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ilot-scale

검색결과 1,175건 처리시간 0.025초

Pilot 규모의 상향류식 충전탑 반응기를 이용한 생활오수의 유기물 및 질소, 인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oval of Organics, Nitrogen and Phoschorus of Domestic Wastewater in Pilot-Scale Upflow Packed Bed Column Reactor)

  • 선용호
    • KSBB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191-196
    • /
    • 2007
  • 본 연구는 급속한 산업 발전으로 인해 일어난 많은 수질오염 문제 중 생활하수의 처리방법에 관심을 기울여 생물막 공법을 이용하였는데, 이는 소규모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운전과 유지가 간단하고 활성슬러지 공정보다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생물막 공법 중 생물여상법의 변법을 적용한 Pilot 규모의 상향류식 충전탑형 반응기로 내부의 담체로는 폐토기와 폐비닐을 넣어 혐기조와 호기조를 구성하였고, 생활 오수로는 식당 오수를 이용하여 Lab.-Scale 실험 후 Pilot-Scale로 Scale-up하여 100여일 간에 걸쳐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연속 포기시 일정 HRT에서 유기물과 질소, 인 제거율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BOD_5$와 SS의 평균 제거율은 각각 94.33%와 87.77%로 높은 제거율을 보였으나, $COD_{Cr}$은 81.46%로 목표 제거율 90% 이상에 미치지 못하였고, T-N과 T-P도 각각 71.92%와 21.10%로 예상보다 약간 낮았다. 특히 $COD_{Cr}$와 T-N의 제거율은 지난 Lab.-Scale 때보다 약 10% 정도의 감소를 하여 Pilot-scale에 내외적인 문제가 작용한 것으로 보였다.

Application of Electrocoagulation for Printing Wastewater Treatment: From Laboratory to Pilot Scale

  • Thuy, Nguyen Thi;Hoan, Nguyen Xuan;Thanh, Dang Van;Khoa, Pham Minh;Tai, Nguyen Thanh;Hoang, Quang Huy;Huy, Nguyen Nhat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21-32
    • /
    • 2021
  • This study reports for the first time the application of electrocoagulation (EC) from laboratory to pilot scales for the treatment of printing wastewater, a hazardous waste whose treatment and disposal are strictly regulated. The wastewater was taken from three real printing companies with strongly varying characteristics. The treatment process was performed in the laboratory for operational optimization and then applied in the pilot scale. The weight loss of the electrode and the generation of sludge at both scales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 that the raw wastewater should be diluted before EC treatment if its COD is higher than about 10,000 mg/L. Pilot scale removal efficiencies of COD and color were slightly lower compared to those obtained from the laboratory scale. At pilot scale, the effluent CODs removal efficiency was 81.9 - 88.9% (final concentration of 448 - 992 mg/L) and color removal efficiency was 95.8 - 98.6% (final level of 89 - 202 Pt-Co) which proved the feasibility of EC treatment as an effective pre-treatment method for printing wastewater as well as other high colored and hard-biodegradable wastewaters.

다양한 형태의 Pilot Scale 초음파 시스템 개발 및 나프탈렌 분해효율 검증 (Development of Various Pilot Scale's Ultrasound Systems and Sonodegradation of Naphthalene in Water)

  • 박종성;이하윤;한종훈;허남국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1-288
    • /
    • 2011
  • 초음파 기술은 공동현상(cavitation)에 의한 산화분해 및 열분해 과정을 이용해 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저용량 소규모(Lab scale) 실험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용량 연속식 처리가 가능한 Pilot Scale의 초음파 시스템을 개발하고, 분해 대상물질로 나프탈렌을 선정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처리효율을 비교 검증하였다. 전반사가 유도된 최적의 다주파 조사 조건으로 V-$120^{\circ}$ 형태가 일반형에 비해 약 1.4~2.2배 우수한 효율을 나타내었다. V-$120^{\circ}$ 초음파 조사 형태, 연속식 처리가 가능하기 위한 유입 유출수 설치, 보조제 첨가부 및 외곽 냉각 순환시스템을 적용하여 총 3가지 형태의 pilot scale(20~40 L) 반응조를 제작하였다. 세 반응조의 나프탈렌 처리 결과는 모두 EPA의 나프탈렌 음용수 권고기준을 만족하였으며, 특히, 전반사 조건이 유도된 PS1과 PS2 type이 약 97% 이상의 우수한 분해효율을 보였다. 연속식(CSTR형) 처리 방식에서도 2.5~10 mg/L의 나프탈렌을 시간당 10~20 L를 처리한 결과 약 84~96%의 우수한 분해효율을 나타내었다. 인공 현장 지하수 조건에서의 초음파 적용시 초음파 효율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개발된 본 시스템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ilot 규모의 반응기를 이용한 폐수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wastewater treatment with the pilot-scale reactor)

