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phthora blight (Phytophthora capsici)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9초

Baseline Sensitivity to Mandipropamid Among Isolates of Phytophthora capsici Causing Phytophthora Blight on Pepper

  • Jang, Ho-Sun;Lee, Soo-Min;Kim, Sun-Bo;Kim, Joo-Hyung;Knight, Susan;Park, Kwee-Doo;McKenzie, Duncan;Kim, Heung-Ta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317-321
    • /
    • 2009
  • Sensitivity to the new carboxylic acid amide fungicide, mandipropamid, of Phytophthora capsici causing pepper Phytophthora blight was determined on 187 isolates collected in Korea over 3 years, from 2005 to 2007. All isolates were sensitive to mandipropamid, with $EC_{30}$ values for growth of mycelia ranging from 0.001 to $0.037\;{\mu}g/ml$. Among the isolates, 147 (79.0%) isolates were sensitive to metalaxyl, whereas others were resistant to this fungicide. Mandipropamid had the same effect on mycelium growth of both metalaxyl-sensitive and metalaxyl-resistant isolates, indicating an absence of cross-resistance between these two fungicides. Comparison of the sensitivities of P. capsici isolat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nsitivity to mandipropamid and dimethomorph ($r^2$=0.8533).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no evidence for development of resistance to mandipropamid in this population of P. capsici isolates collected in Korea.

Phytophthora capsici의 유전적 특성 분석을 위한 Repetitive DNA Probe의 개발 (Development of Repetitive DNA Probes for Genetic Analysis of Phytophthora capsici)

  • 송정영;김홍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6-72
    • /
    • 2002
  • Phytophthora capsici 집단의 유전적 특성 분석용 DNA marker를 선발하고자 HindIII로 처리된 P. capsici 95CY3119 균주의 genomic DNA library를 임의로 cloning 시킨 후 southern blot 분석을 실시하여 선발된 clone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Probe로 사용하기 위해 선발된 clone 내에 삽입된 DNA 단편들은 HindIII로 처리된 P. capsici 95CY3119의 genomic DNA와 특이적으로 강하게 반응했다. 조사된 probe 중 PC9은 HindIII로 처리된 국내 P. capsici 균주들의 genomic DNA와 Southern 분석시 많은 밴드를 형성하였으며, 분리포장 단위별 균주들 간에는 물론 동일 포장 분리균주들 간에도 그 차이를 나타냈다. 그 밴드 양상을 기초로 집괴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균주의 유전적 다양성이 잘 나타났다. Prove PC22는 다른 Phytophthora속과 Pythium속 균주들의 genomic DNA들과의 Southern hybridization에서는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특이적으로 P. capsici 균주들과는 다수의 밴드를 형성하였다. 이들 P. capsici 종특이적 DNA probe들은 추후 국내 및 전세계에 분포하는 P. capsici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및 종동정에 유용한 marker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추 역병균의 접종원에 따른 역병 저항성의 유전 양식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Phytophthora capsici by Inoculums in Korean Hot Pepper)

  • 소재우;한경숙;이성찬;이중섭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17-323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 고추 주산지의 P. capsici의 균주에 대한 병원성과 균주별 역병 저항성 유전 양식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병성 재료 '#308'과 역병 저항성 재료 'CM334' 및 이들의 $F_1$, $F_2$ 그리고 'Kataguma'(Sakata Korea) 고추 총 5종의 공시 재료에 이천, 음성, 부안, 임실, 영양 지역에서 수집한 P. capsici 각각의 균주와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분양받은 PA-159(KACC No. 40482)를 포함하여 총 6종의 고추 P. capsici 균주를 사용하여 접종하였다. 접종 농도는 $1{\times}10^5spores/ml$로 관주 접종하였고 이들의 기내 특성, 이병률, $F_2$ 후대 집단의 역병저항성 분리 기대비를 분석하였다. 이병성 재료 '#308'과 저항성 'CM334', $F_1$의 비분리세대는 균주별 군내 비교에서는 각각 고추 역병의 발병도는 4.94-5.00, 1.00-1.07, 1.01-1.08을 보여 P. capsici 균주별 군내 비교에서 공시재료간 역병 저항성 차이는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 또한 $F_2$ 분리세대의 역병 발병도의 경향은 1.79-2.31을 보여 P. capsici 군내 비교의 차이가 없고 저항성과 이병성 재료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6종의 P. capsici 균주 모두 역병 저항성 검정을 위한 균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F_2$ 분리세대의 균주별 군간 비교에서 PA-159 균주를 중심으로 이천 균주, 부안 균주, 임실 균주가 포함된 집단과 이보다 높은 병원성을 지닌 영양 균주와 음성 균주로 구분되었다. 각 균주별 $F_2$ 세대의 역병 저항성에 대한 분리 기대비를 분석하였는데, PA-159 균주는 3:1 또는 9:3:3:1의 분리비를 보여 1-2개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음성 균주와 영양 균주는 11:5, 이천 균주는 12:3:1의 분리비를 보여 유전자간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io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and Anthracnose in Pepper by Sequentially Selected Antagonistic Rhizobacteria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 Sang, Mee Kyung;Shrestha, Anupama;Kim, Du-Yeon;Park, Kyungseok;Pak, Chun Ho;Kim, Ki De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2호
    • /
    • pp.154-167
    • /
    • 2013
  • We previously developed a sequential screening procedure to select antagonistic bacterial strains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in pepper plants. In this study, we used a modified screening procedure to select effective biocontrol strains against P. capsici; we evaluated the effect of selected strains on Phytophthora blight and anthracnose occurrence and fruit yield in pepper plants under field and plastic house conditions from 2007 to 2009. We selected four potential biocontrol strains (Pseudomonas otitidis YJR27, P. putida YJR92, Tsukamurella tyrosinosolvens YJR102, and Novosphingobium capsulatum YJR107) among 239 bacterial strains. In the 3-year field tests, all the selected strains significantly (P < 0.05) reduced Phytophthora blight without influencing rhizosphere microbial populations; they showed similar or better levels of disease suppressions than in metalaxyl treatment in the 2007 and 2009 tests, but not in the 2008 test. In the 2-year plastic house tests, all the selected strains significantly (P < 0.05) reduced anthracnose incidence in at least one of the test years, but their biocontrol activities were variable. In addition, strains YJR27, YJR92, and YJR102, in certain harvests, increased pepper fruit numbers in field tests and red fruit weights in plastic house test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creening procedure is rapid and reliable for the selection of potential biocontrol strains against P. capsici in pepper plants. In addition, these selected strains exhibited biocontrol activities against anthracnose, and some of the strains showed plant growth-promotion activities on pepper fruit.

