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Koraiensis

검색결과 686건 처리시간 0.028초

침엽수종 유래 정유가 진통 및 순환기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ssential Oils from Softwood on Pain and Cardiovascular System)

  • 나기정;정의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3-256
    • /
    • 1999
  • The influence of essential oils from aboriginal softwoods as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Chamaecyparis obtusa and Chamaecyparis pisifera on the motor coordination, pulse, mean blood artery pressure and pain reducing test was investigated in mice and rats. The motor coordination of mouse was not induced by the inhalation of each oil. Furthermore, these oils did not alter the changes of the mean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Chamaecyparis pisifera trand to reduce the mean blood pressure. The abdominal pain induced by acetic acid was reduced only by an essential oil from Pinus koraiensis in mouse.

  • PDF

반월공단지역의 잣나무 및 리기다소나무의 생장과 광합성 특성 (Growth and Photosynthetic Rate of Pinus koraiensis and Pinus rigida in Banwol Industrial Region)

  • 이충화;최동수;이승우;김은영;진현오;정진현;이천용;오정수
    • 임산에너지
    • /
    • 제23권1호
    • /
    • pp.19-2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산림쇠퇴 징후가 나타나고 있는 반월공단지역에 식재되어 있는 잣나무와 리기다소나무의 생장저하 실태와 광합성 특성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안산시 전망대공원에 피해구를, 경기도 광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경희대학교 연습림에 대조구를 선정하여 인공식재된 약 10년생의 잣나무와 리기다소나무 2수종을 비교하였다. 잣나무 및 리기다소나무 2수종 모두 피해구에서 생장량이 감소하였으며, 침엽의 잔존율도 저하하였다. 또한 2수종 모두 피해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순광합성속도가 저하하였고, 광-광합성곡선의 초기기울기인 양자수율도 저하하였다. 클로로필 a+b, b의 함량도 피해구에서 감소하였으며, 이 결과는 침엽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서 집광운반능력이 낮아져 침엽의 잔존율이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최근 대기오염이 심한 반월공단지역에서 생육하고 있는 잣나무 및 리기다소나무의 생장감소 원인은 침엽의 클로로필 함량이 광화학계의 활성을 저하시켜 광합성 능력이 감소되어 최종적으로 생장감소를 초래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수목(樹木)의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한 생리(生理)·생태학적(生態學的) 해석(解析)(II) - P-V 곡선(曲線)에 의한 잣나무와 젓나무 지엽(枝葉)의 수분특성(水分特性) 인자(因子)의 계절변화(季節变化) - (Ecophysiological Interpretations on the Water Relations Parameters of Trees(II) - Seasonal Changes in Tissue-Water Relations Parameters Obtained from P-V Curves on the Pinus koraiensis and Abies holophylla Shoots -)

  • 한상섭;최흥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8-14
    • /
    • 1983
  • 수목(樹木)에 있어서 내건성(耐乾性)의 크기를 진단(診斷)하기 위하여 P-V 곡선법(曲線法)에 의해 얻은 잣나무와 젓나무지엽(枝葉)(shoot)의 내적(內的) 수분특성인자(水分特性因子) ${\pi}_o$, ${\pi}_p$, $E_{max}$, $N_s/DW$, $V_o/W_s$, $RWC_{(tlp)}$ 등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측정고찰(測定考察)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잣나무지엽(枝葉)의 최대포수시(最大飽水時)의 침투압(浸透壓) ${\pi}_o$는 -1.2~-1.6 MPa, 젓나무지엽(枝葉)의 ${\pi}_p$는 -1.4~-1.7 MPa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2) 초기원형질분리점(初期原形質分離點)에 있어서 잣나무지엽(枝葉)의 침투압(浸透壓) ${\pi}_p$는 -1.8~-2.1MPa, 젓나무지엽(枝葉)의 ${\pi}_p$는 -1.6~-2.1MPa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3) 초기원형질분리점(初期原形質分離點)에 있어서 잣나무지엽(枝葉)의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 $RWC_{(tlp)}$는 70~77%, 젓나무지엽(枝葉)의 $RWC_{(tlp)}$는 69~85%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4) 최대팽창시(最大膨壓時)의 잣나무지엽세포군(枝葉細胞群)의 탄성계수(彈性係數) $E_{max}$는 2.2~6.3 MPa, 젓나무의 $E_{max}$는 3.1~7.9 MPa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5) 잣나무지엽(枝葉)의 건물중(乾物重)에 대한 osmol 수(數) $N_5/DW$는 0.5~1.3, 젓나무지엽(枝葉)의 경우는 0.3~1.0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6) 잣나무지엽(枝葉)의 총함수량(總含水量)(symplasmic과 apoplastic water의 합계(合計))에 대한 총침투수량(總浸透水量) $V_o/W_s$는 55~65%, 젓나무지엽(枝葉)의 $V_o/W_s$는 40~65%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이상(以上)의 ${\pi}_o$, ${\pi}_p$, $E_{max}$, $N_s/DW$, $V_o/W_s$, $RWC_{(tlp)}$값의 특성(特性)을 고찰(考察)할 때 젓나무지엽(枝葉)이 잣나무지엽(枝葉)보다 내건성(耐乾性)이 약간 강한 수종(樹種)임을 알았다.

