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plankton abundance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5초

CHEMTAX 활용한 가막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in Gamak Bay by CHEMTAX Analyses)

  • 오현택;김다정;이원찬;정래홍;홍석진;강양순;이용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155-1167
    • /
    • 2008
  • Chlorophyll a (chl a) has been used as an indicator for phytoplankton biomass in pelagic ecosystems due to the relative ease of measurement and selectivity for autotrophs in mixed plankton assemblages. However, the use of chi a as an indicator for phytoplankton biomass is restricted due to its inability to resolve taxonomic differences of phytoplankton and the highly variable relationship of chi a with phytoplankton. Here, we describe the analysis of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photosynthetic pigment data using CHEMTAX, which is a matrix factorization program that uses chemical taxonomic indices (phytoplankton carotenoids) to quantify the abundance of phytoplankton groups. Compared to direct microscopic counting that can distinguish species within broad groups, the resolution of taxonomic groups by CHEMTAX is generally coarse. It can only distinguish between diatoms, dinoflagellates, cryptophytes, cyanobacteria, chlorophytes, prasinophytes, and haptophytes. However, CHEMTAX analysis is much faster and less expensive than microscopic counting methods. HPLC pigment observations were taken in the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in$ 2005\sim2006$ within Gamak Bay, South Korea. CHEMTAX results revealed that diatoms were the dominant taxonomic group in Gamak Bay. In inner Gamak Bay, the ratio between diatoms and cryptophytes was $75\sim80%$, and the ratio between dinoflagellates and cryptophytes was $10\sim15%$. In outer Gamak Bay, the ratio between diatoms and cryptophytes was $85\sim90%$, and the ratio between dinflagellates and cryptophytes was only $1\sim5%$. The population structure was seasonal. Relative diatom populations were less in the summer than the winter season.

남한강 하류수역에서 식물플랑크톤 증식의 영향인자 및 수중유기를 기원 (The Effect Factors on the Growth of Phytoplankton and the Sources of Organic Matters in Downstream of South-Han River)

  • 박혜경;변명섭;최명재;김용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56-562
    • /
    • 2008
  • We divided the downstream of South-Han River into three water zones, such as river zone, transition zone and lacustrine zone depending on the flow rate, and elucidated the major effect factors on the growth of phytoplankton and the sources of organic matters in each water zone. The difference of chlorophyll-a concentration which represents the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water zones. From the results of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hlorophyll-a concentration and water quality parameters in each water zone, the outflow of Chungju dam and hydraulic retention time of Lake Paldang which are directly related with the flow rate seemed to have obvious impact on phytoplankton growth in the downstream of South-Han River.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such as phosphorus and nitrogen exceeded the criterion of eutrophication and did not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hlorophyll-a concentration. There wer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BOD_5$ and chlorophyll-a concentrations in transition and lacustrine zone showing autochthonous production of phytoplankton was dominant source of organic matters in these zones especially in dry seas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ontrol of abundance of phytoplankton is the key target for reduction of the organic pollution in the downstream of South-Han River.

국내 호소에서 autotrophic picoplankton의 밀도 및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에 대한 기여도 (Abundance of Autotrophic Picoplankton and Their Contribution to Phytoplankton Biomass in Korean Lakes)

  • 김범철;전만식;허우명;김호섭;최연규
    • 생태와환경
    • /
    • 제34권3호통권95호
    • /
    • pp.141-152
    • /
    • 2001
  • 1999년 여름동안 동해안의 7개 석호와, 내륙의 5개 인공호를 대상으로 autotrophic picoplankton (APP)의풍부도와 총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석호에서는 부영양화가 심한 호수에서 주로 나타나는 phycocyanin-rich APP가 우점한 반면 인공호에서는 주로 phycoerythrin-rich APP가 우점하였다. 동해안 석호에서 APP의 세포밀도와 생물량은 각각 $3.6{\times}10^3{\sim} 5.0{\times}10^6\;cells/ml$$1.0{\sim}1,385.0\;{\mu}gC/L$의 범위를 나타냈고 인공호에서는 각각 $3.8{\times}10^4{\sim}3.6{\times}10^5\;cells/ml$$15.3{\sim}128.2\;{\mu}gC/L$의 범위로 동해안석호에서 더 높은 APP의 풍부도를 나타냈다. 특히 경포호에서는 3회조사 모두 $10^6\;cells/ml$이상의 높은 세포밀도를 보였는데 이는 세계적으로 보고된 가장 높은 밀도 수준이다. 소양호에서 APP의 수직분포를 조사한 결과 수온약층에서 최대 세포밀도를 나타냈는데 이는 APP가 낮은 광도에서도 성장이 가능하며 심층의 높은 영양염류를 이용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APP세포밀도는TN/TP비와 음의 상관관계,TP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APP의 풍부도가 호수의 부영양화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에 대한 APP의 기여도는 $0.1{\sim}85.0%$로 호수간의 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식물플랑크톤 연구에서 소외되어져 왔던 APP가 호수 생태계의 일차생산자로써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여름철 한국 동해 극전선해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와 분포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Polar Front Region off the East Coast of Korea in Summer)