Comparison of Microbial Fungicides in Antagonistic Activities Related to the Biological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in Chili Pepper Caused by Phytophthora capsici

  • Kim, Sang-Gyu;Jang, Ye-Lim;Kim, Hye-Young;Koh, Young-Jin;Kim, Young-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340-345
    • /
    • 2010
  • Two similar microbial fungicides (termed as MA and MB) developed in a Korean biopesticide company were analyzed and compared each other in their biocontrol activities against the phytophthora blight of chili pepper caused by Phytophthora capsici. MA and MB contained the microbe Paenibacillus polymyxa and Bacillus subtilis, respectively, with concentrations over those posted on the microbial products. In comparison of the isolated microbes (termed as MAP from MA and MBB from MB) in the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P. capsici was effective, prominently against zoospore germination, while MBB only significantly inhibited the mycelia growth of the pathogen. Some effectiveness of MAP and MBB was noted in the inhibition of zoosporangium formation and zoospore release from zoosporangia; however, no such large difference between MAP and MBB was noted. In a pot experiment, MA reduced the severity of the phytophthora blight more than MB, suggesting that the disease control efficacy would be more attributable to the inhibition of zoospore germination than mycelia growth of P. capsici.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similar microbes MA and MB targeting different points in the life cycle of the pathogen differ in the disease control efficacies. Therefore, to develop microbial fungicides it is required to examine the targeting points in the pathogen's life cycle as well as the action mode of antagonistic microorganisms.

역병과 세균성점무늬병에 복합저항성인 핵유전형 웅성불임성 고추 계통 육성을 위한 교배의 $F_3-F_4$세대 선발 (Selection in $F_3$ and $F_4$ Generations of a Cross for Breeding Genic Male Sterile Pepper Lines Resistant to Phytophthora Blight and Bacterial Spot)

  • 박동근;김병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8권
    • /
    • pp.17-23
    • /
    • 2010
  • 역병(Phytophthora capsici)과 세균성점무늬병(Xanthomonas euvesicatoria)에 복합저항성인 핵유전형 웅성불임계(Genic male sterile line, GMS)를 육성하기 위하여 역병 저항성 핵유전형 웅성불임계에 역병-세균성점무늬병 복합저항성 계통을 교배하여 작성한 조합의 $F_3$$F_4$ 세대에 대하여 두 가지 병에 대한 저항성 선발을 실시하였다. 역병 저항성은 잘 알려져 있는 KC294(CM334)와 KC263(AC2258)에서 도입하고, 세균성점무늬병 저항성은 KC47(PI24467)에서 도입되었다. 역병에 고도의 저항성을 지닌 GMS 계통이 얻어졌으며, 이들은 세균성점무늬병에도 양적으로 저항성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고추 역병균(疫病菌)(병원균: Phytophthora capsici)의 생물학적(生物學的) 방제(防除);I. 고추 역병(疫病) 길항균(拮抗菌)의 선발(選拔) (Biological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of Red-pepper Caused by Phytophthora capsici;I. Selection of a Bacterial Antagonist against Photophthora capsici)