  • 서명교;최윤찬;서정호;노종수;이근복;김의용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0-15
    • /
    • 1996
  • Treatment of a synthetic wastewater was made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pilot scale of an IFBBR. The particl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circular shaped polystyrene whose density was lower than that of water. The reactor volume was 400 l and the SCOD removal efficiency was more than 90% at HRT of 5 hrs. The IFBBR was successfully operated for 5 months without any significant problems. And it whs certained that IFBBR had a potential capability for treating wastewater.

  • PDF

내부순환반응기의 Scale-up에 따른 동력학적 특성의 변화 (Dynamic Behavior of an Internal Loop Reactor during Scale-up)

  • 최윤찬;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1
    • /
    • 1997
  • The variations of gas hold-up, overall volumetric oxygen mass transfer coefficients and liquid circulation velocity in an internal loop reactor were investigated to manifest scale-up e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ficial gas velocity and gas hold-up were found as Ugr = 0.045 $\varepsilon$r in the pilot-scale and Ugr = 0.056 $\varepsilon$r in the bench-scale reactor. The overall volumetric oxygen mass tractsfer coefficient, KLa was slightly increased in the pilot-scale than in the bench-scale reactor. Flow regime was changed from the bubble flow to the churn-turbulent flow when the superficial gas velocity reached to 3.5 - 4 cm/sec in the pilot-scale.

  • PDF

CSOs 처리를 위한 실증규모 응집침전시스템의 설계평가 (Evaluation of Pilot scale Coagulation system Design for CSOs treatment)

  • 이승철;하성룡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
    • /
    • 2013
  • 도시유역에서 강우시에 발생되는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CSOs; Combined Sewer Overflows)을 처리하기 위해 물리화학적 처리기법을 적용한 실증규모의 응집침전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에 앞서 응집침전시스템은 lab-test를 통해 도출된 최적의 설계조건이 실증규모로 증설할 시에 설계인자가 제대로 반영되었는지 평가가 필요하며, 최적조건에 따라 설계에 반영하였다 하더라도 대상원수의 유입특성에 따라서도 처리결과에 대한 평가가 다를 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주하수 처리장에 유입되는 CSOs를 대상으로 각각 $1m^3$/일과 $100m^3$/일의 CSOs를 처리할 수 있는 실험실규모 및 실증규모의 장치를 통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증규모의 시스템을 운전하여 lab-test에서 도출된 설계인자와의 상사성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높은 처리효율을 유지하기 위한 운전인자를 적용하여 CSOs를 처리함에 있어 그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험실 규모의 설계조건과 상사성을 만족하는 인라인믹서와 응집반응조의 조건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pilot-test를 운전하기 위한 적정 응집제 주입량을 도출하였고, 결과적으로 실증규모의 시스템에서도 CSOs를 대상으로 높은 효율의 응집침전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었다.

공기 중 메틸에틸케톤 제어를 위한 Pilot-Scale 흡수 시스템의 운영인자 분석 (Analysis of Operation Parameters of Pilot-Scale Packed-Absorption System for Airborne Methyl Ethyl Ketone Control)

  • 조완근;김왕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01-509
    • /
    • 2011
  • Unlike many laboratory-scale studies on absorption of organic compounds (VOCs), limited pilot-scale studies have been reported.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operation parameters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a hydrophilic VOC (methyl ethyl ketone, MEK) by applying a circular pilot-scale packed-absorption system (inside diameter 37 cm ${\times}$ height 167 cm). The absorption efficiencies of MEK were investigated for three major operation parameters: input concentration, water flow rate, and ratio of gas flow-rate to washing water amount (water-to-gas ratio). The experimental set-up comprised of the flow control system, generation system, recirculation system, packed-absorption system, and outlet system. For three MEK input concentrations (300, 350, and 750 ppm), absorption efficiencies approached near 95%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as the operation time increased, thereby suggesting a non-steady state condition. Under these conditions, higher absorption efficiencies were shown for lower input concentration conditions, which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laboratory-scale studies. However, a steady state condition occurred for two input concentration conditions (100 and 200 ppm), and the difference in absorption efficiencies between these two conditions were insignificant. As supported by an established gas-liquid absorption theory, a higher water flow rate exhibited a greater absorption efficiency. Moreover, as same with the laboratory-scale studies, the absorption efficiencies increased as water-to-gas ratios increased. Meanwhile, regardless of water flow rates or water-to-gas ratios, as the operation time of the absorption became longer, the pH of water increased, but the elevation extent was not substantial (maximum pH difference, 1.1).

