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g Monitoring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3초

Application of Near Infrared Spectroscopy (NIR) for Monitoring the Quality of Milk, Cheese, Meat and Fish - Review -

  • Ru, Y.J.;Glatz, P.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7호
    • /
    • pp.1017-1025
    • /
    • 2000
  • The traditional methods for determining the quality of milk, cheese and meat are tedious and expensive, with a significant wastage of chemicals which pollute the environment.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the potential of near infrared spectrophotometry (NIR) for monitoring the quality of milk and meat has been evaluated by a number of researchers. While most studies indicate that NIR can be used to predict chemical composition of milk and meat, and to monitor the cutting-point during cheese manufacturing, one study demonstrated the potential of NIR to predict sensory characteristics (e.g. hardness and tenderness) of beef. These calibrations were developed on a small number of samples, limiting their value for adoption by the industries. Now that the sophisticated computer software is available, more robust calibrations need to be developed to monitor both che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eat and meat products simultaneously.

돼지의 빠른 자세 결정과 머리 제거를 위한 영상처리 및 딥러닝 기법 (Image Processing and Deep Learning Techniques for Fast Pig's Posture Determining and Head Removal)

  • 안한세;최원석;박선화;정용화;박대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8권11호
    • /
    • pp.457-464
    • /
    • 2019
  • 양돈 업계에서 돼지의 무게는 돼지의 건강이나 성장 상태, 출하 여부, 사육 환경, 사료 배급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며, 따라서 돼지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은 돼지의 생산성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Top-view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돼지의 픽셀 수를 이용하여 돼지의 무게를 추정하고자 할 때, 정확한 픽셀 수 측정에 영향을 주는 돼지의 자세를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픽셀 수 측정에 영향을 주는 머리부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빠른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돼지의 자세를 빠르게 결정하고, 딥러닝 기반의 빠른 객체탐지 기법인 YOLO를 이용하여 돼지 머리 위치를 파악한 후, 경량화된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돼지의 머리와 몸통 경계를 획득하고 머리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빠른 영상처리 기법으로 이진화된 돼지의 영상 데이터에서 돼지의 몸통 중심점으로부터 돼지의 외곽선까지의 길이를 비교하여 돼지의 자세를 결정한다. 또한, 돼지의 머리 위치를 탐지하기 위하여 YOLO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 내의 돼지의 머리, 몸통, 엉덩이의 위치를 학습시킨 후, 곧은 자세의 돼지 머리 위치를 획득하고 머리 바깥 영역을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Convex-hull을 이용하여 돼지의 머리와 몸통 경계를 추정한 후, 머리를 제거한다. 실험 결과, 0.98의 정확도와 250.00fps의 수행속도로 돼지의 자세를 결정하였으며, 0.96의 정확도와 48.97fps의 수행속도로 돼지의 머리탐지 및 제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모바일 웹기반 개선된 AI PigMoS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an Improved AI PigMoS System based on Mobile Web)

  • 김현주;손용숙;김봉기;김흥준;이광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01-702
    • /
    • 2013
  • 전국 50여개의 AI(Artificial Insemination)센터는 국내 양돈산업 인공수정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반해 AI센터의 숫자 규모는 전국적으로 매우 제한되어 있어, AI센터의 운영 및 AI 기술에 대한 정보관리는 각 센터별 독자적인 운영시스템으로 관리되어 상호 정보융합을 통한 양돈산업 발전에 활용되는 사례가 매우 적다. 또한 개별 AI센터에서 관리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지역분포도가 매우 폭넓어 실시간으로 수요자에 대한 판매 관리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국의 AI센터 관리운영에 통합적이고 효율성을 지원할 수 있는 모바일 웹기반 개선된 AI PigMoS(Pig Monitoring System, PigMoS)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바일 웹기반 개선된 AI PigMoS 시스템은 이동성, 실시간 정보서비스 등에 해당되는 시스템 모듈을 모바일 웹을 기반으로 구현하여 개별 AI센터에서 운영할 수 있게 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AI PigMoS 시스템을 개선하여 재구축하였으며, 이동성, 실시간 정보서비스 등이 필요한 모듈을 중심으로 모바일 기능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원거리 소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생성된 AI정보를 제공하여 AI센터의 정보관리 효율성과 경쟁력 향상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 PDF

OpenCL을 이용한 돈사 감시 응용의 효율적인 태스크 분배 (Efficient Task Distribution for Pig Monitoring Applications Using OpenCL)

