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densiflora FORESTS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569초

1910년 한반도 산림의 이해: 조선임야분포도의 수치화를 중심으로 (Understanding Forest Status of the Korean Peninsula in 1910: A Focus on Digitization of Joseonimyabunpodo (The Korean Peninsula Forest Distribution Map))

  • 배재수;김은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3호
    • /
    • pp.418-428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1910년에 제작된 조선임야분포도의 산림정보를 해석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조선임야분포도 제작의 바탕이 되는 임적조사의 배경, 추진과정, 결과와 그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종이 도면으로 남아 있는 조선임야분포도의 정보를 수치화하여 산림상태, 임상 면적 정보를 생산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10년 한반도를 현재의 남한과 북한 지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할 경우, 북한지역이 성림지의 73%가 분포할 정도로 남한지역보다 좋은 산림을 보유하고 있었다. 당시 남한지역은 치수발생지와 무립목지가 전체 산림의 8할을 차지할 정도로 황폐화된 산림이 많았다. 현재 백두산과 혜산이 포함된 양강도 산림의 8할이 성림지로 구성되어 있을 정도로 우량한 산림을 보유하고 있었다. 소나무는 남한지역이 북한지역보다 약 2.7배 많이 분포하였다. 소나무 이외의 침엽수는 대부분 북한지역에 분포하였다. 특히 남한지역 임야의 53%, 입목지 면적의 72%가 소나무로 구성되어 있었다.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의한 소나무림 임지생산력 추정 (Estimation of Site Productivity of Pinus densiflora by th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 박남창;이광수;정수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60-166
    • /
    • 2009
  • We estimated site productivity for unstocked lan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te index (i.e., average height of dominant trees at fixed age)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inus densiflora stands. Site index relates to a direct method of determining a tree's response to a specific environment such as forest soil and climate conditions. We selected 78 sites in 22 P. densiflora stands of central temperate forest zone, and sampled soils for physicochemical analyzing. And 13 properties of soils were statistically treated by stepwise regression. In the degree of contribution of the variables to site index, the highly effective variables in A horizon were OM, clay content, sand content, available $P_2O_5$, and Exch. $Ca^{{+}{+}}$ inorder, and in B horizon T.N., O.M., Soil pH, cation exchange capacity(C.E.C.), and sand content in order. In both A and B horizon of the soil for P. densiflora stands, the variables commonly contributed to the site index were sand content and OM. These results may be useful to provide not only important criteria for establishment of Pinus densiflora stand sespecially in unstocked land but also aguidance for reforestation.

수락산의 딕티오형 세포성 점균 (Dictyostelid Cellular Slime Molds in Mt. Surak)

  • 심규철;장남기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2호
    • /
    • pp.157-161
    • /
    • 1998
  • Five dictyostelid cellualr slime molds were found in forest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in Mt. Surak, uijeongbu, Kyunggi-do, South Korea. isolates were Polysphondylium pallidum, Dictystelium firibasis, D. crassicaule, P. tennuissimum and D. valenstemmum. Dominant soecies was P. pallidum. This species had occurred widely in South Korea as well as in the world. Especially, new dictyostelid, D. valenstemmum shim et Chang, was found in the fermentation layer of P. densiflora and Q. mongolica mixed-forest soils. D. firmibasis had not been described until now and found in the mountain forests.

  • PDF

우리나라 소나무림의 토양호흡 특성: 점봉산, 남산, 지리산 사례 연구 (2009~2010) (Soil Respiration Characteristics in Pinus densiflora Forests in Republic of Korea: A Case of Mt. Jeombongsan, Mt. Namsan, and Mt. Jirisan (2009~2010))

  • 이재호;유영주;이상훈;신만석;이재석
    • 생태와환경
    • /
    • 제56권4호
    • /
    • pp.440-448
    • /
    • 2023
  • This study measured soil respiration in pine forests dominated by Pinus densiflora in Mt. Jeombong, Mt. Namsan, Mt. Jirisan in Republic of Korea from 2009 to 2010. The seasonal variations, along with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content, were measur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t each site. Soil respiration was highest in summer and autumn, closely influenced by the increase in soil temperature. Throughout the measurement period, soil respiration ranged from 205.6 to 312.2 mg CO2 m-2 h-1, with Mt. Namsan showing the highest values and Mt. Jirisan the lowest. A strong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soil respiration and soil temperature, with Q10 values ranging from 2.5 to 3.0. Precipitation significantly affected soil moisture content, and although it appeared to influence soil respiration,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Litter Production and Nutrient Contents of Litterfall in Oak and Pine Forests at Mt. Worak National Park

