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rigida Miller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5초

적송화분과 리기다송화분의 성분 조성에 관한 연구 -일반성분, 무기질, 중금속, 비타민, 유리당의 함량- (A Study on the Constituents of the Pollen of Pinus densiflora Siebol et Zuccarini and Pinus rigida Miller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 Heavy Metal, Vitamin and Free Sugar Contents-)

  • 김혜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1-206
    • /
    • 1992
  • 적송화분과 리기다송화분을 시료로 하여서 일반성분, 무기질, 중금속, 비타민 및 유리당을 비교 분석하였다. 적송화분은 당질 함량이 58.5%로 리기다송화분 51.8%보다 다소 높았고 그외에는 리기다송화분이 조회분 4.0%, 조단백질 15.0%, 조지방 2.5%, 조섬유 17.5% 등으로 적송화분의 조회분 2.8%, 조단백질 13.4%, 조지방 2.1%, 조섬유 14.7% 보다 높았다. 무기질의 함량은 적송화분과 리기다송화분 모두 Mg, Cl, Ca, Fe, Mn, Na, Zn등을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독성중금속 Cd의 함량은 각각 0.3ppm였고, Pb 는 0.1 ppm, 0.2ppm, Cu는 0.3ppm, 0.7ppm, As는 0.01ppm, 0.03ppm으로 식품중의 허용기준치보다는 낮았다. 비타민 B$_1$, B$_2$, C의 함량은 적송화분 (vit. B$_1$1.2mg, vit. B$_2$1.0mg, vit. C 68.9mg)보다 리기다송화분의 함량 (vit. B$_1$, 1.6mg, vit. B$_2$1.7mg, vit. C 77.1mg)이 높았고, 비타민 E의 함량은 적송화분(1.6mg)이 리기다송화분(0.8mg) 보다 배가 높았다. 유리 당의 함량은 자당이 각각6.6%, 6.9%, 과당은 각각 0.2%, 포도당은 각각 2.1%, 2.9% 였다. 그 외의 유리당은 본 실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 PDF

소나무(Pinus rigida Miller) 잎 추출물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unds of Pine Needle(Pinus rigida Miller) Extracts)

  • 홍원택;고경민;이재곤;장희진;곽재진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3-59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pine needle extracts can be used as tobacco flavors. Yield of essential oil, absolute and oleoresin extracted from pine needles is 0.07%, 1.20% and 6.08% respectively. The volatil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three types of extract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GC) and mass selective detector(MSD). Total 72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the three type of extracts including 26 hydrocarbons, 16 alcohols, 13 esters, 9 acids, 4 phenols, 2 aldehydes and 2 ketones compounds. The major components were $\beta$-pinene, $\beta$-caryophyllene, $\delta$-cadinene and 4,5-dimethyl-1,3 -dioxol-2-one. There were 49 volatile components in the absolute, 44 components in the essential oil and 26 components in the oleoresin. The content of hydrocarbons and alcohols was higher in the essential oil extrac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SDE) than in others, while that of esters and acids was higher in the absolute than in others. Especially, phenols and ketones were identified only in the oleoresin. The components such as $\beta$-pinene, bornyl acetate, $\alpha$-terpineol and oxygenated terpenes have characteristic piney and fresh green odor. The contents of these components was higher in the essential oil and the absolute than in the oleoresin. Therefor, the essential oil and the absolute are expected to be more useful than the oleoresin as tobacco flavor.

