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densiflora root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초

모래밭버섯 균근균(菌根菌)의 인공접종(人工接種)이 상수리나무 조직배양묘(組織培養苗)와 소나무 삽목묘(揷木苗)의 기내(器內) 발근(發根)과 생존(生存)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isolithus tinctorius Ectomycorrhizal Inoculation on in vitro Rooting of Tissue-Cultured Quercus acutissima Carr. and of Cutting of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 이경준;김종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531-539
    • /
    • 1994
  • 본 연구는 모래밭버섯 균근균(菌根菌)(Pisolithus tinctorius)의 인공접종(人工接種)이 30년생(年生) 상수리나무와 소나무 조직배양묘(組織培養苗)의 줄기생장과 발근(發根)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여, 조직배양(組織培養)을 통한 영양증식(營養增殖)에 균근균(菌根菌)의 잠재적(潛在的) 이용가능성(利用可能性)을 파악(把握)하고자 수행(遂行)하였다. 상수리나무의 아배양(芽培養)은 겨울철에 휴면상태(休眠狀態)에 있는 30년생(年生) 개체목(個體木)에서 채취(採取)한 휴면지(休眠枝)의 동아(冬芽)를 이용(利用)하여 실시(實施)하였고, 소나무의 기내삽목(器內揷木)은 종자(種子)에서 발아(發芽)한 실생묘(實生苗)를 이용(利用)하였다. 전반적(全般的)으로 상수리나무와 소나무 모두 모래밭버섯 균근균(菌根菌)의 접종(接種)으로 부정근(不定根)의 수(數), 길이, 발근율(發根率), 생존율(生存率) 등이 향상(向上)되었다. 소나무는 생존율(生存率)이 100%로 처리간(處理間)에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지만, 상수리나무에서는 접종구(接種區)가 100%인 반면(反面), 비접종구(非接種區)는 75%로 나타났다. 발근율(發根率)에 있어서도 소나무 기내삽목(器內揷木)에서는 발근율(發根率)이 비접종구(非接種區)에서 63%에 그친 반면(反面)에, 접종구(接種區)는 100%로 나타났고, 상수리나무는 비접종구(非接種區)가 20%로 매우 낮은 데 비(比)하여 접종구(接種區)가 70%로 유의적(有意的)인 균근균(菌根菌) 접종효과(接種效果)가 나타났다. 따라서 기내(器內) 삽목(揷木)과 조직배양(組織培養)에 균근균(菌根菌)을 응용(應用)함으로서, 발근유도(發根誘導)와 뿌리 발달(發達) 및 줄기 생장(生長)을 촉진(促進)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期待)된다.

  • PDF

몬테 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소나무 탄소배출계수의 불확도 평가 (Uncertainty Assessment of Emission Factors for Pinus densiflora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Technique)

  • 표정기;손영모;장광민;이영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4호
    • /
    • pp.477-48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몬테 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소나무 탄소배출계수 자료의 확률밀도를 추정하고 불확도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용된 탄소배출계수는 목재기본밀도, 바이오매스확장계수, 뿌리함량비이고 4개의 확률밀도 함수(정규분포, 로그정규분포, 감마분포, 와이불 분포)를 고려하였다. 2-표본 콜모그로프-스미르노프 검정통계량과 누적밀도그림을 비교하여 최적의 확률밀도함수를 선정하고 상한과 하한의 불확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각 탄소배출계수에서 추정된 확률밀도함수는 강원지방소나무에서 목재기본밀도는 감마분포, 바이오매스확장계수는 로그정규분포, 뿌리함량비는 정규분포이고 중부지방소나무에서 목재기본밀도는 정규분포, 바이오매스확장계수는 감마분포, 뿌리함량비는 감마분포를 나타내었다. 강원지방소나무 탄소배출계수의 불확도는 상한에서 62.1%, 하한에서 -52.6%이고 중부지방소나무는 상한에서 43.9%, 하한에서 -34.5%를 나타내었다.