  • Mun, Hyeong-Tae;Kim, Song-Ja;Shin, Chang-Hw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1호
    • /
    • pp.63-68
    • /
    • 2007
  • Litter production, nutrient contents of each component of litterfall and amount of nutrients returned to forest floor via litterfall were investigated from May 2005 through April 2006 in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forests at Mt. Worak National Park. Total amount of litterfall during one year in Q. mongolica,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forests was 542.7, 459.2 and $306.9\;g\;m^{-2}\;yr^{-1}$, respectively. Of the total litterfall, leaf litter, branch and bark, reproductive organ and the others occupied 50.3%, 22.7%, 10.1 % and 16.9% in Q. mongolica forest, 81.9%, 7.2%, 3.1% and 7.9% in Q. variabilis forest, 57.4%, 12.8%, 5.6% and 24.1 % in P. densiflora forest, respectively. Nutrients concentrations in oak litterfall were higher than those in needle litter. N, P, K, Ca and Mg concentration in leaf litterfall were 13.8, 1.1, 7.2, 4.2 and 1.3 mg/g for Q. mongolica forest, 10.5, 0.7, 3.2, 3.7 and 1.6 mg/g for Q. variabilis forest, 5.3, 0.4, 1.2, 2.8 and 0.6mg/g for P. densiflora forest, respectively. The amount of annual input of N, P, K, Ca and Mg to the forest floor via litterfall was 43.36, 2.89, 21.38, 23.31 and $5.62\;kg\;ha^{-1}\;yr^{-1}$ for Q. mongolica forest, 32.28, 2.01, 10.23, 20.29 and $7.78\;kg\;ha^{-1}\;yr^{-1}$ for Q. variabilis forest, 15.80, 1.04, 3.99, 9.70 and $2.10\;kg\;ha^{-1}\;yr^{-1}$ for P. densiflora forest, respectively.

인왕산 소나무림의 경관변화와 문화경관림 복원방안 연구 (A study on Restoration Plan of Cultural Forest and Change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Inwangsan(Mt.), Seoul)

  • 조준수;이경재;한봉호;기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19-232
    • /
    • 2012
  • 본 연구는 인왕산의 과거 기록자료 및 문화경관지역에 나타난 소나무림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여 소나무림 경관복원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왕산의 과거 소나무림은 정선, 장시흥, 강희언의 산수화에서 잘 표현되어 있는데, 주로 동사면 능선부의 암반 주변을 표현하고 있었다. 인왕산 사진자료는 1800년대 말부터 기록되어 있는데 소나무림은 주로 서측 사면 저지대와 능선부에 분포하고 있었다. 인왕산의 문화유적 주변과 암반 주변 경관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소나무림이 우점하고 있었다. 인왕산의 과거 소나무림 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현존식생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을 유지하고 있는 지역은 51.87%, 인공림 변화한 지역이 25.80%이었다. 산림 저지대 소나무림은 대부분 시가화지역(10.16%)으로 변화되었다. 인왕산 소나무림 경관 복원을 위한 관리유형구분은 보전관리, 소나무복원관리, 유지관리로 설정하였다. 보전관리는 소나무림 분포지와 암반 분포지역으로 설정하였고 소나무 복원관리는 능선부의 자생종 낙엽활엽수 분포지, 외래종 식생 분포지와 산림 내 훼손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유지관리지역은 인왕산 저지대 시가화지역과 인왕산 정상부의 군부대 입지지역으로 설정하였다.

북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과 잠재자연식생 (Actual Vegetation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Pukhansan National Park, Mid-western Korea)

  • 이은복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6호
    • /
    • pp.439-450
    • /
    • 1997
  • The potential natural vegtation of the Pukhansan National Park area, mid-western Korea, was inferred from the actual vegetation. With the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and field surveys, the actual vegetation map of the park area was made on a scale of 1:25, 000, including fourteen communities. By the analyses of the species diversity, the age structure, the human interferences and various informations on vegetation changes, two pathways of late stage succession from Pinus densiflora forests to the climatic climax were suggested. One is from Quercus serrata forests to Q. mongolica forests throughout the mountain and the other, from Q. variabilis or Q. acutissima forests to Carpinus laxiflora forests in lower parts. Considering the vegetation changes,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the park area mainly composed of Q. mongolica, C. laxiflora, P. densiflora and Zelkova serrata forest as the climatic and/or edaphic climax was inferred.