  • PDF

중부지방(中部地方) 주요침엽수(主要針葉樹)의 직경성장(直徑成長) 추정(推定)에 관(關)한 연구(研究) (A Study on the Diameter Increment of Major Conifers in Middle Area of Korea)

  • 정성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8권1호
    • /
    • pp.52-59
    • /
    • 1985
  • 본(本) 연구(硏究)는 우리나라 중부(中部) 내륙지방(內陸地方)에 분포(分布)하고 있는 주요(主要) 침엽수(針葉樹)인 금강소나무,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젓나무, 구상나무에 대(對)하여 직경성장량(直經成長量)을 추정비교(推定比較)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흉고직경급(胸高直徑級)에 따른 연년직경성장량(連年直徑成長量)은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금강소나무, 젓나무, 구상나무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2) 직경성장(直徑成長)은 흉고직경(胸高直徑)이 금강소나무 95cm, 잣나무 80cm, 일본잎갈나무 80cm, 젓나무 140cm, 구상나무 85cm에 도달(到達)하면 정지(停止)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3) 수령급(樹齡級)에 따른 흉고직경(胸高直徑) 총성장량(總成長量)은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금강소나무, 젓나무, 구상나무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4) 직경성장(直徑成長)은 수령(樹齡)이 금강소나무 200년(年), 잣나무 120년(年), 일본잎갈나무 120년(年), 젓나무 260년(年), 구상나무 300년(年)에 도달(到達)하면 정지(停止)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5) 구상나무는 타수종(他樹種)에 비(比)하여 직경성장(直徑成長)이 현저(顯著)히 저조(低調)하였으며 특(特)히 젓나무와 구상나무는 성장(成長)의 둔화현상(鈍化現象)이 늦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黔丹山 森林植生의 植物社會學的 硏究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in Mt. Komdan)

  • Lee, Ho-Joon;Ha-Song Kim;Eun-Bu C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3호
    • /
    • pp.273-303
    • /
    • 1991
  •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forest vegetation was carried out in mt. komdan in the period from October 7,1985 to October 15 1989. The forst vegetation could be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 quercus monbolica,pinus densiflora, quercus dentata,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tsis, pinus rigida,castanea creaneta. The principal forest community in mt. komdan-the quercus mongulica 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at the altitude of 400~600m and the importance value was 187.1. The pinus desiflora community was 137.9. since pinus koraiensis, larix laptolepsis,pinus rigida, castanea creanata, etc. werw planted in this region, It seems that it was frequently disturbed by human interference,especilly, the destruction of the vegetation in the recreation ground of paldang, the regions around the village of hasangok-ri and the main routes for mountain climbing appeared severely.

