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mushroom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3초

고 조리서에 수록된 만두의 종류와 조리법에 관한 고찰 -160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발간된 고 조리서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Types of Mandoo and Its Cooking Methods in the Old Cooking Books - Focused on the Old Cooking Books issued in 1600 to 1950 -)

  • 김기숙;이미정;한복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16
    • /
    • 1999
  • Motivated by a need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standard recipes for Korean traditional food, Mandoo, this paper explores a historic research about the development of Mandoo classified by Mandoo-crust, Mandoo-filling, spice & condiment, garnish, size & shape and unit for measuring ingredients. The data for this study are obtained from the major old cooking books published in the period 1670-1957, such as ${\ulcorner}Eumsikdimibang{\lrcorner},$ ${\ulcorner}Leejogoongjoungyoritonggo{\lrcorner},$ and so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1) starch, buckwheat flour and flour were used as Mandoo-crust and egg was added in order to improve cohesion, (2) cooked pheasant and beef were used as Mandoo-filling, (3) ginger had been used more generally than garlic as spice & condiment and later red pepper powder was added and pine nut was also widly used, (4) pan-fried meat, egg, and mushroom were used as garnish, (5) Mandoo of different kinds existed and had various sizes and shapes, (6) unit for measuring ingredients began to appear on printing in 1939. These findings provide us with opportunity, which leads to making the standard recipes for Mandoo so that anyone can easily have resources for cooking the traditional food, Mandoo.

  • PDF

한.일 양국 초등학교 아동과 학부모의 학교급식에 관한 의식 및 아동의 식품기호도 비교연구 (The conciousness of prim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about school food service and food preference of children in Korea and Japan)

  • 유영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21
    • /
    • 1996
  • To find out the reference data of the school food service system, I serveyed four primary schools in Seoul, Korea and Nara, Japan respectively. The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of whom arbitrary selected two classes among each primary school, were taken the questionaire about the present school food service system and their favorate fo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74.8% of Korean and Japanese children, and 92.5% of their parents were in favor of school food service. 2) Korean childrin wanted more amount of food and less salty taste. 3) Korean and Japanese children and their parents believed that the school food service system correct children's unbalanced diet. 4) Korean children wished more kinds of foods, western-styled cooking and that the food would be served in warm state. 5) Korean parents wanted that school food service system should be natural and better quality food material, and teacher should educate good eating habit. 6) Korean school children prefer yogurt, cuttle-fish, chicken, bean-curd, tomato, orange, dried laver, sweet potato, pine-mushroom in each food group. In conclusion, school food service system should be enough to meet children's good nutrition status, and the menu would be selected with consideration of children's preference and Korean traditional diet habit. Good table manner and eating all kinds of foods should be targht by school food service system as well as preparing good quality of food.

  • PDF

소나무림에서 간벌률이 산림 내 환경과 외생균근성 버섯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inning ratio on the forest environment and fruiting of ectomycorrhizal mushrooms in a Pinus densiflora stand)

  • 박용우;김진건;이화용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2-32
    • /
    • 2023
  • 간벌률이 산림 내에서 환경 요인과 외생균근성 버섯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4%, 45%, 60%의 간벌 처리 후 10년이 지난 소나무림에서 수관 울폐율, 수관 통과우량, 토양 온도, 토양 수분량, 하층 식생의 광반응과 외생균근성 버섯 발생 특징을 조사하였다. 수관 울폐율은 4월에 34% 처리구와 대조구가 80~85%로 유의적으로 높았고 11월에는 모든 간벌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5~10%가량 낮아졌다. 60% 처리구의 수관통과우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총 200 mm이상 많았으며 월별 수관통과 우량은 10월에 100 mm 이상 큰 차이가 나타났다. 각 처리구의 토양 온도는 60% 처리가 45% 처리에 비하여 0.3~0.5℃ 정도 높아 큰 차이는 없었으나 대조구와는 1℃이상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간벌 처리구에서 강우 시 토양 수분량이 5% 이상 더 증가하며 34% 처리구에서는 수분 감소 속도도 느려졌다. 소나무를 제외한 주요 수종의 광합성량은 신갈나무가 7 µmolCO2·m-2·s-1로 가장 많았다. 800 µmol·m-2·s-1의 동일한 광도에서 신갈나무는 45% 처리구에서 6±0.3 µmolCO2·m-2·s-1로 가장 높은 광합성 수준을 보여주었으며 때죽나무와 쇠물푸레는 간벌률이 높을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였다. 균근성 버섯의 SWI에서 종수는 각 처리구간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버섯의 발생량은 34%와 45%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360~840 g 더 많이 발생하였고 60%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860 g 더 적은 양이 발생하였다. 특정 종에 따라 애광대버섯은 대조구가 간벌 처리구에 비하여 더 많은 개체수가 발생하였으나 황소비단그물버섯은 34% 간벌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10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소나무림에서 간벌률에 따른 수관 울폐율의 감소는 산림 내에 광량과 수관통과우량을 증가시키며 토양 온도 상승 및 토양 수분량의 증가와 하층 식생의 광합성량을 증가시켜 특정 버섯의 발생량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산림생태계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간벌과 버섯 발생에 대한 정확한 상관관계를 알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은행잎박을 이용한 큰느타리버섯 배지 개발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ushroom mediums of Pleurotus eryngii using ginko leaf pomace)

