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plankton Biomass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2초

낙동강 하류지역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군집 변화: 2002년~2012년 (Changes of Dominant Phytoplankton Community in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From 2002 to 2012)

  • 손희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9-293
    • /
    • 2013
  • 2002년부터 2012년까지 낙동강 하류 물금지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군집비율 변화를 조사한 결과, 식물플랑크톤 생체량(클로로필-a 농도)은 점진적인 감소 추세였던 반면, 우점종의 개체수는 증가 추세를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 종별로 우점종의 연도별 개체수 비율변화에서 규조류는 감소 추세를 보인 반면, 남조류는 증가 추세를 나타내었다. 또한, 우점기간의 경우 매년 우점기간의 75% 이상을 규조류가 차지하였다. 연중 식물플랑크톤 비율변화에서 규조류는 11월에서 5월까지 매우 높은 우점비율을 보였고, 6월부터 9월까지도 우점일수의 56%~74%를 차지하여 연중 규조류가 300일 정도 우점하였다. 남조류는 6월부터 9월까지 개체수 및 우점기간의 68%~94% 및 26%~36%를 차지하였으며, 녹조류는 4월부터 9월까지 낮은 우점률을 나타내었다. 규조류와 남조류 우점종들의 연중 천이패턴은 규조류의 경우 12월~5월은 Stephanodiscus spp., 5월~10월은 Aulacoseira spp.와 Fragilaria spp.가 대부분 우점하였으며, 남조류의 경우 5월~11월에 Microcystis spp.가 대부분을 우점하였다. 또한, 녹조류는 4월~9월에 Actinastrum spp., Pediastrum spp., Micractinium spp. 및 Pandorina spp.가 우점하였다.

낙동강 보 구간의 플랑크톤 군집조성과 환경요인에 의한 영향 분석 (Plankton Community in Weir Section of the Nakdong River and Its Relation with Selected Environmental Factors)

  • 서동일;남귀숙;이상협;이의행;김미리내;최종윤;김정희;장광현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362-369
    • /
    • 2013
  • 본 연구는 4대강 사업으로 건설된 낙동강 보 구간의 플랑크톤 군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플랑크톤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에 대한 기초적인 평가를 위해 2013년 9월과 10월에 걸쳐 낙동강 8개 보 구간에서 식물 및 동물플랑크톤 종조성과 생체량을 조사하고 수온, 유량, 총인, 총질소,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등의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CCA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조사기간 중 식물플랑크톤 생체량과 종조성은 유량, 총인 및 총질소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플랑크톤의 경우 유량이 낮았던 9월에는 지점별 종조성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유량이 높았던 10월에는 모든 지점에서 윤충류가 우점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동물플랑크톤 군집조성은 식물플랑크톤 생체량(클로로필 농도)과 COD 및 총질소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easonal changes in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f Incheon

  • Youn, Seok-Hyun;Choi, Joong-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8권3호
    • /
    • pp.111-121
    • /
    • 2003
  • The seasonal success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area off Incheon, Kyeonggi Bay, was investigated with the samples collected at intervals of 10 to 15 days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00. Total abundance of zooplankton communities showed remarkable seasonal variations, ranged from 1,100 to $120,400{\;}indiv./\textrm{m}^3$, and annual mean abundance was $22,000{\;}indiv./\textrm{m}^3$. There were several times of the total abundance during a year, and the timing ofhigh abundances were about the same in 1999 and 2000. During the study period except summer, the abundance of dinoflagellate Noctiluca scintillans and copepod Acartia hongi contributed to the most part of total zooplankton. Whereas, during summer, smaller copepod Oithona davisae and Paracalanus crassirostris were dominant species.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waters off Incheon showed typ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estuarine communities, which were dominated by a few species, and abrupt seasonal variations in abundance. We suggest that the seasonal succession and abundance variations of zooplankton communities were caused by the seasonal variations in water temperature and by the seasonally varying phytoplankton biomass in the study area.