소규모 전력 소비자 대상 수요자원 거래시장의 필요성 및 시범운영 결과 분석 (Role of Demand Response in Small Power Consumer Market and a Pilot Study)

  • 이은정;이경은;이혜수;이효섭;김은철;이원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4호
    • /
    • pp.915-922
    • /
    • 2017
  • 최근 지속적인 전력 수요 증가와 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 및 갈등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수요자원 거래시장(Demand Response Market)의 활성화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2014년부터 수요자원 거래시장을 운영 중이나 대규모 수요자원 거래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전력 소비 비중의 증가, 큰 감축 유동성, 항상 활용 가능, 사회 인식 개선 등의 면에서 소규모 전력 소비자의 시장 참여는 성공적인 수요자원 거래시장 운영의 핵심적 요소로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2016년 여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5,000명 이상의 소규모 전력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인센티브 기반(incentive-based) 수요반응(Demand Response) 프로그램의 실제 시범운영 결과를 분석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며, 이를 통하여 소규모 전력 소비자 대상 수요자원 거래시장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Pilot Scale에서의 Fusant의 Ethanol 발효 (Ethanol Fermentation of Fusant between Heterologous Transforman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Candida tropicalis in Pilot Scale)

  • Seu, Jung-Hwn;Kim, Young-Ho;Lee, Soon-Mo;Bang, Byung-H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4-18
    • /
    • 1989
  • Fusant FSC14-75의 산업적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최종 실험으로서 Working volume이 300 liters인 pilot scale에서의 발효력을 조사하였다. 13,3%의 liquefied sweet potato starch (Total sugar=14.8%)을 ethanol 발효원으로 함유한 fermentation broth 300liters를 0.6% seed로 발효시킨 결과 발효 최종일인 8일만에 6.6%(v/v)의 ethanol을 생성하였고 이때 잔당은 15%이었으므로 발효율은 총당에 대해서는 70%, 소비당에 대해서는 87.5%로 나타났다. 한편 fermentation broth로부터 FSC-14-75 유래의 unicellular cell과 flocculent cell을 분리할 수 있었으며 이를 각각 FSC14-75(S)와 FSC14-75(F)로 명명하였고, 이들 두 균주의 ethanol 발효능을 mini-jar fermentor scale에서 조사한 결과 FSC14-75(F)가 ethanol productivity에 있어서 우수하였으며 15%의 liquefied potato starch로부터 발효 10일만에 8.1%(v/v)의 ethanol을 생성하여 발효율은 총당에 대해 75%였다. FSC-14-73 (F)의 ethanol productivity를 pilot scale에서 조사하기 위해 총당 15.33%의 liquefied sweet potato starch를 함유한 fermentation broth 300 liters를 1% seed로써 발효시킨 결과 ethanol 생성은 배양 8일만에 최대 7.7%(v/v)였으며 이때 잔당은 1.9%였다. 또한 FSC-14-75(F) 균주의 발효과정중 $\alpha$-amylase의 계속적인 작용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300 liters의 fermentation broth를 살균 후1% seed와 동시에 50$m\ell$의 Thermamyl을 재차 첨가하고 ethanol 생성을 조사한 결과 발효율 및 잔당은 첨가하지 않은 경우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 PDF

Pilot 규모의 열분해 용융 소각 시스템에서의 열분해 및 연소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yrolysis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Solid Waste in a Pilot scale Pyrolysis Melting Incinerator)

  • 류태우;양원;박주원;김봉근;이기방;김희열;박상신;전금하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06년도 제33회 KOSCO SYMPOSIUM 논문집
    • /
    • pp.168-174
    • /
    • 2006
  • A pilot scale (200kg/hr) pyrolysis melting incineration system is designed and constructed in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The incineration process is composed of pyrolysis, gas combustion, ash melting, gas stabilization, waste heating boiler, and bag filter. For each unit process, experimental approaches have been conducted to find optimal design and operating conditions. Especially, a pyrolysis is very important process in that it is a way of energy recirculation and minimizing the waste products. This paper presents major results of the most efficient operating conditions in a pilot scale pyrolysis melting incinerat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