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t and fissure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19초

유아 어머니의 구강보건인식도에 따른 유아구강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Effect of Mothers'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ur on Dental Caries in Their Preschool Children)

  • 김연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47-15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how mothers' oral health cognition influence on dental caries status of their children. The 194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children were 5, 6, 7 years old in the three day care centers in Ulsan, Korea. Date were collected by oral examination on children an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on their mothers. The questionnaire was surveyed mothers' cognition of oral health and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igher mother's income, the lower infant's dental caries,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 2.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ntal caries preventive cogniton, infant's preventive treatment, between-meals intake and infant's dental caries. 3.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orther's toothbrushing frequency and infant's dental caries.

  • PDF

Determination of Residual Monomers in Dental Pit and Fissure Sealants

  • 문현중;임범순;이용근;김철위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1권11호
    • /
    • pp.1115-1118
    • /
    • 2000
  • Specimens were cured by using a 1 mm (thickness) ${\times}$5 mm (diameter) teflon mold, and were immersed in artificial saliva and in 75% ethanol for 1, 7, 14, 21 and 28 days in order to quantify and to identify toxic components and to determine any degra dation byproducts of Bis-GMA that might be released from five commercially available resin-based dental sealants. In artificial saliva, the only released component was triethylene glycol dimethacylate (TEGDMA). In 75% ethanol, TEGDMA, 2,2-bis[4-(2-hydroxy-3-methacryloyloxypropoxy) phenyl]propane (Bis-GMA) and urethane dimethacrylate (UDMA) were released highly at the initial stage, indicating that the amount of component released is not linearly correlated with the immersion time. The amount of released TEGDMA was found to be much higher in 75% ethanol than in artificial saliva. Importantly, bisphenol-A (BPA) was detected from all the uncured sealants tested, suggesting that all the sealants tested contain BPA as a contaminant.

S-PRG 필러를 포함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의 전단결합강도 및 미세누출 (Shear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of a New Self-etch Sealant Containing S-PRG filler)

  • 안진선;이주현;서현우;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47-35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S-PRG 필러를 포함하는 치면열구전색제(BeautiSealant)의 법랑질 전단결합강도 및 미세누출을 평가함에 있다. 45개의 소구치를 실험대상으로 사용하였으며, 자가부식 프라이머 도포 후 BeautiSealant를 적용한 군(SEPBS), 인산 부식 후 BeautiSealant를 적용한 군(AEBS), 인산 부식 후 $Clinpro^{TM}$ sealant를 적용한 군(AECP)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전단결합강도 측정을 위해 치면열구전색제 블록을 법랑질 표면에 적용하였고, 미세누출을 평가하기 위해 소구치의 소와열구에 치면열구전색제를 도포하였다. 전단결합강도와 관련하여 SEPBS군은 AEBS, AECP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으나(p < 0.05), AEBS군과 AECP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미세누출과 관련하여 3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보건소 내원 환자들의 구강보건 인식도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patient's awareness of oral health in public health center)