Inhibition of Aquatic Vascular Plants on Phytoplankton Growth II. Algal Growth Experiments with Water and Plant Extracts from Submerged Macrophytes

  • Nam, Sung-Jin;Park, Sang-Kyu
    • 생태와환경
    • /
    • 제40권4호
    • /
    • pp.520-526
    • /
    • 2007
  • To select submerged macrophytes to suppress growth of Microcystis aeruginosa through releasing allelochemicals, we conducted growth experiments with water from patches of submerged macrophytes and with aqueous extracts of those submerged macrophytes. In the first experiment, growth rates of M. aeruginosa decreased as biomass of Myriophyllum spicatum and Hydrilla verticillata increased. In the second experiment, M. aeruginosa showed approximately 50% growth reduction with extracts from M. spicatum and 24% reduction with extracts from Ottelia alismoides. Both M. aeruginosa growth experiments with water and plant extracts suggest that M. spicatum would be the best candidate to reduce M. aeruginosa growth.

고주파 다주파 음향시스템을 이용한 동물성 플랑크톤의 크기별 생물량 추정 (Zooplankton Biomass and Size Estimation Using a Multi-frequency Acoustic System)

  • 황보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4-60
    • /
    • 2008
  • High- and multi-frequency acoustic systems can measure a zooplankton patch successively and estimate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zooplankton according to size using a multi-frequency inversion (MFI) method. This study measured zooplankton distribution to a depth of 150m using a multi-frequency acoustic system (TAPS-6), installed on a CTD system with a fluorometer and analyzed it using the MFI method. Simultaneously, zooplankton samples were collected by north pacific standard (NORPAC) net to confirm the species compos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bined method is valuable for estimating the zooplankton profile in detail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profiles.

금강하구언 담수방류와 춘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단주기 변동 (Semiweekly variation of Spring Phytoplankton Community in Relation to the Freshwater Discharges from Keum River Estuarine Weir, Korea)

  • 이원호;명금옥;유영두;김영길;정해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0권3호
    • /
    • pp.154-163
    • /
    • 2005
  • 1988년에 완공하여 1994년 8월부터 수문을 작동한 금강 하구언으로 인해 금강 하구역 환경은 크게 변하였다. 수문을 통해 담수를 불규칙하게 방류하면, 극심한 염분 저하와 함께 수중 무기영양염 농도가 급변한다. 이와 같이 환경 스트레스가 큰 금강 하구 내측에서 춘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단주기 변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2004년 2월 중순부터 4개월 동안 2개의 고정점에서 약 2일 간격으로 고조 때에 현장조사와 시료채취를 실시하였다. 하구언에 근접한 정점에서는 정점2(도선장 부근 정점)에 비해 염분 측정치의 변동계수가 2배에 이르러, 정점1에서 시간에 따른 염분의 변동이 극심함을 반증하였다. 용존 무기영양염 가운데, 질소계 영양염($NO_3^-,\;NO_2^-$$NH_4^+$)의 농도가 정점2에 비해 정점1에서 뚜렷이 높게 나타나, 수문 작동에 따라 그 농도가 부정기적으로 급변할 수 있는 환경임을 확인하였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구성하는 주요 분류군은 규조류로서 출현종의 수나 생물량 모두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이 가운데 단독성 중심 규조 Cyolotella meneghiniana와 사슬형 중심 규조 Skeletonema costatum은 조사기간 전반부에 차례대로 5-6주 동안씩(천이 구간 I 및 II)절대 우점하여, 수온 $10^{\circ}C$의 시점을 중심으로 뚜렷한 천이현상을 보여 주었다. 천이구간 III(4월 중순-5월 말)은 대량 방류된 담수와 함께 하구역에 유입된 담수 녹조종인 남세균 Aphanizomenon flos-aquae와 Phormidium sp. 등이 매우 높은 구성비를 나타낸 시기이다. 이 기간에는 극저염-고염의 극심한 변동으로 인하여 낮은 수준의 생물량을 기록한 규조 Cyclotella meneghiniana와 Skeletonema costatum 외에는 담수종들이 전적으로 우점하였다. 천이구간 IV에서는 수온이 $18^{\circ}C$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규조 Guinardia delicatuia가 단일 시료 내 최고 우점도 $75^{\circ}C$를 기록하며 약 일주일간 우점하였다. 즉, 조사기간 중에는 수온 $18^{\circ}C$ 미만의 극심한 염분 변동기(천이구간 III)를 제외한, 전 기간 중에 규조가 절대 우점하며 춘계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천이를 주도하였다. 천이구간 III에서도, 만약 담수방류의 규모와 빈도를 적절히 조절하였더라면, 주요 우점종이 담수 남세균이 아닌 하구성 규조로 바뀔 수도 있었을 것이다. 본 연구에 적용한 격일간 현장조사는 불규칙한 담수방류가 불가피한 반일주조 하의 하구역 환경에서 식물플랑크톤 종의 천이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최소한의 필요조건으로 판단된다.