  • 박주석;강창근;안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37-247
    • /
    • 1991
  • 여름철 한국 동해 중부 극전선과 주변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와 분포를 밝히기 위하여 1990년 여름철에 수온, 염분, 영양염과 기초생산력 및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총 96종의 식물플랑크톤이 동정되었으며 그중 Rhizosolenia setigera와 Thalassionema nitzschioides 2종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조사해역의 북부연안수역에서는 표충과 chlorophyll a가 최대로 나타난 50m충의 군집이 아주 다르고 남부와 외해역에서는 유사했다. 주요인분석의 결과 북부연안 표층수역을 대표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연안난수성 와편모조류였고 북한한류수역은 냉수성 규조류로 그리고 남부와 외해수역은 난수성 규조류였다. 또한 전선구역에서는 냉$\cdot$ 온수성 규조류가 혼합하여 나타났고 기초생산력과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역시 전선구역에서 월등히 높았다. 영양염의 농도는 북한한류수역에서 현저히 높았는데 그 이류는 영양염의 공급과 함께 전선면에서의 식물플랑크톤 peak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마산만 식물플랑크톤의 단기적 변화양상 : 1. 동태 (Short Term variability of the Phytoplankton Populations in Masan Bay: I. Dynamics)

  • 배세진;유신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7-76
    • /
    • 1991
  • 마산만은 부영영화의 영향으로 적조와 무산소층이 빈발하는 해역으로 알려져 있 다. 이 해역의 빠른 turnover rate를 고려할 때 보다 짧은 관측 간격을 필요로 하므 르, 1988년 여름 장마 직후 16일간 일일관측을 실시하였다. 비교적 짧은 조사기간에도 불구하고 식물플랑크톤의 양 및 조성에 큰 변화가 있었다. 세포수와 클로로필 농도는 각각 70, 10배의 변화폭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첫 번째 최고점에서는 규조 류인 Skeletonema costatum이 압도적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이는 약 1주일 후의 두 번 째 최고점에서 Prorocentrum minimum으로 우점종의 천이가 일어났다. 이러한 변화의 시간 규모로 볼 때 마산만과 같은 복잡한 연안환경에서는 적어도 1주 간격의 조사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성층은 표층에서 높은 성장을 가능하게 했던 반면, 저층에서 표층으로의 규산염 공급을 방해하여 규조류의 지속적인 성장을 제한한 것으로 보인다. 표층에서 잇따라 일어났던 규산염 및 규조류 양의 두 번째 최고점은 조류 (tidal current)에 의한 저층으로부터 불연속면을 거쳐 일어나는 규산염의 주기적 (flux)를 시사한다.

  • PDF

2006년 하계 가막만의 환경요인 변동에 따른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단기 변동 (Short-term Variations of Mesozooplankton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Gamak Bay during Summer, 2006)

  • 문성용;오현주;김숙양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1-32
    • /
    • 2009
  • The short-term variations of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in Gamak Bay during summer season, 2006. The study was based on a comprehensive survey constituting from 12 stations on June 19, July 28, August 4, and August 29, respectively. Mean of temperature and chlorophyll ${\alpha}$ concentrations in the surface lay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bottom layer, and thos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nner bay than those in the outer bay. A total of 40 taxa including 19 copepods were observed in Gamak Bay during summer season. Mean abundance of total mesozooplankton varied from 1,859 to 26,111 indiv. $m^{-3}$. The dominant species were Noctiluca scintillans, Penilia avirostris, Evadne tergestina, Paracalanus parvus s. 1., Acartia omorii and Cirriped nauplii and cyprii in Gamak Bay, and they contributed 90% of mean abundance of total mesozooplankton. Noctiluca scintillans was high after the rainfall.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could be divided into 4 distinct groups, indicating rapid change of the community in the short-term of this survey.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each group of the N. scintillans, P. avirostris, E. tergestina, and P. parvus s. 1. showed differences during the phytoplankton bloom period.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s were highly associated with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physical conditions, and food organisms affect short-term variations in mesozooplankton composition. Interestingly, protozoa N. scintillans, and Cladocera appeared to be one of the key organisms to extinguish the phytoplankton bloo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N. scintillans, and Cladocera could be a key player to control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during summer season, 2006.

시화호에서 하계 섬모충류의 초식압에 미치는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영향 (Influence of Mesozooplankton on the Grazing Pressure of Planktonic Ciliates in Sihwa Lake During Summer)

