의 급속한 발전으로 고품질 영상 서비스가 요구됨에 따라 이동 통신 환경과 같은 에러에 노출된 채널환경 하에서 고품질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에러 복원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H.264 화면간(Inter) 프레임에서의 채널 에러에 대한 보완 방법으로 기울기 벡터를 이용한 강화된 BMA(Boundary Matching Algorithm) 방법을 제안 한다. 일반적인 BMA 방법은 후보블록과 인접블록에 대해 차분을 계산할 때, 인접한 픽셀들의 차분의 합을 구한다. 이는 인접한 픽셀들이 대체적으로 같다는 가정에서 이루어지나 실제 영상에서는 기울기가 존재하게 되고 인접한 픽셀들은 특정한 방향으로 픽셀값이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영상에서의 기울기를 고려한 정확한 차분방법을 개발하여 이를 적용한 영상복원을 시도한다. 채널 에러로 손실된 영상에 제안 방법을 적용한 결과 기존에 적용된 방법에 비해 약 $1{\sim}3dB$ 정도 향상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오차 최소화된 정밀 광삼각법 프로브의 해석 및 설계 (Design & Analysis of an Error-reduced Precision Optical Triangulation Probes)

  • 김경찬;오세백;김종안;김수현;곽윤근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A
    • /
    • pp.411-414
    • /
    • 2000
  • Optical Triangulation Probes (OTPs) are widely used for their simple structure. high resolution, and long operating range. However, errors originating from speckle, inclination of the object, source power fluctuation, ambient light, and noise of the detector limit their usabi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design criteria for an error-reduced OTP. The light source module for the system consists of an incoherent light source and a multimode optical fiber for eliminating speckle and shaping a Gaussian beam Intensity profile. A diffuse-reflective white copy paper, which is attached to the object, makes the light intensity distribution on the change-coupled device(CCD). Since the peak positions of the intensity distribution are not related to the various error sources, a sub-pixel resolution signal processing algorithm that can detect the peak position makes it possible to construct an error-reduced OTP system

  • PDF

Pressure Sensitive Paint를 이용한 압력장 측정기술의 이미지 등록에 관한 연구 (Assessment of Image Registration for Pressure-Sensitive Paint)

  • 장영기;박상현;성형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8권3호
    • /
    • pp.271-280
    • /
    • 2004
  • Assessment of image registration for Pressure Sensitive Paint (PSP) was performed. A 16 bit camera and LED lamp were used with Uni-FIB paint (ISSI). Because of model displacement and deformation at 'wind-on' condition, a large error of the intensity ratio was induced between 'wind-on' and' wind-off images. To correct the error, many kinds of image registrations were tested. At first, control points were marked on the model surface to find the coefficients of polynomial transform functions between the 'wind-off' 'wind-on' images. The 2nd-order polynomial function was sufficient for representing the model displacement and deformation. An automatic detection scheme was introduced to find the exact coordinates of the control points. The present automatic detection algorithm showed more accurate and user-friendly than the manual detection algorithm. Since the coordinates of transformed pixel were not integer, five interpol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get the exact pixel intensity after transforming the 'wind-on' image. Among these methods, the cubic convolution interpolation scheme gave the best result.

적응적인 선형 보간을 이용한 부화소 기반 영상 확대 (Sub-pixel Image Magnification Using Adaptive Linear Interpolation)

  • 유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000-100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부화소 단위의 적응적인 선형 보간법을 제안한다. 보통의 선형 보간법에 화소 마다 매개변수가 도입되고 이 매개 변수를 최적으로 구하기 위해서 저역 필터와 MMSE (minimum mean square error) 방법을 이용한 일반적인 보간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일반적인 적응 선형 보간 구조에서 복잡도를 최소화한 방법을 유도하여 간단한 닫힌 형태의 식으로 제시한다. 기존 방법인 보통의 선형 보간법, 3차 컨볼루션 보간법에 비교하여 주관적으로나 객관적으로 제안된 방법의 우수함을 실험 결과로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왜곡 거리 선형 보간법(warped distance linear interpolation), 이동 선형 보간법(shifted linear interpolation) 등의 최근 기술과 비교하여도 우수함을 실험결과는 보여준다.

  • PDF

평균오차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동영상 데이터를 위한 효율적인 장면전환 검출 (Effective Scene Change Detection Method for MuIUmedia Bata as Video Images using Mean Squared Error)

  • Jung, Chang-Ryul;Koh, Jin-Gwang;Lee, Joon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951-957
    • /
    • 2002
  • 동영상데이터의 대용량 검색을 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점을 추출하여 인덱싱과 재생하기 위해서는 동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리스트 제공이 필요하다. 평균오차를 적용하여 프레임의 대각선으로부터 픽셀값을 추출한다. 각각의 프레임으로부터 추출된 픽셀의 RGB값은 행렬구조로 저장하고, 저장된 프레임은 두 지정을 비교하여 장면전환점을 추출한다 또한 동영상의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알고리즘과 장면전환설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한 방법의 성능 우수성을 기존연구와 비교하여 분석하고 증명했다

Generation of Simulated Geospatial Images from Global Elevation Model and SPOT Ortho-Image

  • Park, Wan Yong;Eo, Yang Dam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7-223
    • /
    • 2014
  • With precise sensor position, attitude element, and imaging resolution, a simulated geospatial image can be generated. In this study, a satellite image is simulated using SPOT ortho-image and global elevation data, and the geometric similarity between original and simulated images is analyzed. Using a SPOT panchromatic image and high-density elevation data from a 1/5K digital topographic map data an ortho-image with 10-meter resolution was produced. The simulated image was then generated by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and global elevation data (SRTM1, GDEM2).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1) the agreement of the image simulation between pixel location from the SRTM1/GDEM2 and high-resolution elevation data is above 99% within one pixel; (2) SRTM1 is closer than GDEM2 to high-resolution elevation data; (3) the location of error occurrence is caused by the elevation difference of topographical objects between high-density elevation data generated from the Digital Terrain Model (DTM) and Digital Surface Model (DSM)-based global elevation data. Error occurrences were typically found at river boundaries, in urban areas, and in forest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global elevation data are of practical use in generating simulated images with 10-meter re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