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18초

울진 금강송재의 재질: 수지구 및 방사조직의 출현형태 (Property of Uljin-Geumgangsong Wood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Appearance Pattern of Resin Canal and Ray)

  • 김동우;황성욱;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78-87
    • /
    • 2014
  • 울진산 금강송재의 재질발현 수령의 판단기준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 et Zucc.)와 울진금강송(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대표목의 물리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울진금강송의 기건밀도는 소나무재보다 약 20% 이상 높았다. 또한 심재율은 70% 이상이었다. 단위면적($1mm^2$)당 수직수지구의 분포수는 0.3개로서 울진금강송이 소나무보다 약 40% 높았다. 수직수지구의 평균 직경은 소나무 $67.8{\mu}m$, 울진금강송 $67.3{\sim}69.9{\mu}m$로서 수종 간 큰 차이는 없었으며, 연륜수가 증가함에 따라 직경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수평수지구의 분포수는 울진금강송-1이 소나무와 울진금강송-2 보다 약 55%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소나무와 울진금강송-2의 수지구 분포수는 연륜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울진금강송-1은 연륜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방사조직 분포수는 수종 간의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동일 수종 내 조재와 만재 사이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연륜이 증가함에 따라 소나무와 울진금강송 모두 방사조직의 분포수가 감소하였다. 방사조직의 세포고는 소나무가 비교적 높았으며, 조재와 만재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결과, 울진금강송의 재질발현 기준 수령은 약 150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동물실험을 통한 솔잎(松葉) 유효성분의 항노화효과 구명 및 구조 해명 I. 간장의 세포막 유동성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솔잎 추출물의 영향 (Investigation of Anti-aging Effect and Determination of Chemical Structures of Pine Needle Extract (PNE) through the Animal Experiments I. Effects of PNE on Membrane Fluidity and Oxidative Stress in Liver of SD Rats)

  • 최진호;김대익;박수현;김동우;이종수;김현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73-480
    • /
    • 199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ne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needle extract (PNE) on membrane fluidity and oxidative stress in liver membranes of Sprague-Dawley (SD) rats as a study on investigation of anti-aging effect and determination of chemical structures of PNE through the animal experiments. Male SD rats were fed basic diets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diets (0.5% and 1.0%-PNE group) for 6 weeks. Administrations of 0.5% and 1.0%-PNE resulted in a marked decreases (15∼25% and 23∼26%, respectively) in cholesterol accumulations of liver mitochondria and microsome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Membrane fluid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15∼25%) in liver microsomes of 0.5% and 1.0%-PN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Formations of basal and induced oxygen radicals (BOR and IOR) in liver mitochondria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11∼12% and 10∼15%, respectively) by administrations of 0.5% and 1.0%-PN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Lipid peroxide (LPO) levels were remarkbly decreased about 20% in liver mitochondria and microsomes of 0.5% and 1.0%-PN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Oxidized protein levels calculated with carbony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bout 15% in liver mitochondria of 1.0%-PNE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PNE may play a effective role in a attenuating a oxidative stress and increasing a membrane fluidity.

  • PDF

동물실험을 통한 솔잎(松葉) 유효성분의 항노화효과 구명 및 구조 해명 I. 간장의 활성산소 및 제거효소에 미치는 솔잎 추출물의 영향 (Investigation of Anti-aging Effect and Determination of Chemical Structures of Pine Needle Extract (PNE) through the Animal Experiments I. Effects of PNE o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ymes in Liver of SD Rats)