  • 홍현표;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4호
    • /
    • pp.265-271
    • /
    • 2014
  • 시화호에서 식물플랑크톤 및 섬모충류의 포식자인 중형동물플랑크톤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는 하계에 섬모충류의 초식압에 미치는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희석실험과 요각류 첨가 배양 실험을 병행하였다. 희석실험에서 섬모충류는 식물플랑크톤 생산량의 104%를 하루에 소비하였으나, 요각류 Acartia sinjiensis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섬모충류의 초식압은 19%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미소형식물플랑크톤의 주요 초식자인 $>20{\mu}m$ 빈섬모충류에 대한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선택적 섭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중형동물플랑크톤에 의해 섬모충류의 개체수가 강하게 지배되는 시기에는 섬모충류의 실제 초식압은 과대평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화호에서 요각류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는 춘계와 하계에는 식물플랑크톤의 초식자로서 섬모충류의 역할은 크게 감소될 것으로 판단되며, 초식자로서 섬모충류의 역할을 더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섬모충류에 대한 중형동물플랑크톤의 포식압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 김규범;강수민;이준백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1호
    • /
    • pp.92-105
    • /
    • 2019
  • 제주 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10개의 정점 0, 30 m 수심에서 수온, 염분, 용존산소 등 환경 요인과 현존량 및 출현종 등을 매월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제주 연안의 평균 수온은 0 m 13.7~25.9, 30 m $13.6{\sim}20.8^{\circ}C$의 범위로써 3월에 최소값, 8월에 최대값을 보였다. 평균 염분은 0 m 31.51~34.47, 30 m 33.03~34.47psu의 범위였으며, 7월에 최소값, 2월에 최대값을 보였다. 평균 용존산소는 0 m 6.12~8.10, 30 m $5.73{\sim}7.88mg\;L^{-1}$의 범위를 보였으며, 평균 Chl-a 량은 0 m 0.28~2.48, 30 m $0.44{\sim}1.01{\mu}g\;L^{-1}$ 범위를 보였고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연중 $5,300{\sim}639,900cells\;L^{-1}$ 범위로써 현존량은 전 정점에서 2월에 최소, 북부와 서부해역은7월, 남부와 동부해역은 8월에 최대를 보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총 종수는 362종으로써 규조류(Bacillariophyta) 181종, 와편모조류(Dinophyta) 147종, 그리고 기타 식물편모조류(phytoflagellates) 34종으로 구성되었다. 20%이상의 현존량 점유율 차지한 우점종을 계절별로 보면, 춘계(3월)와 추계(10월)에 Paralia sulcata와 Skeletonema costatum 두 종이었으며, 하계(8월)에는 Chaetoceros 속 6종류, 그리고 동계(12월)에는 Chaetoceros 속 2종류와 Thalassionema frauenfeldii가 우점하여, 각 우점종의 계절적 분포가 뚜렷하였다. 해역별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를 보면, 북부와 서부해역의 현존량 월변화가 비슷한 경향성을 보였으며, 남부와 동부해역이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이상의 종조성과 우점종의 천이는 이전 조사와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변화는 수온과 염분, 그리고 해류 등의 물리적 환경 변화에 기인된다고 생각된다.

한국해역의 식물플랭크톤의 연구. III. 1967년 5월 북동부 한국해협 표층수의 식물플랭크톤의 양과 분포 (Phytoplankton Studies in Korean Waters. III. Surface Phytoplankton Survey of the North-Eastern Korea Strait in May of 1967)

  • 최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8
    • /
    • 1969
  • 1967년 5월에 교통부 수로국 조사선 제1수로호(240톤)는 C.S.K.조사의 일환으로서 주로 해역의 단기간동안의 각종 해양요인의 변동상황을 관찰하는 목적으로 한국해협과 동해가 연속되는 207, 208정선을 동일코스로 이차에 걸쳐 횡단관측을 하였으며, 이때에 얻은 표층의 식물성 플랭크톤을 조사하는 기회를 갖었었다. 제1차 관측은 5월초순에, 제2차 관측은 5월하순에 실시되었으며, 두 관측의 시일차는 19일간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단기간의 시일간에도 나타난 식물성 플랭크톤의 종류상과 분포상에 적지않은 변화가 있었으며, 이것은 이 해역의 해양사항의 특수성을 나타내는 하나의 자료로서 흥미가 있었기에 여기에 그 결과를 보고한다.

  • PDF

퇴적물 제거가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diment Removal on Water Quality,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

  • 윤석제;김헌년;김용진;이은정;변명섭;이병천;이재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01-307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diment removal on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development by setting up mesocosms at Uiam Lake, South Korea, and analyzing the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between June and October 2015. The comparison between testbed without sediment removal (TB-1) and testbed after sediment removal (TB-2) gave similar values for water temperature, pH, dissolved oxygen (DO), and electrical conductivity. Nevertheless, the average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the two testbeds were $139{\mu}S/cm$ and $135{\mu}S/cm$, which were lower than the value obtained from the external control point (TB-con; $154{\mu}S/cm$). The small difference in total phosphorus (TP) and total nitrogen (TN) concentrations between the two testbeds implied that sediment removal did not greatly reduce nutrients; however, the phytoplankton cell count had decreased by approximately 37 % in TB-2 (average 1,663 cells/mL) compared to TB-1 (average 2,625 cells/mL). Compared to TB-con, the phosphorus and nitrogen concentrations of the two testbeds had decreased by 39 % and 30 %, respectively, whereas the phytoplankton abundance had decreased by up to 73 %, perhaps because of the blocked inflow of nutrients and the stabilized body of water caus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mesocosm. The concentration of geosmin was lower in testbeds than in the external point, because installation of the structures had reduced the cyanobacteria biom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