Influence of Ectomycorrhizal Colonization on Cesium Uptake by Pinus densiflora Seedlings

  • Ogo, Sumika;Yamanaka, Takashi;Akama, Keiko;Nagakura, Junko;Yamaji, Keiko
    • Mycobiology
    • /
    • 제46권4호
    • /
    • pp.388-395
    • /
    • 2018
  • Radionuclides were deposited at forest areas in eastern parts of Japan following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incident in March 2011. Ectomycorrhizal (EM) fungi have important effects on radiocaesium dynamics in forest ecosystems. We examined the effect of colonization by the EM fungus Astraeus hygrometricus on the uptake of cesium (Cs) and potassium (K) by Pinus densiflora seedlings. Pine seedlings exhibited enhanced growth after the EM formation due to the colonization by A. hygrometricus. Additionally, the shoot Cs concentration increased after the EM formation when Cs was not added to the medium. This suggests that A. hygrometricus might be able to solubilize Cs fixed to soil particles. Moreover, the shoot K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EM formation when Cs was added.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oot K concentration between EM and non-EM seedlin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mechanisms control the transfer of Cs and K from the root to the shoot of pine seedlings.

In Vitro Mycorrhiza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Xanthoconium affine with Pinus densiflora

  • Wang, Eun-Jin;Jang, Yeongseon;Ka, Kang-Hyeon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19-327
    • /
    • 2017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ulture conditions of four ectomycorrhizal fungi, namely, Amanita spissacea NIFoS 2719, Pisolithus arhizus NIFoS 2784, Suillus spraguei NIFoS 2848, and Xanthoconium affine NIFoS 2716, in solid and liquid culture media. In addition, we attempted to induce in vitro mycorrhization of the fungi with Pinus densiflora. Prior to liquid culture, we determined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each species in solid media.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species examined are capable of growth in potato dextrose agar (PDA), malt extract agar (MEA), and modified Melin-Norkran's medium (MMN), although their preferred growth media were different. Liquid culture experiments showed that inorganic nitrogen did not enhance the mycelial growth of all four species. Therefore, we used MMN-based liquid inocula to promote the growth of ectomycorrhizal fungi in our symbiosis culture system. Mycorrhization was observed in Xanthoconium affine NIFoS 2716. Morphological analysis revealed that fungi-inoculated roots of P. densiflora form simple and dichotomous lateral roots with dense mycelia. In addition, inoculation with X. affine NIFoS 2716 promoted root and shoot developments.

소나무(Pinus densiflora) 묘목의 생장에 미치는 납과 CO2의 영향 (Effects of Pb and CO2 on the Growth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 김성현;홍선화;강호정;류희욱;이상돈;조경숙;이인숙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6호
    • /
    • pp.559-563
    • /
    • 2006
  • 본 연구는 $CO_2$ 증가와 Pb 오염이 소나무 묘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납 오염 토양(500 mg/kg-soil)과 비오염토양에 2년생 소나무를 식재한 후, $CO_2$ 농도를 380 PPM 혹은 760 ppm으로 조절한 배양기에서 3개월간 생육시킨 후, 소나무 묘목의 성장, 납 함량 변화 및 토양의 물리 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소나무의 생체량과 뿌리 길이는$CO_2$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납에 의한 저해는 뚜렷이 나타났다. 납 오염 토양에서 토양중의 납 잔류랑은 $CO_2$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소나무 뿌리중의 축적량은 $CO_2$ 농도가 높으면 2배 정도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CO_2$ 농도 증가가 소나무 뿌리의 Pb 생물 이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Tree Height Estimation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in Korea with the Use of UAV-Acquired Imagery

  • Talkasen, Lynn J.;Kim, Myeong Jun;Kim, Dong Hyeon;Kim, Dong Geun;Lee, Kawn He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187-196
    • /
    • 2017
  • The use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for the estimation of tree height is gaining recognition.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ree height estimation of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and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using digital surface model (DSM) generated from UAV-acquired imageries. Images were taken with the $Trimble^{(R)}$ UX5 equipped with Sony ${\alpha}5100$. The generated DSM, together with the digital elevation model (DEM) generated from a digital map of the study areas, were used in the estimation of tree height. Field measuremen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generate a regression model and carry out accuracy assessment. The obtained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2)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for P. densiflora (R2=0.71; RMSE=1.00 m) and P. koraiensis (R2=0.64; RMSE=0.85 m) are comparable to the results of similar studies. The results of the paired two-tailed t-test show that the two tree height estimation method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value=0.04 and 0.10, alpha level=0.01), which means that tree height estimation using UAV imagery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field measurement.