  • 김진성;최윤창;김재학;정연우;정용화;박대희;김학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10호
    • /
    • pp.407-414
    • /
    • 2017
  • 다수의 태스크로 구성된 돈사 감시 응용은 내재된 데이터 병렬성을 활용하고 성능가속기를 사용하여 병렬 처리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코어 CPU와 매니코어 GPU로 구성된 이기종 컴퓨팅 플랫폼에서 돈사 감시 응용 수행 시 태스크 분배 방법을 제안한다. 즉, 각 태스크별로 OpenCL을 이용한 병렬 프로그램을 작성한 뒤, deviceCPU와 deviceGPU 각각에서 수행시켜 측정된 수행시간을 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처리기를 결정한다. 제안 방법은 간단하지만 매우 효과적이고, CPU와 GPU로 구성된 이기종 컴퓨팅 플랫폼에서 다수의 태스크로 구성된 다른 응용을 병렬화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실험 결과, 상이한 이기종 컴퓨팅 플랫폼에서 최적의 태스크 분배로 수행한 경우 가 전체 태스크들을 deviceGPU에서 수행한 GPU-only 방법에 비교하여 각각 2.7배, 8.7배, 2.7배 성능 개선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 Gene-Tagging System for Monitoring of Xanthomonas Species

  • Song, Wan-Yeon;Steven W. Hutcheson;Efs;Norman W. Schaad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137-143
    • /
    • 1999
  • A novel chromosomal gene tagging technique using a specific fragment of the fatty acid desaturase-like open reading frame (des-like ORF) from the tox-argK gene cluster of Pseudomonas syringae pv. phaseolicola was developed to identify Xanthomonas spp.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as biocontrol agents. X. campestris pv. convolvuli FB-635, a pathogen of Convolvulus arvensis L., (bindweed), was chosen as the organism in which to develop and test the system. A 0.52 kb DES fragment amplified from P. syringae pv. phaseolicola C-199 was inserted into pGX15, a cosmid clone containing a 10.3 kb Eco RI-HindIII fragment derived from the xanthomonadin biosynthetic gene cluster contained in plasmid pIG102, to create a pigG::DES insertion. The 10.8 kb EcoRI-BamHI fragment carrying the pigG:: DES insertion was cloned into pLAFR3 to generate pLXP22. pLXP22 was then conjugated into X. campestris pv. convolvuli FB-635 and the pigG::DES insertion integrated into the bacterial chromosome by marker exchange. Rifampicin resistant, tetracycline sensitive, starch hydrolyzing, white colonies were used to differentiate the marked strain from yellow pigmented wild-type ones. PCR primers specific for the unique DES fragment were used for direct detection of the marked strain. Result showed the marked strain could be detected at very low levels even in the presence of high levels of other closely related or competitive bacteria. This PCR-based DES-tagging system provides a rapid and specific tool for directly monitoring the dispersal and persistence of Xanthomonas spp.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 PDF

돼지사체 매몰지역 지하수의 수지구화학 특성: 침출수 누출 판단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an Area Affected by Pig Carcass Burial: Leakage Detection)

  • 오준섭;김호림;이정호;김경호;최광준;김현구;윤성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3권1호
    • /
    • pp.30-40
    • /
    • 2018
  • To evaluate potential impacts of shallow groundwater by the leachate from buried carcass, we investigated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oth leachate and shallow groundwater from monitoring wells and surrounding shallow groundwater wells in an area potentially affected by pig carcass burial. The hydrochemical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relocation of a burial pit. The leachate samples and the groundwater affected by leachate showed the hydrochemistry of $Ca-HCO_3$ type with high $NH_4{^+}$ concentrations, while unaffected groundwater was mostly the $Ca(Na)-Cl+NO_3$ type due to pervasive impacts from agrochemical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n hydrochemical data showed the followings: 1)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from agro-livestock farming and livestock burial are coexisting in the study area, 2) among ionic species, $HCO_3{^-}$, $NH_4{^+}$, $NO_3{^-}$ and Mn are very useful to differentiate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from leachate, and 3)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leachate has been recognized around the monitoring wells even after the relocation of a burial pit, likely due to residual contaminants in surrounding soil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ontinued monitoring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should be conducted after the relocation of carcass burial pits.

키넥트 깊이 정보를 이용한 개별 돼지의 탐지 (Individual Pig Detection Using Kinect Depth Information)

  • 최장민;이종욱;정용화;박대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5권10호
    • /
    • pp.319-326
    • /
    • 2016
  • 밀집된 돈방에서 사육되는 돼지의 공격적 행동들은 돼지의 성장에 심각한 악영향을 주고, 이는 농가의 경제적 손실로 이어진다. 따라서 농가의 생산성 하락에 따른 경제적 손실과 직결되는 돈방 내의 비정상 상황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IT기반의 영상 감시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돼지의 행동 분석 이전에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만 하는 개별 돼지의 탐지를 위한 키넥트 카메라 기반의 새로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1) 키넥트 카메라로부터 취득한 깊이 영상에서 배경 차영상 기법과 깊이 임계값을 이용하여 서있는 돼지만을 탐지함으로써 영상 내의 탐색영역을 축소한다, 2) 서있는 돼지들 중에서 움직임이 있는 돼지들만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하여 탐지한다. 3) 서서 움직이는 돼지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근접 문제를 깊이정보를 이용한 등고선기법을 제안 적용하여 돼지객체 탐지를 완성한다. 실제 세종에 위치한 한 돈사에서 취득한 깊이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한다.