  • PDF

조선왕릉 선릉·정릉의 역사문화경관림 실태와 관리 방안 (An Actual Condition and Management Plan of Historical Cultural Forest in Joseon Royal Tombs Seolleung and Jeongneung)

  • 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3-21
    • /
    • 2019
  • 본 연구는 조선왕릉 선릉·정릉 역사문화경관림의 실태를 파악하고 체계적인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문화경관림 현황의 경우 식생은 갈참나무와 소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갈참나무군락 21.22%, 소나무군락 21.22%, 소나무 식재림 3.69%로 분포하고 있다. 주요 식생 군락은 소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 소나무식재림, 잣나무식재림 등이다. 둘째, 8개 자연림 방형구에서 흉고직경을 측정한 결과 주요 수종은 소나무, 갈참나무, 오리나무였으며, 흉고직경의 최고 분포범위는 소나무 20-25cm, 갈참나무 25-30cm, 오리나무 25-30cm로 나타났다. 셋째, 선릉에는 능의 형식에 맞지 않게 왕릉과 왕비릉 사이에 숲이 조성되어 있으며 정릉에는 능역이 좁아 소나무림이 조성되기에 불리한 환경을 보이고 있으며, 제향공간 좌우의 소나무림이 높이차가 심해 시각적 경관을 저해하고 있다. 넷째, 역사문화경관림의 관리방안으로 외래종인 스트로브잣나무를 제거하고 능선을 따라 소나무림을 조성한다. 선릉의 왕릉과 왕비릉 사이의 숲 제거 후 잔디밭을 조성하고, 정릉 좌우의 소나무림 높이를 조정하고 곡장 가까이에 있는 소나무들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한다. 시각적으로 이질감을 보이는 수목들은 과감하게 정리하고, 경계부는 주변의 낙엽활엽수와 조화되도록 조정하고 10m내외의 완충공간을 유지한다. 본 연구는 역사적 상황이 유사한 조선왕릉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에는 개별 조선왕릉 역사문화경관림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ference Analysis for Optimum Density and Understory Vegetation Management in Healing Forests

  • Kang, Jeong Seok;Ju, Jeong Deok;Shin, Chang Seob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81-48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manage healing forests. Field investigation and surveys were conducted to produce results and 313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workers in the forestry sector and ordinary people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t is required to preserve flowering plants, scenic trees, and ecological trees in the understory vegetation, and to remove trees that block the forest landscape, leaving about 50 to 60 percent of the understory vegetation. The preferred density order of broadleaf trees was analyzed as follows: Betula platyphylla > Liriodendron tulipifera > Quercus acutissima. The preferred density order of coniferous trees was analyzed as follows: Abies holophylla > Cryptomerias japonica and Chameacyparis obtusa > Larix kaempferi > Pinus densiflora > Pinus koraiensis. The preferred density in healing forests was 81-89% compared to the number of residual trees for quantitative thinning. Specifically, the preferred density were 87% for P. koraiensis, 86% for L. kaempferi, 81% for P. densiflora, 83% for C. japonica, 84% for C. obtusa and 89% for Q. acutissima. In the case of healing forests, it is recommended to periodically conduct a small-scale thinning with different densities according to the species and diameter of tre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침염수 조림지에서의 잔존임분밀도에 따른 임목생장 비교에 관한 연구 (The Comparison of Tree Growth by the Residual Stand Density in Artificial Coniferous Forests)

  • 강성기;김완수;이원섭;김지홍
    • 임산에너지
    • /
    • 제20권2호
    • /
    • pp.46-57
    • /
    • 2001
  • 이 연구는 강송, 리기다소나무, 낙엽송 인공조림지를 대상으로 간벌 시업후 잔존임분밀도에 따른 임목생장 비교를 퉁해 침엽수 인공림을 적절히 관리하기 위한 보육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잔존임분밀도별 임목의 직경생장은 강송림과 리기다소나무림, 낙엽송림 (가), (나)소반의 경우, 임분밀도가 감소할수록 직경생장이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잔존임분밀도에 따른 임목의 생장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잔존임분밀도별 임목의 수고생장 양상에서는 처리구별로 수고생장이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간벌의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입지조건과 같은 환경요소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각 임분밀도 조절 처리구별로 평균에 해당되는 직경급의 목편을 추출하여 최근 6개년간의 직경생장량을 실측한 결과는 전구간에서 직경급이 클수록, 잔존임분밀도가 낮을수록 직경생장량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