  • 장윤희;장상문;이동훈;최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9-295
    • /
    • 1996
  • 고추 역병균(疫病菌)인 Phytophthora capsici의 방제(防除)를 위한 생물농약(生物農藥)을 개발(開發)하기 위하여 고추재배지토양(栽培地土壤)에서 균원시료(菌源試料)를 채취(採取)하여 우수(優秀)한 항균활성(抗菌活性)을 가지는 물질(物質)을 생산(生産)하는 균주(菌株)를 순수분리(純粹分離)하고 동정(同定)하였다. 대치배양(對峙培養)에서 A-183균주(菌株)가 A-35와 A-67보다 P. capsici의 생육을 크게 저해(沮害)하였으며 배양액(培養液)을 membrane여과 및 열처리(熱處理)($120^{\circ}C$, 15min.)하여도 높은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A-67균주(菌株)는 고추종자(種子)의 발아(發芽)를 저해(沮害)하였으나 A-183과 A-45균주(菌株)는 저해(沮害)하지 않았다. A-183균주(菌株)가 길항성(拮抗性) 및 항균물질(抗菌物質) 생산능(生産能)이 가장 우수(優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Pseudomonas sp.으로 동정(同定)되었다. 항균활성물질(抗菌活性物質)의 생산(生産)을 위한 최적(最適) 배지조성(培地組成)은 potato extract 1l, mannitol 2%, peptone 0.3%, pH 6.5이었다.

  • PDF

고추 시듦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Causal Agents of Red Pepper Wilting Symptoms)

  • 이경희;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28권3호
    • /
    • pp.143-151
    • /
    • 2022
  • 국내의 고추 포장에서 나타나는 시듦 증상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 동안 충북 괴산의 고추 재배 포장에서 시듦 증상을 보이는 고추의 발병도를 조사하였다. 조사한 연도에 따라서 시듦 증상에 대한 발병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조사하는 시기가 6월과 7월을 지나 8월이 되면서 발병도가 높게 상승하였다. 이 시기 동안 시듦 증상을 보이는 고추에서 Ralstonia solanacearum이 Phytophthora capsici보다 4배 높은 비율로 분리되었다. 충북 괴산과 경북 안동의 포장에서 2013년과 2014년의 2년 동안 채집한 시든 고추에서 병원균을 분리하여 보아도, 조사한 전체 포장 중의 20.3%에서 R. solanacearum이 분리되었으며, 역병균인 P. capsici는 3.8%의 포장에서만 분리되었다. 시듦 증상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던 해에는 평균기온이 높았으며, 고추 풋마름병 예찰 모델로 추정된 풋마름병의 초발생일도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역병 발생 위험 일수와 실제 시듦 증상 발생 빈도의 결과가 부합하지 않는 것은 재배 현장에서 역병 저항성 품종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결과를 통해서 역병 저항성 고추 품종이 재배 현장에 도입된 이후, 포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시듦 증상의 원인은 P. capsici에 의한 역병보다는 R. solanacearum에 의한 풋마름병이었다.

In Vitro Anti-Oomycete Activity and In Vivo Control Efficacy of Phenylacetic Acid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 Lee, Jung-Yeop;Kim, Hye-Sook;Kim, Ki-Deok;Hwang, Byung-Ko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177-183
    • /
    • 2004
  • Phenylacetic acid (PAA) was evaluated for in vitro anti-oomycete activity and in vivo control efficacy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Microscopic observation revealed that the high level of anti-oomycete activity of PAA (10 $\mu\textrm{g}$/ml) against P. capsici is mainly due to the lytic effect on zoospores. Zoospore lysis began in the presence of 5 u$\mu\textrm{g}$/ml of PAA and most of the zoospores were collapsed at 10 $\mu\textrm{g}$/ml. PAA show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zoospore germination and hyphal growth of P. capsici at the concentration of 50 $\mu\textrm{g}$/ml. In the glasshouse, the protective effect of PAA against Phytophthora blight was high on pepper plants when treated just before inoculation with P. capsici. In the artificially infested field, protection of pepper plants against the Phyto-phthora epidemic was achieved at a considerable level by PAA treatment.

Analysis of genes expressed during pepper-Phytophthora capsici interaction

  • Park, Woobong;Jeon, Myoung-Seung;Kim, Yean-Hee;Park, Eun-Woo;Park, Doil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86-86
    • /
    • 2003
  • Phytophthora capsici is a pathogen on several economically important crops including pepper. In pepper growing areas in Korea, Phytophthora blight caused by p. capsici has been considered as the most serious problem in pepper production. The Oomycete attacks the roots, stems, leaves and fruits of the plant.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in the disease development, the genes expressed doting pepper p. capsici interaction were explored by analyzing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A complementary DNA (cDNA) library was constructed from total RNA extracted from pepper leaves challenged with p. capsici for 3 days resulting in early stage of symptom development. The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single pass sequencing of over 4000 randomly selected cDNA clones with contig assembly, unique gene extraction, sequence comparison, and functional categorizing will be presented with an emphasis on the genes involved in plant defense and pathogenicity during disease development of the pepper Phytophthora bligh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