  • 최진호;김대익;박수현;김동우;이종수;김현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66-472
    • /
    • 1999
  • These studies were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ne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needle extract (PNE) o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ymes in liver membranes of Sprague-Dawley (SD) rats as a study on investigation of anti-aging effect and determination of chemical structures of PNE through the animal experiments. Male SD rats were fed basic diets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diets (0.5% and 1.0%-PNE group) for 6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ydroxyl radical (·OH) formations of liver mitochondria and microsomes in 0.5%-PNE group, while ·OH formatio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10% and 18%, respectively) in liver mitochondria and microsomes of 1.0%-PNE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Microsomal hydrogen peroxides and cytosolic superoxide radicals were remarkably decreased (20% and 20∼25%, respectively) in 0.5% and 1.0%-PN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Mn-SOD activities in mitochondri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bout 10% in 1.0%-PNE group, while Mn-SOD activities in mocrosomes were remarkably increased (16∼20%) in 0.5% and 1.0%-PN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 Zn-SOD activities of liver cytosol in 0.5% and 1.0%-PNE groups, while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nd catalase (CAT)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28∼30% and 15∼30%, respectively) in liver cytosols of 0.5% and 1.0%-PN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PNE may play a effective role in a attenuating a oxygen radical formations and increasing a scavenger enzyme activities.

  • PDF

흰쥐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송엽 추출물(PNE)의 영향 II. 뇌세포막의 산소라디칼 및 제거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PNE의 투여효과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PNE) on Physiological Activity of SD Rats II. Feeding Effect of PNE o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tmes in Brain Membranes of SD Rats)

  • 최진호;김정화;김동우;김경석;이종수;백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1-96
    • /
    • 1998
  • Pine(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is one of rhe popular plant drugs which has been used as a medicine in Asia.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PNE) o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ymes in brain membranes of Sprague- Dawley (SD), make SD rats were fed basic diets(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diets (PNE group) with 0.5 and 1.0% of PNE 6 weeks. Mitochondrial hydroxyl radical levels in brain of 0.5%-PNE and 1.0%-PNE group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to 30% and 25%, respectively, and microsomal hydrogen peroxide levels in brain of 0.5%-PNE and 1.0%-PNE group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to 15%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ytosolic superoxide rdical levels in 1.0%-PNE group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to 20% compared with control group. Lipid peroxide(LPO) levels in brain mitochondria of 0.5%-PNE and 1.0%-PNE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25% and 35%) than that in control group. Mn-superoxide disumtase (SOD) activities in brain of 0.5%-PNE and 1.0%-PNE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18% and 12%) than those in control groups, but Cu,Zn-SOD activities in brain of 0.5%-PNE were significantly activated to 15% compared with control group. Glutathione peroxidase(GSHPx) activities in brain of 1.5%-PNE and 1.0% PNE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14% and 12%) than those in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e beneficial effects such as inhibition of oxygen radicals and lipid peroxide(LPO). and oncreases of scavenger enzymes in brain membranes of SD rats may be effectively modulated by administration of pine needle extract (PNE)

  • PDF

흰쥐(SD rats)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송엽(松葉) 추출물(PNE)의 영향 I. 혈청중의 지질 및 산소라디칼 대사에 미치는 PNE의 투여효과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PNE) on Physiological Activity of SD Rats I. Feeding Effect of PNE on Lipid and Oxygen Radical Metabolisms in Serum of SD rats)

  • 최진호;김동우;김정화;김경석;이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71-376
    • /
    • 1997
  • This study was edsigne to investgate the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PNE) on lipid adn oxygen radical metabolisms in serum of Sprague-Dawly (SD). Pine(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is one of the popular plant drugs which gas been used as a medicine in Asia. Male SD rats were fed basic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diets(RGE group) with 0.5 and 1.0% of PNE for 6 weeks. Body weights gain in 0.5-PNE and 1.0-PNE groups were slightly lower than that in control group, but ther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rtween these groups. Total energy intake, feed and gross efficiencies showed almost no change in these groups.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TG) levels in serumof SD rats in .50-PNE and 0.1-PNE froups sho9wed almost no change colpared with control group. Serum LDL-cholesterol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12%) in 0.5-PNE group, while serum HDL-cholesterol levels significantly increased(14%) in 1.0-PNE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Malondialdehyde (MDA) and lipid peroxide (LPO) levels in 50-PNE and 0.1-PNE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17 and 13%, 24% and 12%, respectively) than those in control group. Superoxide disumutase (SOD) activity in 50-PNE and 0.1-PNE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about 30 to 15%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re results suggest that lower LDL-cholesterol and LPO levels, higher HDL-cholsterol level, and higher SOD activity in serum of rats may be effectively modulated by administration of pine needle extract(PNE).