  • 양정승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5-79
    • /
    • 2004
  • There are two purposes in this study. The first one is to collect some oral health informa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s upon the oral health care of Korean adults. Referring to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 wanted to furnish fundamental data with oral health education for each age and with a publicity booklet editing. That is the second purpose of this research. Among the people who visited Seo-gu Public Health Center in Kwang-ju, 207 people answered the questionnaires. There were 86 men and 121 women from the 20-aged to the 59- aged. The questionnaires covers knowledge aquisition path for dental caries prevention, the cognition degrees for the causes of dental caries and its prevention, the cognition degrees for the causes of periodontal disease and its prevention, the degrees for oral health methods, and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The cognition degree for dental caries prevention: The cognition for pit and fissure sealant was appeared most highly in thirties by 85.3%. but 62.1 % in fifties was answered, "Never heard". The cognition degree for fluoride application was appeared most highly in thirties by 73.5%. and the cognition degree for water fluoridation was most highly in forties by 54.2%. 2. The knowledge for pit and fissure sealant was acquired mostly through dental hospital in every age by 54.2%. 3. The knowledge for fluoride application was learned mostly through dental hospitals in twenties and thirties by 32.7%. and mostly through TV or radio health programs in forties and fiftieseach by 35.7% and 50.0%. 4. The knowledge for water fluoridation was acquired through TV or radio programs in all ages such as twenties. thirties. forties and fifties. Its rate was 57.8%. 5. The cognition degree of the cause of dental caries: 53.1 % of all ages think that dental caries can most frequently be caused by being lack of toothbrushing. 6. The cognition degree of the cause of periodontal disease: 58.5% people of all ages think that both dental plaque and calculus might be the main cause of periodontal disease. 7. The cognition degree of dental caries prevention: 72.8% people think that dental caries can be prevented by right tooth brushing method. and 8.7% people think that they can be prevented by scaling. However, 10.7% people of them were not interested in dental caries prevention. 8.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35.3% people think that teeth health is the most important, and 63.8% people think oral healt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health problems. Forties answered that tooth health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and fifties. thirties and twenties followed in the order. 9. The cognition for oral health maintenance: all ages(twenties. thirties. forties. and fifties) answered that right toothbrushing method was the best way to keep oral health by 69.1%.

  • PDF

성남시 5세 어린이의 구강건강실태 조사 (A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Oral Health of 5 years Children in Seongnam City)

  • 한지형;이영수;안용순;김미정;허성윤;신명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9-95
    • /
    • 2005
  • Dental caries is the most prevalent dental issue of childhood. So it is important to control caries form 5 years children and above all, the study of oral health status have been preceding for preventive dental ca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oral health status of 5 years children in seongnam city.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1035 kindergraten children which had been selected stratified random sampling. The survey is based on WHO, 2000 oral health assessment, which has been modified. From data dt index, ft index, dft index, dt rate, ft rate, percentage of active caries, percentage of pit and fissure sealant, and so 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 5 years children, the experience of dental caries was 73.0% and the percentage with active caries was 49.4%. Dmf index was 4.13 and this observation shows a statistical singnificance. (2) Average number of 5 years children the experience of dental caries surface index was 3.11 and dfts index was 8.91. (3) The experience of dental caries fo the frist molar was 1.9% and the percentage with active caries was 1.1%. Otherwise the percentage of pit and fissure sealant of the first molar was 6.7%. It is show the low percentage for preventive dental caries. (4) Shows percentage of teeth needing treatment for one surface and above two surface was each 27.3%, 34.0%. And percentage of children required single crown and pulp treatment & single crown and tooth extraction was each 3.8%, 4.7%, 3.3%. (5) Soojung-gu and jungwon-gu were having poor oral hygiene as compared to bundang-gu.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mmunity oral health program effectively. And for preventive dental caries and early diagnosis and early treatment consider with community characteristic.

  • PDF

S-PRG filler를 포함한 치면열구전색제의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미생물 특성에 관한 연구 (Antibacterial Properties of Pit and Fissure Sealant Containing S-PRG filler on Streptococcus mutans)

  • 안진선;박호원;서현우;이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2-311
    • /
    • 2015
  • 본 연구는 Planktonic growth inhibition test와 CDC Biofilm Reactor를 사용한 Biofilm assay를 통해 S-PRG filler를 함유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의 S. mutans에 대한 항미생물 효과를 기존의 치면열구전색제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S-PRG 필러를 함유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인 BeautiSealant, 불소를 방출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인 Clinpro$^{TM}$ sealant, 불소 미방출 치면열구전색제인 Concise$^{TM}$ sealant를 실험군으로 선정하였다. 성장억제평가를 위해 치면열구전색제를 사용하지 않은 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3개의 실험군 모두 대조군보다 유의할 정도로 낮은 집락 형성 단위를 보였고, Clinpro$^{TM}$ sealant가 BeautiSealant와 Concise$^{TM}$ sealant보다 유의할 정도로 낮은 집락 형성 단위를 보였다. BeautiSealant와 Concise$^{TM}$ sealant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바이오 필름 평가에서도 Clinpro$^{TM}$ sealant군이 BeautiSealant와 Concise$^{TM}$ sealant군들에 비해 유의할 정도로 낮은 집락 형성을 보였으며, BeautiSealant와 Concise$^{TM}$ sealant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S-PRG filler를 포함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인 BeautiSealant는 기존의 불소방출 치면열구전색제에 비하여 낮은 항미생물 효과와 높은 바이오 필름 형성능을 보였다.