  • PDF

잣나무 엽록체 Simple Sequence Repeat 표지자 개발 및 특성 분석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Chloroplast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in Pinus koraiensis)

  • 이제완;백승훈;홍경낙;홍용표;이석우;안지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549-55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엽록체 DNA의 전체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엽록체 SSR(chloroplast simple sequence repeat)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primer를 개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잣나무 엽록체 DNA에서 총 30개의 SSR 영역을 탐색하였으며, 이들 영역을 증폭하기 위한 30개의 primer를 제작하였다. 모든 primer가 잣나무를 대상으로 PCR 증폭이 가능하였다. 근연종에 대한 primer의 종간 전환률은 잣나무와 동일한 아속(Subgenus Strobus)에 속하는 눈잣나무(100%)와 섬잣나무(97%)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소나무아속(Subgenus Pinus)에 속하는 소나무와 구주소나무에서의 종간 전환률은 73%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점봉산 잣나무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3개의 유전자좌에서 다형성이 관찰되었으며, 평균 haploid 다양도(H)는 0.512로 계산되었다. 다형적 유전자좌로부터 조합된 haplotype의 수(N)는 25개로 확인되었고, haplotype 다양도($H_e$)는 0.992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집단내 독특하게 관찰되는 haplotype은 22개(88%)로 전체 28개체 중에서 22개체(79%)를 식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cpSSR primer는 높은 종간 전환률을 나타냄에 따라 소나무속의 근연종, 특히 잣나무아속 수종에 활용 가능성이 높고, 잣나무 유전변이 분석을 위한 충분한 다형성을 제공하는 유용한 표지자로 판단된다.

Tree Height Estimation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in Korea with the Use of UAV-Acquired Imagery

  • Talkasen, Lynn J.;Kim, Myeong Jun;Kim, Dong Hyeon;Kim, Dong Geun;Lee, Kawn He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187-196
    • /
    • 2017
  • The use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for the estimation of tree height is gaining recognition.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ree height estimation of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and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using digital surface model (DSM) generated from UAV-acquired imageries. Images were taken with the $Trimble^{(R)}$ UX5 equipped with Sony ${\alpha}5100$. The generated DSM, together with the digital elevation model (DEM) generated from a digital map of the study areas, were used in the estimation of tree height. Field measuremen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generate a regression model and carry out accuracy assessment. The obtained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2)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for P. densiflora (R2=0.71; RMSE=1.00 m) and P. koraiensis (R2=0.64; RMSE=0.85 m) are comparable to the results of similar studies. The results of the paired two-tailed t-test show that the two tree height estimation method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value=0.04 and 0.10, alpha level=0.01), which means that tree height estimation using UAV imagery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field measurement.

Leukotriene D4 Antagonistic Activity of a Stilbene Derivative Isolated from the Bark of Pinus Koraiensis

  • Song, Hong Keun;Jung, Jihyun;Park, Kwan Ha;Lim, Yoongho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4호
    • /
    • pp.199-201
    • /
    • 2001
  • A phenolic substance was isolated from the bark of Pinus koraiensis. It was identified to be pinostilbenoside. Its anti-$LTD_4$ activity was evaluated using isolated guinea pig trachea, and its half maximal bronchodilating activity ($EC_{50}$) was $593{\pm}56{\mu}g{\cdot}ml^{-1}$. Because it is not known that stilbene derivatives possess anti-asthmatic activity through $LTD_4$ antagonism, here we report the result.

  • PDF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of Pinus koraiensis Seed Against Pathogens Related to Acne

  • Choi, Jae-Wan;Kim, Ran
    • KSBB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179-182
    • /
    • 2014
  •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Pinus koraiensis seed against pathogens related to acne. The essential oil was extracted by steam distillation method.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essential oil were analyzed by GC-MS. Alpha-pinene (29.87%), D-limonene (19.26%), betapinene (11.19%), beta-myrcene (3.84%), n-hexadecanoi acid (3.2%), beta-caryphyllene (2.72%), and cyclohexene (2.17%) were main components. This essential oil ha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Malasseizia furfur, Propionibacterium acne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timation of Site Index for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in Gangwo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s

  • Lee, Daesung;Seo, Yeongwan;Park, Gildong;Choi, Jungke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3호
    • /
    • pp.202-206
    • /
    • 2015
  • Site index curves were developed for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in Gangwo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s in Korea. For the development of site index, Schumacher and Chapman-Richards model were appli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2012 to 2014. Base age was set to 40 years for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in site index of this study.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nd root mean square error of site index models were provided by species, and the models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to check the suitability. Overall, site index models developed in this study fitted in the current data well. Thus, the site indexes are considered to be properly used in Gangwo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