리기다소나무 구조용 집성재를 활용한 아치 트러스 목조교량의 전과정평가 (Life Cycle Assessment of Timber Arch-Truss Bridge by Using Domestic Pinus rigida Glued-Laminated Timber)

  • 손휘림;박주생;김광모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1-1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리기다소나무 구조용 집성재를 사용한 국내 최초 차량용 목조교량에 대한 지구온난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전과정평가를 수행하였다. 교량연장 30 m, 교량폭원 8.4 m, 교량등급 1등급인 아치 트러스 형태의 대상 교량은 원료채취부터 제조, 수송, 시공, 사용, 해체, 건설폐기물 수송, 폐기 및 재활용까지 설계수명 50년간 총 192.56 ton $CO_2$ eq.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전과정단계 중 원료채취 및 제조단계에서 총 온실가스 배출량의 81.14%를 배출하며 특히, 콘크리트 사용으로 인하여 82.84 ton $CO_2$ eq.의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그러나 대상 교량은 $116.57m^3$의 국산 리기다소나무 집성재를 사용하였으며, 교량을 구성하는 목재에서 104.72 ton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있어 이를 적용할 경우, 총 온실가스 배출량의 54.38%를 저감 가능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대상 교량과 동일한 수명과 구조를 갖는 타 교량의 철골자재를 구조용 집성재로 대체할 경우, 원료채취 및 제조단계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 10.26%에서 최대 23.91%까지 저감 가능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산 목재 및 목조교량의 친환경적 우수성을 정량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기반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며, 목조교량의 친환경적 설계와 보급을 위해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리기다소나무재(材) 추출물(抽出物)과 균(菌)과의 관계(關係)(II) -1차(次) 침입균(侵入菌)의 건전(健全) 변재(邊材) 침입경로(侵入經路)- (Relationship Between Extracts of Pitch Pine (Pinus rigida Miller) and Fungi(II) -Pathway of First Invading Fungus to Sound Sapwood of the Pine-)

  • 심규섭;안원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343-346
    • /
    • 1996
  • 리기다소나무재의 변색 부위로부터 분리한 변색균을 다시 건전 목재에 접종하여 이 균의 목재 침입경로를 구명한 바, 처음 균사가 목재내 방사유세포에 침입하여 방사유세포 안에서 수평 방향의 이동을 계속하다가, 시간이 경과하면 가도관내로 이동하여 이 가도관을 통로로 하여 수직 방향으로 확산을 계속하였다. 침입 90일이 지나면 목재내 각 조직으로의 침입이 완료되어 균사가 세포내강에 만연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은 변색균의 목재 침입 경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리기다소나무재(材) 추출물(抽出物)과 균(菌)과의 관계(關係)(II) - 1차(次) 침입균(侵入菌)의 건전(健全) 변재(辺材) 침입경로(侵入經路) - (Relationship Between Extracts of Pitch Pine(Pinus rigida Miller) and Fungi(II) - Pathway of First Invading Fungus to Sound Sapwood of the Pine -)

  • 심규섭;안원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325-328
    • /
    • 1996
  • 리기다소나무재의 변색 부위로부터 분리한 변색균을 다시 건전 목재에 접종하여 이 균의 목재 침입 경로를 구명한 바, 처음 균사가 목재내 방사유세포에 침입하여 방사유세포 안에서 수평 방향의 이동을 계속하다가, 시간이 경과하면 가도관내로 이동하여 이 가도관을 통로로 하여 수직 방향으로 확산을 계속하였다. 침입 90일이 지나면 목재내 각 조직으로의 침입이 완료되어 균사가 세포내강에 만연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은 변색균의 목재 침입 경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리기다소나무와 이태리포를러의 임분표(林分表) (Stand Table of Pinus rigida Miller and Populus euramericana Guiner)

  • 이흥균;최종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9-25
    • /
    • 1979
  • 본(本) 연구(硏究)는 수확표(收穫表)를 조제(調製)하기 위(爲)하여 모집(募集)한 리기다소나무와 이태리포플러의 자료(資料)를 갖고 Bruce와 Reineke가 발표(發表)한 직렬도법(直列圖法)에 의(依)하여 포고직경별(胞高直徑別) 본수(本數)의 분배(分配)를 구명(究明)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각수종(各樹種) 모두 대경목(大徑木)일수록 임분(林分)의 직경범위(直徑範圍)는 넓어지며 각직경계(各直徑階)의 전본수(全本數)에 대(對)한 백분율본수(百分率本數)는 작아진다. 2. 임분(林分)의 평균직경(平均直徑)과 동일(同一)한 포고직경(胞高直徑)을 가진 임분(林分)의 전본수(全本數)수에 대(對)한 백분율(百分率)은 직경목(直徑木)일수록 적어지며 평균적(平均的)으로 리기다소나무임분(林分)은 36.2%, 이태리포플러임분(林分)은 29.0%이다. 3. 임분(林分)의 평균직경(平均直徑)보다 작은 적산본수백분율(積算本數百分率)은 대경목(大徑木)일수록 적어지며 평균적(平均的)으로 리기다소나무임분(林分)은 73.7%, 이태리포플러임분(林分)은 75.7%이다.