  • 김홍규;김용균;이병주;이봉춘;양의석;권경학;김홍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05-109
    • /
    • 2009
  • 최근 국제원자재가 상승에 따라 버섯 배지 가격이 50% 이상 상승하여 톱밥 대체 배지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으로 충남도내에서 생산되는 은행잎부산물을 이용하여 버섯 배지로 개발하여 생산비 절감 및 경제적 이익 창출을 도모하기 위해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은행잎박을 10~30% 첨가량에 따른 균사생장은 대조구 102 mm/28일에 비해 은행잎박 10~30% 첨가시 86~101mm/28일로 균사생장이 느린 경향이었으며, 균배양일수는 은행잎박 10~20% 첨가시 29일로 대조구와 같았다. 초발이 소요일수는 은행잎박 10~20% 첨가시 7일, 생육 일수는 11일로 대조구와 같았지만, 은행잎박 30% 첨가시 초발이소요일수는 1일정도 늦었다. 갓의 크기는 은행잎박 첨가시 대조구에 비해 작은 경향이 있었고, 대의 길이는 은행잎박 10% 첨가시 98mm로 대조구 91mm에 비해 길었다. 대의 두께는 대조구 45mm에 비해 은행잎박 10~30% 첨가시 45~48mm로 두꺼운 경향이었다. 대의 경도는 대조구 32,156($g/cm^2$)에 비해 은행잎박 10~30% 첨가시 $35,062g/cm^2{\sim}41,065g/cm^2$로 높아 저장 및 유통에 유리하였고, 병당 수량은 대조구 85.8g/병에 비해 은행잎박 10~30% 첨가시 88.7~95.6g/병으로 3~11% 증수되었다. 따라서 큰느타리 병재배시 은행잎박 10%를 첨가하는 것이 수량 증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만두의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조선시대 만두의 종류와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1400년대${\sim}$1900년대까지) (The A Literary Investigation on Mandu (Dumpling);Types and Cooking Methods of Mandu (Dumpling) During the Joseon Era (1400's${\sim}$1900's))