수종 소나무속 식물에 있어서 뿌리와 줄기의 이기목부에 관한 비교해부 (A Comparative Anatomy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Roots and Stems of Some Pinus Plants)

  • 임동옥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9권3호
    • /
    • pp.185-196
    • /
    • 1986
  •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roots and the stems of genus Pinus including nine species growing naturally in Korea have been studied to elucidate th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wo organs. The results, comparing the root woods with the stem woods, are as follows; The transition from the early-wood to the late-wood occurs more gradually in the root woods. In the root woods, the bordered pits on the radial wall of tracheid are frequent in the two rows. The spiral thickening on the radial and tangential wall of the tracheid can be seen in the only stem woods of four species such as P. koraiensis, P. rigida, P. rigitaeda and P. banksiana. In the majority of the species studied, the length of the tracheid is longer in the root woods, but in some species such as P. strobus, P. densiflora, P. rigida and P. sylvestris, this length is almost sam ein both organs. The diameter of the tracheid in the root woods is wider. The wall thickness of the tracheid in the early wood is thicker in the root woods, but vice versa in the late woods. More rays per unit area can be seen in the root woods.

  • PDF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소나무 및 개나리묘(苗)의 식물체내(植物體內) 함유성분(含有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Nutrient Contents of Pinus densiflora S. et Z. and Forsythia koreana Nak. Seedlings)

  • 정용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3호
    • /
    • pp.259-268
    • /
    • 1988
  •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소나무(Pinus densiflora) 유묘(幼苗)와 개나리(Forsythia koreana) 삽목묘(揷木苗)의 식물체내(植物體內) 함유성분(含有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소나무 식재(植栽)와 개나리 삽목(揷木)은 1986년(年) 3월(月) 25일(日) 묘포토양(苗圃土壤)과 사양질(砂壤質)의 산림토양(山林土壤)을 1:l(v/v)로 혼합(混合)하여 채운 pot에 실시(實施)되고, 해당지역(該當地域)의 30년간(年間)의 강우양식(强雨樣式)에 모의(模擬)(simulation)해서, 황산(黃酸)과 질산(窒酸)의 비율(比率)을 3 : 2(규정(規正) 농도(濃度))로 혼합(混合)하여 지하수(地下水)로 희석(稀釋)한 pH 2.0, pH 4.0 및 pH 5.5(대조용(對照用))의 산성우(酸性雨)를 난괴법(亂塊法) 3반복(反復) 시험구(試驗區)에 천연강우(天然降雨)를 차단(遮斷)한 가운데, 동년(同年) 5월(月) 1일(日)부터 8월(月) 31일(日)까지 4개월(個月)에 걸쳐 산포(散布)하고, 묘목(苗木)의 생장(生長)이 멈춘 시기(時期)에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 1) 식물체내(植物體內) 전질소(全窒素) 함량(含量)은 산성우(酸性雨) 처리(處理)에 두 수종(樹種) 모두 증가(增加) 경향(傾向)이 있었으며, 소나무는 뿌리와 1년생(年生) 줄기에서, 개나리는 잎과 뿌리에서 각각 차이(差異)가 있었다. 2) 식물체내(植物體內) 인산(燐酸)의 함량(含量)은 산성우(酸性雨) 처리(處理)에 두 수종(樹種) 모두 감소(減少) 경향(傾向)이 있었으며, 소나무는 뿌리에서, 개나리는 잎과 뿌리에서 큰 차이(差異)를 보였다. 3) $K_2O$, CaO 및 MgO의 함량(含量)은 산성우(酸性雨)의 pH 값이 낮아짐에 따라 두 수종(樹種) 모두 감소(減少)하였으며, 개나리가 소나무에 비해, 그리고 잎과 뿌리가 줄기 및 가지에 비해 민감(敏感)한 반응(反應)을 보였다. 4) 유황(硫黃)의 함량(含量)은 pH 2.0 처리(處理)에서 두 수종(樹種) 모두 크게 증가(增加)하였으며, 소나무는 잎과 뿌리에서, 개나리는 잎, 줄기, 뿌리의 전부위(全部位)에서 각각 처리간(處理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를 보였다. 5)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의 산도수준(酸度水準) 및 수종(樹種)에 대한 반응(反應)을 종합(綜合)하면, 산도수준별(酸度水準別)로는 산성우(酸性雨)의 pH값이 낮야짐에 따라, 그리고 수종별(樹種別)로는 개나리가 소나무에 비해 민감(敏感)한 반응(反應)을 보였다.