부산 영도 내만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주간 변동 특성 (Weekly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Inner Bay of Yeong-do, Busan)

  • 양원석;최동한;원종석;김지훈;현명진;이하은;이연정;노재훈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6권4호
    • /
    • pp.356-368
    • /
    • 2021
  • 연안역에서 나타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연중 변동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 년여간 부산 영도 내만의 고정점에서 생물량 및 다양성을 매주 조사하였다. 연구 해역은 엽록소 a가 0.43~7.58 mg m-3 범위를 나타내어 중영양에서 부영양 특성을 나타내었다. 조사 기간 동안 엽록소 a 중 3 ㎛ 이상 크기의 식물플랑크톤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80% 내외를 차지하여 높았다. 이들 3 ㎛ 이상 크기의 식물플랑크톤에서는 규조류(Bacillariophyta)가 봄과 여름에 가장 우점하였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은편모조강(Cryptophyceae)이 우점하였다. 반면, 3 ㎛ 이하 크기의 초미소식물플랑크톤에서는 마미엘라강(Mamiellophyceae)이 대부분의 시기에 가장 우점하였으며, 은편모조강(Cryptophyceae)이 연중 평균(+표준편차) 17.7 ± 17.6%로 비교적 높았으나 계절적 변동이 컸다. 와편모조강(Dinophyceae)은 드물지만 60.4%까지 매우 높게 우점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 13개월 간 일주일 간격의 정기 관측을 통해 육지에 인접한 천해 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이 짧은 시간 규모에서 변동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속적인 고정점 관측은 식물플랑크톤의 단·장기 변동 특성과 기후 및 환경 변화의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시아해의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시ㆍ공간적 분포특성과 기초생물량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특성 (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Nutrients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Variation of Phytoplankton Biomass in the Shiahae, South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 윤양호
    • 환경생물
    • /
    • 제18권1호
    • /
    • pp.77-93
    • /
    • 2000
  • 시아해의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계절변동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생물량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1995년 2월,4월,7월과 10월 4회에 걸쳐 계절별로 23개 관측점의 표층과 저층 해수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시아해는 2월에 최저수온, 8월에 최고 수온을 나타내나, 염분은 6, 7월에 높고 겨울에 낮은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연중 빠른 유속과 조석혼합 등으로 수층 간 혼합된 양상과 매우 낮은 투명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영양염류 중 질소는 여름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내며, 인은 연중 0.5$\mu\textrm{g}$ㆍat./l내외의 값을 보이고 있는 반면, 규소는 봄철 규조류 대발생시를 제외하고는 연중 높은 농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Chl-a는 연중 2$\mu\textrm{g}$/l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규조류의 대발생이 보여지는 봄철에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다만, 연중 높은 생물량은 생물의 성장과 활성에 의하기보다는 조석혼합 등에 의해 해저표층퇴적물에 침강된 표영생태계 중의 생물량 상당부분이 수중으로 재 부유한 결과로 보여져, 높은 부유물질 등 제한된 광 조건으로 시아해 식물플랑크톤 생물활성은 그다지 높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기초생산을 제한하는 영양염은 시아해 북쪽해역에서는 인에 의해, 남쪽해역에서는 질소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겨울철은 인의 존재량에 비해 질소가 과잉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규소는 봄철 규조의 대발생시를 제외하고는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앓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양염류 중 규소는 담수 등 복잡한 주변 수괴의 유입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고, 질소는 여름에는 담수 유입에 의존하나 시기에 따라서는 저층 해수의 공급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은 담수유입에 의한 부분보다 저층 해수 및 주변 수괴로부터 유입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아해의 식물플랑크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시간과 공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여름철 극심한 질소의 부족이나 봄철 규조 대발생시의 규산염 고갈 등을 제외하면 영양염류보다도 높은 부유물질, 즉 광량 등 물리학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일본 기수호(Lake Obuchi)에서 생태계 모델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cosystem Model in Brackish Lake Obuchi, Japan)