  • PDF

질소와 인 시비가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의 낙엽 생산량 및 양분 동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and Phosphorus Fertilization on Nutrient Dynamics and Litterfall Production of Pinus rigida and Larix kaempferi)

  • 이임균;손요환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3호
    • /
    • pp.205-212
    • /
    • 2006
  • 본 연구는 경기도 양평지역 내 서로 인접하여 있고 동일한 입지 환경 위에 생육하고 있는 41년생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조림지를 대상으로 질소와 인 시비처리가 리기다소나무와 낙 엽송의 낙엽 생산량 및 양분 동태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낙엽 생산량은 시료채취 시기와 수종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된 반면, 시비 처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낙엽 생산량은 리기다소나무가 6,377 kg/ha 그리고 낙엽송이 4,778 kg/ha이었다. 낙엽 내 양분농도는 낙엽송이 리기다소나무에 비해 높았으며, 두 수종 모두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낙엽 내 양분 농도는 낙엽송에서의 Ca 함량을 제외하고 두 수종 모두 연중 낙엽 생산량이 가장 많았던 늦가을에서 가장 낮았으며, 연중 낙엽 생산량이 가장 적었던 여름에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임분 임상의 총 유기물 함량은 24,296 kg/ha, 그리고 10,763 kg/ha였으며, 임상 내질소와 인의 함량은 리기다소나무가 126, 10 kg/ha, 그리고 102, 8 kg/ha로 각각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Miller) 지재(枝材)의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 특성(特性)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走査電子顯微鏡的)인 연구(硏究)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the Features of Compression Wood, Opposite Wood, and Side Wood in Branch of Pitch Pine(Pinus rigida Miller))