  • PDF

간장 세포막의 유동성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에틸아세테이트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Ethyl Acetate Fraction on Membrane Fluidity and Oxidative Stress in Liver Membranes of Rats)

  • 최진호;김대익;백승진;박시향;김남주;최민경;조원기;김창목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84-691
    • /
    • 2003
  • 솔잎 EtOAc획분을 하루 25, 50, 100 mg/kg체중으로서 SD계 랫트에 45일동안 투여하여 간장획분의 세포막 유동성(membrane fluidity MF), 기초 및 유도활성산소(BOR 및 IOR), 산화적 스트레스로서 과산화지질(lipid peroxide : LPO) 및 산화단백질(oxidized protein : OP), 그리고 리포푸신(lipofuscin : LF)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보았다. 솔잎 EtOAc획분의 투여에 의하여 간장의 mitochondria 및 microsome획분에서 어느 정도 MF가 증가하였지만, 유의성은 EtOAc-100 투여그룹의 mitochondria획분에서만 인정되었다. 기초 및 유도활성산소로서 BOR 및 IOR의 생성 억제효과는 간장의 두 획분의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유의적인 활성산소의 생성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mitochondria획 분에서 는 EtOAc-100투여그룹에서, 그리고 microsome획분에서는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유의적인 LPO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mitochondria 획분에서는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유의적인 OP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지만, microsome 획분에서는 아무런 유의성도 인정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간장의 클로로포름층에서 측정한 LF의 축적은 EtOAc-25, EtOAc-50 및 EtOAc-100 투여그룹에서 다같이 유의적인 LF의 축적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평가하여 볼 때 솔잎 EtOAc획분의 투여는 간장의 유동성을 촉진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뇌 세포막의 유동성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에틸아세테이트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Ethyl Acetate Fraction on Membrane Fluidity and Oxidative Stress in Brain Membranes of Rats)

  • 최진호;김대익;배승진;박시향;김남주;조원기;김군자;김창목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92-698
    • /
    • 2003
  • 뇌 세포막 유동성의 촉진 및 LPO생성의 억제효과는 중풍 등 뇌혈관질환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관성치매의 예방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26,18]. 따라서 솔잎 EtOAc획분을 하루 25, 50, 100 mg/kg BW로써 SD계 랫트에 45일동안 투여하여 뇌조직중의 세포막 유동성 (membrane fluidity : MF), 기초 및 유도활성산소(BOR 및 IOR), 산화적 스트레스로서 과산화지질(lipid peroxide : LPO) 및 산화단백질(oxidized protein : OP), 그리고 리포푸신(lipofuscin : LF)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보았다. 솔잎 EtOAc획분의 투여에 의하여 뇌조직의 mitochondria 및 microsome획분에서 용량의존적으로 MF가 증가효과가 나타났지만, EtOAc-100 투여그룹의 mitochondria 획분에서만 약 10%의 유의적인 MF의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뇌조직의 mitochondria에서 기초 및 유도활성산소로서 BOR 및 IOR의 생성은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각각 9.2∼10.2% 및 17.1∼24.0%의 유의적인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microsomes에서 BOR 및 IOR의 생성은 EtOAc-50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각각 11.6∼16.6% 및 12.1∼16.1%의 유의적인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mitochondria 및 microsomes획분에서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각각 8.5∼12.0% 및 11.6∼18.5%의 유의적인 LPO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지만, 뇌조직의 두 획분에서 OP의 생성은 EtOAc획분의 용량의존적으로 억제되었지만,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다. 또한 뇌조직에서 LF의 축적도 EtOAc획분의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효과가 나타났지만,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평가하여 볼 때 솔잎 EtOAc획분의 투여는 뇌조직의 유동성을 촉진하고 LPO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지만, 현재의 투여농도에서는 OP 및 LF의 생성을 방지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유용식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Domestic Plants)