  • Kondo, Kunio;Inaba, Jiro;Hosoda, Masahiro;Kutsukake, Hiroshi;Seike, Yasushi;Nakata, Kisaburo;Shinji, Ueda
    • 생태와환경
    • /
    • 제37권4호통권109호
    • /
    • pp.448-454
    • /
    • 2004
  • 반폐쇄성 기수호인 Obuchi호에서 수질과 생물학적 mass balance를 평가하기 위해 생태계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2001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관찰된 조석의 차이, 강으로부터의 유입수 및 기상 변수들에 대한 시계열 자료들을 hydrodynamic 모델의 변수들로 접목시켰다. 수질과 생물생체량 balance는 생태계 모델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모의된 수질 값은 관찰 값과 일치하였다. 호수에서 모델에 의해 계산된 POC와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의 carbon 함량은 각각 7,200 kg, 1,500 kg, 22 kg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관찰 값 POC (5,900 kg), 식물플랑크톤 (3,800 kg)밍, 동물플랑크톤 (150 kg)과 어느 정도 비교할 수 있었다.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이용한 통영 연질조하대 대형저서동물의 유기물 기원 추적 (The Origin of Organic Matters Utilized by Soft Bottom Macrozoobenthos in Tongyeong)

  • 윤성규;윤병선;백상규;강창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spc1호
    • /
    • pp.189-197
    • /
    • 2006
  • To elucidate the organic matter sources in soft-bottom macrozoobenthos at Tongyeong, Korea, macrozoobenthos and their potential food sources were sampled in May 2004, and their C and N stable isotope compositions were analyzed. In total we collected 128 macrozoobenthic species, which ranged from 465 to 3,775 individuals/$m^2$(average 2,108 ind.$m^2$) in density and from 47.8 to 539.9 gwwt/$m^2$(average 366.0 gwwt/$m^2$) in biomass. Cluster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es indicated that the macrozoobenthic community was divided into two distinct groups. Coastal inner stations, where commercial fish cages were established, were dominated by Amphioplus ancistrotus, Scoletoma longifoila and Tharyx sp., whereas open sea stations were dominated by Chaetozone spinosa, Scoletoma longifolia and Capitella capitata. ${\delta}^{13}C$ values of sedimentary organic matter showed a distinct gradient in the range of -18.4 to $-15.2\%_{\circ}$, with a declining trend from the coastal inner stations to open sea stations. This probably reflects the settling rate of organic wastes such as feces and pellets from fish cages near the coastal inner stations. The macrozoobenthos showed a broad ${\delta}^{13}C$ range from -19.5 to $-8.9\%_{\circ}$ at the coastal inner stations, and a relatively narrow range from -21.3 to $-12.9\%_{\circ}$ at the open sea stations. ${\delta}^{13}C$ values of macrozoobenthos paralleled those of sedimentary organic matter, Our isotope results suggested that macrozoobenthos near the coastal inner stations used organic wastes derived from fish cages along with phytoplankton, whereas the macrozoobenthos near the open sea stations used organic wasters derived mainly from phytoplank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