  • PDF

송이(松栮) 균환(菌環)에서의 근계(根系) 동태(動態) (Dynamics of Root Systems in the Fairy Rings of Tricholoma matsutake)

  • 허태철;박현;주성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454-461
    • /
    • 1999
  • 송이 균환을 균환통과부, 자실체발생부, 활성균환부, 균환전진예정부로 나누어 근계 동태를 조사하였다. 균환내에서 상층수관의 70%를 점유하는 소나무의 뿌리가 전체 뿌리량의 약 60% 내외, 살아있는 뿌리 중 87%를 점유하고 있었다. 세근 함량조사에서는 다른 뿌리의 세근이 평균 13%를 차지한 것에 비하여 소나무 세근의 비율이 평균 45%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소나무 세근의 비율이 높았다. 소나무의 뿌리량은 특히, 자실체발생부와 활성균환부에서 전체 뿌리의 약 70% 내외를 차지하고 있어, 이두 부위에서는 소나무 뿌리가 송이 균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활성균환부에서의 소나무 세근의 비율이 평균 60.7% (1,087mg/100g soil)로 다른 부분에 비하여 약 2배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활성균환부에서 소나무 세근이 활발한 성장을 할 수 있으며 송이 균환의 발달에 따른 균근의 형성으로 인하여 세근 발달이 촉진된 결과로 생각된다. 또한 이 부위는 소나무 세근의 함량이 소나무 중근의 함량보다 3배에서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송이 균환부는 소나무 뿌리의 생장이 왕성한 곳에 위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낙엽송림과 리기다소나무림 벌채지 내 토양 특성과 식재된 소나무 및 낙엽송 묘목의 초기 생장 비교 (The comparison of Soil Properties and Early Growth of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Seedlings in Harvested Larix kaempferi and Pinus rigida stands)

  • 양아람;황재홍;송선화;조민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3호
    • /
    • pp.455-462
    • /
    • 2013
  • 연구는 낙엽송과 리기다소나무를 벌채한 후 소나무와 낙엽송을 식재한 조림지의 토양 특성 및 조림목 초기 생장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지는 낙엽송 벌채지인 영주와 리기다소나무 벌채지인 원주이며, 영주에는 2008년 4월 낙엽송(1-1묘)과 소나무(1-0묘), 원주에서는 2010년 4월 낙엽송(1-1묘)과 소나무(1-1묘)가 ha당 3,000본의 밀도로 식재되었다. 조림지의 토양 물리 및 화학적 특성과 매년 조림목의 근원경 및 묘고를 측정하여 상대생장량을 계산하였다. 토양 내 유기물, 전질소 및 유효인산 농도는 낙엽송 벌채지보다 리기다소나무 벌채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벌채 전 임분에 따른 소나무 조림목의 근원경 및 묘고 상대생장량은 차이가 없었지만, 소나무 조림목의 H/D율은 리기다소나무 벌채지(26)에서 낙엽송 벌채지(32)보다 낮아 더 균형 있는 생장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낙엽송 조림목의 근원경 상대생장량은 낙엽송 벌채지(16%)보다 리기다소나무 벌채지(66%)에서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리기다소나무 벌채지에서의 상대적으로 높은 토양 내 유기물, 전질소 및 유효인산 농도가 조림목 초기생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