양돈산업에 있어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온도 및 하중 센서에 의한 자동 분만 알림 시스템 개발 (Auto Dispatch Device of Parturition Beginning Signal by Temperature and a Load Sensor at Ubiquitous Circumstance in Pig Industry)

  • 이장희;백순화;연승호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3권3호
    • /
    • pp.139-146
    • /
    • 2009
  • This study tried to develop the system (device) that automatically notify a manager of condition just before and after farrowing to extend ubiquitous-based technology and to increase efficiency of delivery care and productivity by reducing human labor and time on standby when farrowing management is done in the difficult and hard working environment of farrowing such as night or holidays in field sand especially in pig industry. In this test, selected 10 gilts were executed timed artificial insemination and were set up each temperature sensor and load sensor to them 3 days before the estimated farrowing day and were observed the farrowing situation. This study was embodied the NESPOT-based (KT Corporation) monitoring system, the system to transmit data in real time by utilization of wireless LAN and the sensor module to apply the ubiquitous environment to them. And this study was observed the situation to automatically notify situations of 10 gilts that first bore just before and after farrowing. The result obtained the farrowing situations of them in real time by setup of the NESPOT-based monitoring system to check farrowing situation directly is as follow. The average time of the automatic notice about situation just before farrowing by the temperature sensor was 27.5 minutes before the beginning of farrowing (the expulsion time of a piglet). 6 of 8 pregnant gilts that first bore automatically were notified situations just before farrowing and the temperature sensors inserted into 2 ones before farrowing were omitted. (The automatic notice rate 75%) The average time of the automatic notice of situation just after farrowing by the load sensor was taken 46.5 minutes after the beginning of farrowing (the expulsion time of a first piglet). The average gestation period of 8 ones that first bore and were tested by the automatic notice of farrowing situation was 115.6 days. This result found that the automatic farrowing notice system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more efficient than the load sensor as the automatic farrowing alarm device and sanitary treatment and improvement of the omission rate were required.

시공간 정보를 이용한 근접 돼지의 영상 분할 (Image Segmentation of Adjoining Pigs Using Spatio-Temporal Information)

  • 사재원;한승엽;이상진;김희곤;이성주;정용화;박대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10호
    • /
    • pp.473-478
    • /
    • 2015
  • 최근, 축산 농가에서 돈사 내 개별 돼지들의 자동 영상 모니터링 기법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까지 이를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소개되어 왔지만, 아직도 추가적인 연구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혼잡한 돈방에서 움직이는 근접한 돼지들의 객체 식별을 위한 연구가 영상처리 분야 입장에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감시카메라 환경에서 움직이는 근접한 돼지들의 객체 식별을 위한 해법으로써 시공간 정보와 영역 확장 기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영상 분할 방법론을 새롭게 제안한다. 실제로 세종에 위치한 한 돈사에서 취득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소와 돼지 도축장 도체 및 환경에서 분리된 병원성대장균 분포 및 특성조사 (Prevalence and characterization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from carcasses and environmental samples of cattle and pig slaughterhouses)

  • 홍세림;강혜정;문진산;윤순식;김하영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91-199
    • /
    • 2022
  • We investigated the virulence genes, O-serotypes, antimicrobial resistance of pathogenic E. coli isolated from carcasses (n=455) and environmental (n=372) samples of 11 cattle and 12 pig slaughterhouses from December 2020 to December 2021. E. coli were isolated from nine carcasses (2.0%), three slaughter facilities (1.4%), two utensils (2.7%) and three abattoir workers (3.5%) from four cattle and four pig slaughterhouses. Among all isolates, 13 STEC (76.5%) were identified, followed by four EPEC (23.5%). As a result of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all isolates were resistant to at least one antimicrobial, of which 70.6% isolates showed multidrug resistance patterns. The serotypes were diverse in pigs compared to cattle, with serotypes O18, O66, O109 in cattle and O9, O76, O85, O100, O153, and O159 in pigs. In a single cattle slaughterhouse, eight STEC O66 were isolated from various types of sample (4 slaughter animal surfaces, 3 gloves, and 1 knife) with two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CHL-FIS-STR and CHL-FIS). Those two types of strain were suspected cross-contamination from utensils to slaughter animal surfaces. These results showed that pathogenic E. coli were detected in carcasses and various environmental samples in cattle and pig slaughterhouses. Nationwide monitoring and hygiene management are required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 of STEC isolate slaughterhou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