  • 엄영근;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3권1호
    • /
    • pp.3-18
    • /
    • 1985
  • 한국(韓國)에서는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Miller, pitch pine) 지재(枝材)의 해부학적(解剖學的)인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가 광학현미경적(光學顯微鏡的)인 방법(方法)을 통하여 이(李)에 의하여 1972년(年) 발표(發表)되었다. 본 연구(硏究)에서는 리기다소나무 지재(枝材)의 해부학적(解剖學的)인 특성(特性)에 관한 이(李)의 연구(硏究) 속보(續報)로써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 (compression wood), 대응재(對應材) (opposite wood) 및 측면재(側面材) (side wood)의 횡단면(橫斷面)과 방사단면(放射斷面)상의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을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을 통하여 비교(比較) 연구(硏究)한 바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에 있어서 춘재(春材)로부터 추재(秋材)로의 가도관(假導管) 이행(移行)은 극점(極漸)이며 가도관(假導管)의 배열(排列) 및 크기 역시 거의 균일(均一)한 상태(狀態)를 나타내지만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에 있어서는 가도관(假導管)의 이행(移行)이 급(急)하며 가도관(假導管)의 배열(排列) 및 크기도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보다 불균일(不均一)하다. 또한 대응재(對應材)의 연륜폭(年輪幅)은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나 측면재(側面材)의 연륜폭(年輪幅)보다 좁으며 측면재(側面材)의 횡단면(橫斷面)상 방사조직(放射組織)은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 및 대응재(對應材)의 방사조직(放射組織)보다 더 명확(明確)하다. 2.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 특히 춘재(春材) 가도관(假導管)이 둥근 경향(傾向)을 나타내는데 반하여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가도관(假導管)은 다소 모난 모양을 나타낸다. 그리고 세포간극(細胞間隙) (intercellular space), 나선강(螺旋腔) (helical cavity) 및 나선형(螺旋型) (spiral check)이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춘재(春材) 및 추재(秋材)에 모두 존재하는데 반하여 대응재(對應材)에 있어서는 춘재(春材) 및 추재(秋材) 모두에 존재(存在)하지 않는다. 3.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에 있어서 추재(秋材) 가도관(假導管)의 막(膜) 두께가 춘재(春材) 가도관(假導管)의 것보다는 더욱 크지만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추재(秋材) 가도관(假導管)은 그 막(膜)의 두께가 춘재(春材) 가도관(假導管)의 것과 비슷하여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가도관(假導管)과는 달리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에는 2차막(次膜)의 $S_3$ 층(層)이 존재(存在)하지 않는다. 4.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가도관(假導管)과는 달리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은 종종 그 선단부(先端部)가 굴곡(屈曲)되어 있으며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에 존재(存在)하는 유연막공(有緣膜孔)은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것과는 달리 세포막(細胞膜) 내표면(內表面)의 나선상(螺旋狀) (groove)에 존재(存在)한다. 5.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가도관(假導管)의 방사막(放射膜)에 존재(存在)하는 유연막공(有緣膜孔)은 난형(卵形)이지만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의 유연막공(有緣膜孔)은 약간 변형(變形)된 난형(卵形)을 나타낸다. 6. 측면재(側面材)의 춘재(春材)에 있어서 소형(小形)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는 둥근 삼각형(三角形)을 나타내며 대형(大形)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는 2개의 소형(小形)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가 합병(合倂)되어 창상(窓狀)을 나타낸다. 그러나, 대응재(對應材)의 춘재(春材)에 있어서 소형(小形)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는 직립(直立)의 난형(卵形)을 그리고 대형(大形)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는 평복(平伏)의 난형(卵形)을 나타내며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는 가도관측(假導管側)의 막공연(膜孔緣)으로 인하여 춘재(春材)의 것이 양편 볼록렌즈형(形)을, 추재(秋材)의 것이 슬릿 (slit)형(形)을 나타낸다.

  • PDF

질소와 인 시비가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침엽 및 소지에서의 부위별 양분의 계절적 변화 및 재분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and Phosphorus Fertilization on Seasonal Changes and Retranslocation of Nutrition in Foliage and Twig of Pinus rigida and Larix kaempferi)

  • 이임균;손요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4호
    • /
    • pp.199-210
    • /
    • 2004
  • 본 연구는 경기도 양평지역 내 서로 인접하여 있고 동일한 입지환경 위에 생육하고 있는 41년생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조림지를 대상으로 질소와 인 시비처리가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침엽 및 소지에서의 부위별 양분의 계절적 변화 및 양분 재분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엽내 질소와 인 농도는 낙엽송이 리기다소나무 당년생과 1년생 엽보다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수종 모두 질소와 인 농도는 소지보다 침엽에서 더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으나 엽령 증가에 따른 침엽과 소지에서의 질소와 인 농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엽과 소지에서의 질소와 인 농도의 계절적인 차이는 두 수종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두 수종의 침엽내 양분의 농도는 임목 생장기에 농도가 가장 높았고 가을철엔 가장 낮아진 반면, 소지내 양분농도는 7월 이후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계절적 경향은 두 수종 모두 가을철 낙엽기에 침엽으로부터 소지로 양분이 이동되어 축적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양분의 재분배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수종별로 양분 이용효율을 나타낼 수 있는 양분 재분배율은 본 연구 결과만으로 보면 상록성 침엽수인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성 침엽수인 낙엽송간에 차이가 없어 잎의 행태와 양분이용효율간의 관계를 단정하기는 어려웠다. 또한 시비처리 후 침엽과 소지의 양분 재분배율 변화도 일정 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아 임지의 비옥도와 양분 재분배율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