  • 복혜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73-292
    • /
    • 2008
  • Among all the ingredients usedin mandu, the following types were used:, 13 types of grains were used (12.38%), 30 types of vegetables, fruits, bulbs,and nuts were used (28.57%), 32 types of marine products, birds, meats, fishes, and shellfishes were used (30.48%), 10 types of functional ingredients were used (9.52%) and. For spices, 20 types of spices were used (19.05%). 2. Cooking Methods offor Mandu. The mMandu eaten at in the early Joseon era had was primarily made ofusedbuckwheat that contained boiled tofu or egg uiijuk in the kneaded dough for the most part and while kneading with buckwheat, the tofu or egg uiijuk has been boiled down to knead the dough, and and starch powder, bean powder, or rice powder, etc were mixed to make the mandu coating. Buckwheat powder was mixed toadded to the flourwer or was used by itself, while meat, vegetables, tofu, and shiitake mushroom, etc were also addedincluded. From the 18th century, the host plant, or cabbage kimchi, were prepared and combined had been sliced to be used as filling together while red pepper powder was mixed combined withto spices or vinegar soy sauce to be used together. Also, Radishes had beenwere also used as filling, but shown as not being used fromafter the start of the 1900's. For the shape of mMandu, it was madeinto different shapes such as as triangle, rectangle, date plum, gwebul, half moon, or pomegranate shapes, and then shapes to be boiled in simmering water, baked, or cooked as soup in clear broth for soup., In the 17th to 18th century, boilingthen in a steamer gradually became a cooking style, assumed the style of boiling in a steamer in $17th{\sim}18th$ century while in the 16th century,the an essay ofn fermenting flour in ‘Food Dimibang’ in 16th century had indicated it was cooked as the style ofby steaming in a rice steamer. Also, Mandu may have also contained the following: the thin-cut and boiled fish was cut out thin to put into the filling and boiled down, made by putting in added pine nuts after making bbeef jerky or boiled- down meat, fish, or shellfish itself to extractsand mold mandu only the ingredients combined withto put on starch powder, and then boiled down and put on pine nut powder finally, after it or cooled it wasdown to be eaten by dipping in vinegar soy sauce. In conclusion, many different types of mandu were made during the Joseon era using a variety ofwhile the ones using such various ingredients. are also one type of mandu.

큰느타리버섯 배지재료의 다변화를 위한 연구 (Studies for alternative material of media for Pleurotus eryngii)

  • 박진영;이재윤;김현태;김삼수;김성윤;김문옥;이재동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88-100
    • /
    • 2006
  • 큰느타리버섯의 병재배 시에 생산 단가의 절감과 배지 다양화의 측면에서 대용할 수 있는 재료를 탐색하고 균사 생장률을 높일 수 있는 배지 조성을 찾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주재료(톱밥 수종), 첨가재료, 무기염류, 활성물질을 대체 첨가하여 큰느타리버섯의 균사 생장률을 비교하였다. 기본배지의 건비지를 대신하여서 감자전분, 야자박, 단백피 탈지대두분, 면실피, 계분을 비율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탈지대두분 2~8% 첨가와 계분의 2% 첨가는 기본배지보다 균사생장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본배지의 미송톱밥에 대해 활엽수 톱밥을 대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25.2%로 혼합할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무기염류 실험에서는 $CaCO_3$, 2~3%, $K_2CO_3$, 0.2%, $MgSO_4{\cdot}7H_2O$ 0.1%, $MnSO_4{\cdot}5H_2O$ 0.05%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균사생장에 효과적이었다. 활성 물질들은 그 비용에 대한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없었다.

  • PDF

버들송이의 균사배양조건 및 최적 접종량 설정 (Condition of mycelial culture and inoculum volume of spawn on cultivation of Agrocybe cylindracea)

  • 이기권;유영진;최규환;정종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28
    • /
    • 2012
  • 본 연구는 버들송이버섯의 균사 생육 최적조건을 구명하여 액체종균을 제조하고 또한 톱밥종균의 영양원을 선발하기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고, 선발된 종균에 대한 종균 접종량을 설정하여 병재배에 적합한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버들송이버섯의 톱밥종균은 미송톱밥(70%)+밀기울(30%)의 비율, 포플러톱밥(80%)+옥수수가루(20%) 조건으로 배합할 때 균사 생육이 양호하였다. 액체종균에 대한 영양원 선발 및 첨가량은 백설탕 1.0~1.5%, yeast extract $0.7g/{\ell}$, 콩가루 $0.17g/{\ell}$, 무기물은 $MgSO_4{\cdot}7H_2O\;0.3g/{\ell}$, $KH_2PO_4\;0.5g/{\ell}$, $K_2HPO\;1.2g/{\ell}$가 최적 조건이었다. 이때 선발된 배지의 접종량은 액체 및 톱밥종균을 $25m{\ell}/850m{\ell}$$20{\sim}25g/850m{\ell}$로 접종 할 때 자실체 발생이 양호하였다.