시술자와 방습법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제의 유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S RETENTION BETWEEN DIFFERENT OPERATORS USING DIFFERENT ISOLATION TECHNIQUES)

  • 조재용;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15-422
    • /
    • 2003
  • 치면열구전색제의 예방효과는 전색제의 유지와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시술시의 환경과 시술 방법, 개개 환자의 구강 위생이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대규모로 '치아홈메우기 사업'이 진행 중에 있지만 시술 여건이나 시술자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의 방습법과 치면 세마가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면열구전색제의 시술 시 소아치과의사, 일반치과의사, 치과위생사 등 시술자에 따른 유지율 차이와 러버댐과 코튼롤(cotton roll) 방습법 등 격리 방법에 따른 유지율의 차이를 알아보고 실패가 일어나는 치아의 특정 부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6세-11세인 119명의 아동(남자 64명, 여자 55명)에서 상하악 제1대구치에 시술된 279개의 치면열구전색제를 대상으로 1년 후의 유지율을 조사하였다. 이 아동들은 평균 연령이 $8.59{\pm}0.772$세였으며 각각 러버댐을 사용한 소아치과의사가 시술한 1군, 러버댐을 사용한 일반치과의사가 시술한 2군, 코튼롤(cotton roll)을 사용한 치과위생사가 시술한 3군으로 나누었다. 1년 후의 치면열구전색제의 유지율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년 후의 치면열구전색제 유지율은 러버댐을 사용한 소아치과의사가 시술한 1군이 90.8%, 러버댐을 사용한 일반치과 의사가 시술한 2군은 85.0%, 코튼롤을 사용한 치과위생사가 시술한 3군은 64.7%였으며 1군과 2군간에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으나(P>0.05) 1,2군과 3군 간에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P<0.05). 2. 상악과 하악의 유지율 비교에서 1군과 2군은 차이가 없었으나(P>0.05) 3군은 차이가 있었다(P<0.05). 3. 실패부위 분석에서 교합면의 실패는 58.3%, 협/설면구는 41.7%를 차지하였다.

  • PDF

성남시 12세 아동의 구강건강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Oral Health of 12-year Old Schoolchildren in Sung-Nam City)

  • 김기은;신명미;허성윤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17
    • /
    • 2005
  • 성남시 지역주민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장기 지역사회구강보건 개발의 일환으로 학교구강보건사업에 필요한 구강보건 정보를 수집 정리할 목적으로 성남시 12세 아동의 구강건강실태를 조사한 후 분석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성남시 12세 아동의 영구치우식경험자율은 74.7%, 영구치우식유병자율은 36.2%, 우식경 험영구치지수는 2.75개이었다. 2. 우식영구치율은 전체 28.4%이었는데 수정구의 우식영구치율이 36.8%로 분당구의 19.8% 에 비해 2배 가까운 수치를 보여 지역적 불균형 현상을 나타냈다. 3. 영구치가료필요자율은 1치면 충전을 필요로 하는 비율이 26.6%, 2치면 이상이 13.3%, 인조치관 수복필요가 1.8%, 치수치료 등이 5.3%, 발치필요가 2.2%로 나타났으며 치면열 구전색자율은 27.1%에 불과하였다. 4. 성남시는 12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교구강보건사업 뿐만 아니라 아동의 구강건강상태 의 경우 구별로 불균형을 보이므로 우식발생이 높은 아동이나 우식발생위험이 높은 지역의 아동을 위한 조기검진치료사업 및 치면열구전색과 같은 우식예방사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었다.