  • 이성규;이은;최무영;임태진;박희준;차배천
    • 생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20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domestic plants grown in the area of Kangwon-do province. Through the examina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15 plants for radical scavenging effects using DPPH method, the extracts from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And Euphorbia humifusa Willd. Showed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Because of its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among 15 domestic plants,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four different extract compartments from leaves of P.densiflora, n-Hexane, EtOAc, BuOH and $H_2O$ extracts. Were examined by DPPH metho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OAc and BuOH extracts were similar or even higher than that of natural (tocopherol) or synthetic antioBfdants (BHA) , suggesting that major fraction for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P. densiflora was the EtOAc and BuOH extract compartments.

  • PDF

알루미늄 농도(濃度)에 따른 소나무 묘목(苗木)의 생장(生長), 영양상태(營養狀態) 및 광합성속도(光合成速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Growth, Nutrient Status and Net Photosynthetic Rate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 Various Levels of Aluminum Concentrations)

  • 이충화;진현오;이주타 다케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249-254
    • /
    • 1999
  • 여러 가지 Al농도가 소나무 묘목의 생장, 영양상태 및 광합성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수경재배법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배양액의 Al농도는 0(대조구), 10, 30 및 60ppm의 4처리구로서 1/5000a 포트에 배양액의 pH를 4.0으로 조절한 후,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2년생 묘목을 배양액에 이식하여 1996년 5월 8일부터 8월 6일까지 90일 동안 온실에서 생육시켰다. 소나무 묘목은 10ppm 이상의 처리구에서 건물생장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소나무 묘목의 상대생장율(RGR) 및 순동화율(NAR)은 배양액의 Al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l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순광합성속도도 저하되었다. 이는 Al처리에 의한 소나무 묘목의 RGR 및 NAR저하는 광합성저해가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60ppm 처리구에서 잎의 Ca 및 Mg농도는 대조구 및 10ppm 처리구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식물체 각 기관의 Al농도는 10ppm 이상의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이것은 지하부에 축적된 Al에 의해서 뿌리의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양분흡수 능력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지상부의 Ca 및 Mg와 같은 식물생육 필수원소의 농도가 감소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방사성 추적자에 의한 솔잎혹파리 방제용 살충제 phosphamidon의 소나무 수간이동 구명 : I. 소나무 품종 및 계절별 이행 (Elucidation of the translocation of phosphamidon used for the control of pine leaf gall midges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n the trunks of pine trees by means of a radiotracer. Part 1. Translocation as affected by pine tree species and the treated season)

  • 이재구;이형래;경기성;변병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463-468
    • /
    • 1993
  •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방제용으로 소나무의 수간에 주입된 침투성 살충제 phosphamidon(2-chloro-2-diethylcarbamoyl-1-methylvinyl dimethyl phosphate)의 이행 및 분포를 구명하기 위하여 $[vinyl,\;carbonyl-^{14}C]phosphamidon$을 약 10년생의 적송과 해송에 각각 수간주사하였다. 이 약제의 최고이행속도는 적송(Pinus densiflora Sieb. et Zucc.)과 해송(Pinus thunbergii Parl.)에서 각각 약 10 cm/hr(7월)와 2 cm/hr(12월)이었다. 처리된 방사능은 하계의 적송에서는 75일까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동계의 해송에서는 150일까지 유지하였다. 본 약제가 살충가능한 농도로 top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적송(7월)에서는 3일 이내인 반면 해송(12월)에서는 15일 이내이었으며, 그 이행정도는 약제처리시기 및 수종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솔잎에 잔류하는 phosphamidon과 그 대사산물은 methanol로 잘 추출되었으며, 솔잎시료의 methanol 추출액을 autoradiography한 결과 phosphamidon은 소나무내에서 신속히 분해되어 7일 내에 약 80% 정도가 분해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