잿빛만가닥버섯의 변이체 유도와 실용적 인공재배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mutant introduction and new practical artificial cultivation of Lyophyllum decastes)

  • 이대진;이원정;권미성;장주원;이원재;허정란;최창현;황철호;이병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3-6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 확보한 균주에 대하여 활성이 좋은 균주를 1차 선발하였고, 활성이 우수한 균주는 변이체 유도법을 통한 육종으로 17종의 균주를 새로 확보한 뒤 반복적인 현장 재배를 통해 복토와 수피 사용이 필요 없는 재배실험을 진행하였다. 1차 재배실험에서는 복토와 수피의 사용 없이도 재배가 가능한 품종 선정에서 주배지로서 후숙 미송톱밥의 사용이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2차로 이어서 후숙 미송톱밥과 영양제 실험으로 미강, 밀기울, 면실피등을 배합하여 재배 실험을 반복적으로 진행함으로서 실험결과 발효 미송톱밥 71.0%와 영양제로 밀기울을 29.0%를 사용한 실험군에서 가장 균사 성장이 빠르고 복토와 수피 사용 없이 잿빛 만가닥버섯 재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육성된 품종에 따라 동일한 조건에서 갓의 색깔과 모양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상의 실험결과 복토와 수피사용 없이 잿빛 만가닥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있음이 가능함을 반복적인 재배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향후 첨가제 등 보충 실험을 통해 수확량 증가와 시장에 적합한 모양의 규격을 설정하는 등 현실적으로 경제성을 갖춘 잿빛 만가닥버섯을 재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표고버섯(JNM3022) 톱밥재배에 적합한 배지조성과 배지크기 (The optimum media size and composition for sawdust culture of Lentinula edodes (Strain: JNM3022))

  • 최덕수;정경주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6권3_4호
    • /
    • pp.131-137
    • /
    • 2008
  • 표고버섯(J NM3022) 의 톱밥재배시 적절한 배지크기 및 배지조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05년부터 2년동안 시험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고버섯 톱밥재배를 위하여 배지길이와 직경이 다른 12가지 크기의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기간, 배양완성률을 시험한 결과 가장 적절한 배지크기는 길이 25 cm ${\times}$ 직경 14cm, 무게 2.5 kg 배지였다. 소나무톱밥의 포화수분함량은 495 $m{\ell}/100g$으로 침 나무동밥 251 $m{\ell}/100g$보다 약 2배 많았다. 참나무톱밥 100% 등 10조합의 배지조성 중 균사생장속도와 균사일도가 가장 좋았던 배지조성은 참나무톱밥 80%+밀기울 20%와 참나무톱밥 80%+미강 20% 처리였으며, 가장 적합한 배지수분함량은 55%였다. 배양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배지중앙에 유공관을 설치하였을 때 무처리에 비하여 길이 20 cm 배지는 11일, 30 cm 배지는 32일을 단축할 수 있었다. 배지표면 갈변화에 가장 좋았던 처리는 $10^{\circ}C$ 정도의 변온과 봉지천공으로 갈변 소요기간은 35일로 동일조건의 무천공처리에 비하여 54일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

  • PDF

전복느타리버섯(Pleurotus cystidiosus O.K.Miller)의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Pleurotus cystidiosus O.K.Miller, the Abalone Mushroom)

  • 장갑열;전창성;신철우;박정식;오세종;최선규;성재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00-205
    • /
    • 2003
  • 이 시험은 전복느타리버섯의 재배적 특성을 구명하므로써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인공재배 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얻고자 일련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공시균주 중 ASI2079가 수량 및 품질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공시균주들의 재배시험 결과, 톱밥 병재배시 미송톱밥에 첨가제로 미강을 사용했을 때 미강 20%에서 수량이 좋았으며 초발이 소요일수도 빠른 편이었다. 또한 병재배용 용기는 850 ml 병재배가 수량이나 회수율이 좋았으며 균긁기를 하지않은 것이 초발이 소요일수도 빨랐고 수량도 좋았다. 또한 P.P. 봉지를 이용한 전복느타리버섯의 재배 시험 결과, 배지재료는 절단볏짚을 첨가하지 않은 폐면 단용구가 수량이 높았으며, 전복느타리버섯의 재배시기는 여름재배가 가장 적정하다고 생각된다. 자동화와 원활한 유통을 목적으로 할 때는 병재배를 하는것이 좋고 일반 느타리 재배사에서 재배시에는 봉지재배가 유리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전복느타리버섯 재배 시험결과는 고온기 버섯 재배가 가능하여 버섯 연중재배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