  • PDF

치면열구전색제의 광중합 후 표면 처리 방법에 따른 미반응 모노머 용리 비교 (COMPARISON OF MONOMER RELEASE FROM PIT AND FISSURE SEALANT FOLLOWING VARIOUS SURFACE TREATMENT)

  • 이상우;이주현;서현우;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0-7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치면열구전색제 중합 후 표면의 미반응 모노머 층을 임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거하고,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미반응 모노머를 정량분석 함으로써 미반응 모노머의 제거효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표면처리 방법에 따라 광중합 후 표면을 어떤 처리도 시행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 증류수로 10초간 세척한 군을 I군(Group I), 75% 알콜에 젖은 면구로 10초간 문지른 군을 II군(Group II), 퍼미스와 러버컵을 이용하여 10초간 처리하고 증류수로 가볍게 세척한 군을 III군(Group III)으로 분류하였다. 표면처리 후 각각의 시편을 3차 증류수에 넣은 후 $37^{\circ}C$ 항온수조에서 10분간 보관한 후 각각의 용리액을 HPLC를 이용하여 정성 및 정량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군과 표면처 리를 시행한 모든 군에서 TEGDMA를 제외한 어떠한 모노머들도 검출되지 않았다. 2. 표면처리를 한 모든 군은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용리되는 모노머량이 유의할 만하게 감소하였다(P<0.05). 3. 퍼미스와 러버컵을 이용해 표면처리한 군에서 잔존 모노머 제거효과가 다른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 PDF

치면열구전색제의 표면처리와 중합시간 증가에 따른 미반응 모노머 용리 평가 (MONOMER RELEASE FROM PIT AND FISSURE SEALANT FOLLOWING BY SURFACE TREATMENT AND CURING TIME)

  • 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2-129
    • /
    • 2007
  • 본 연구는 복합 레진의 중합률에 영향을 미치는 광조사 시간을 달리하여 치면열구전색제를 중합하였을 경우 이로부터 용리되는 미반응 모노머들을 확인하고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치면열구전색제 중합 후 표면에 나타나는 미반응 모노머 층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거한 후 용리되는 미반응 모노머들을 정량분석함으로써 미반응 모노머의 제거효과를 비교평가하고자 하였다. 광중합 시간에 따라 각각 20초, 40초, 60초간 중합한 후, 중합시간 별로 어떠한 처리도 시행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 증류수로 10초간 세척한 군을 I군(Group I), 75% 알콜에 젖은 면구로 10초간 문지른 군을 II군(Group II), 퍼미스와 러버컵을 이용하여 10초간 처리하고 증류수로 가볍게 세척한 군을 III군(Group III)으로 분류하였다. 표면처리 후 각 시편을 3차 증류수에 넣고 $37^{\circ}C$ 항온 수조에서 10분간 보관한 후 각각의 용리액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성 및 정량 분석을 시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TEGDMA를 제외한 어떠한 모노머들도 검출되지 않았다. 2. 최소 중합시간, 권장 중합시간, 권장 중합시간 이상의 순으로 중합시간이 증가할수록 TEGDMA의 용리량은 감소하였다. 3. 표면처리를 한 군들은 대조군에 비하여 TEGDMA의 용리량이 유의할 만하게 감소하였다. 4. 표면처리를 한 군 가운데 퍼미스와 러버컵을 이용한 경우 잔존 모노머의 제거 효과가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았다. 5. 권장 중합시간 이상인 60초 중합 후, 퍼미스와 러버컵을 이용하여 표면처리한 경우 가장 적은 양의 모노머 용리량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