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lacca insulari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6초

섬자리공(Phytolacca insularis, 자리공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ew of Phytolacca insularis (Phytolaccaceae))

  • 채승희;소순구;한경숙;김무열;박상홍;이중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31-446
    • /
    • 2007
  • 섬자리공(Phytolacca insularis Nakai)의 분류학적 위치를 재검토하기 위해 외부형태와 종자 및 화분의 형태를 관찰하고 ITS 염기서열을 조사하였다. 섬자리공은 곧게 서는 줄기와 화서, 이생심피, 8개의 수술과 암술, 분홍색의 약을 가져 자리공과 유사성을 가졌으나, 합생심피와 l0개의 수술과 암술을 가진 미국자리공과는 뚜렷이 구별되었다. 섬자리공의 화분은 유공의 크기가 작고 유공의 수와 미세미립돌기의 수가 적어 자리공과 유사성을 보였으나, 미국자리공은 유공의 크기가 크고 그 수가 많았다. 섬자리공과 자리공의 종자무늬는 불규칙한 굴곡무늬로 서로 비슷했으나, 망상무늬를 갖는 미국자리공과 뚜렷이 구별되었다. ITS 염기서열은 섬자리공이 자리공과 완전히 같았으나, 미국자리공과는 뚜렷이 구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섬자리공을 별개의 종으로 취급하는 것보다는 자리공의 품종으로 격하하는 것이 타당함을 지지해 주었다.

울릉도의 섬자리공 분포와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Native Phytolacca insularis in Ulleung Island)

  • 안영희;이상현
    • 생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9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ative Phytolacca insularis in Ulleung Island for their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P. insularis, called as "Sum-Ja-Ri-Gong", is very rare plant which is only restricted in Ulleung Island. It is a plant out of 217 endangered plant specie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1996). The native sites were discovered several plants in the small communities at the area from 32m to 116m above the sea level in the seashore of Ulleung Island. The average vegetation height of herb layer in the native sites was 0.77m and average coverage percentage of vegetation layer was 75.56%. Average 11.89 species were emerged on a plot. P. insularis has a tendency to emerged with Galium spurium var. echinospermon and Artemisia lavandulaefolia community.

Effects of elevated CO2 concentration and increased temperature on leaf related-physiological responses of Phytolacca insularis (native species) and Phytolacca americana (invasive species)

  • Kim, Hae-Ran;You, Young-H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3호
    • /
    • pp.195-204
    • /
    • 2010
  • In the study, the effects of elevated $CO_2$ and temperature on the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chlorophyll content, nitrogen content, carbon content, and C/N ratio of Phytolacca insularis and Phytolacca americana were examined under control (ambient $CO_2+$ ambient temperature) and treatment (elevated $CO_2+$ elevated temperature) for 2 years (2008 and 2009). The photosynthetic rate, transpiration rate and water use efficiency of two plant species were higher under the treatment than the under the control. The stomatal conductance of P. insularis was higher under the control, but that of P. americana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CO_2$ and temperature under the treatment. The chlorophyll contents of two species were decreased about 72.5% and 20%, respectively, by elevated $CO_2$ and temperature. The nitrogen contents of two species were not significantly altered by increase in $CO_2$ and temperature. The carbon contents of the two species were higher under the treatment than under the control. The C/N ratio of P. insularis was higher under the treatment but that of P. americana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CO_2$ and temperatur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P. insularis native plants might be more sensitively influenced by a $CO_2$-mediated global warming situation than those of the P. americana invasive plants.

상륙성분(商陸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II) -자리공, 양자리공, 섬자리공의 성분비교(成分比較)- (Constituents of Phytolacca Species (II) -Comparative Examination on Constituents of the Roots of Phytolacca americana, P. esculenta and P. insularis-)

  • 우원식;지형준;강삼식
    • 생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1-54
    • /
    • 1976
  • Steroid and terpenoid constituents of 3 species of genus Phytolacca have been examined by TLC. All contained ${\alpha}$-spinasterol, its glucoside and acylated glucoside, jaligonic acid and its methylester, esculentic acid and its methylester, and 10 phytolaccosides. Jaligonic acid was the major free triterpenoid and phytolaccoside E was the major saponin in all plants. Bayogenin, oleanolic acid, spergulagenic acid, acinosolic acid, hederogenin, and their derivatives contained in other Phytolacca spp. were not found in these plants.

  • PDF

$CO_2$농도와 온도증가에 따른 한국특산식물 섬자리공과 귀화식물 미국자리공의 발아, 식물계절 및 잎의 형태학적 반응연구 (Effects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Response of Seed Germination, Phenology and Leaf Morphology of Phytolacca insularis(Endemic species) and Phytolacca americana(Alien species))

  • 김해란;유영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2-68
    • /
    • 2010
  • 지구온난화 조건 하에 한국특산식물 섬자리공과 귀화식물 미국자리공의 발아, 식물계절 그리고 잎의 형태학적 변화 를 알아보기 위해 $CO_2$농도(+380~420ppm)와 온도($+3.0^{\circ}C$)를 증가시킨 $CO_2$+온도상승구(EC-ET)와 대조구(AC-AT)에서 실험하였다. 두 종의 발아율은 $CO_2$+온도상승구에서 높았으며 발아개시일 역시 빨랐다. 그리고 섬자리공은 미국자리공에 비해 낮은 발아율 보였다. 섬자리공은 2년 통안 영양생장만 일어난 반면 미국자리공은 2008년과 2009년 한 해에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을 모두 하였다. 두 종의 식물계절은 $CO_2$농도와 온도가 증가할수록 개업, 꽃대형성, 개화, 열매발달과 성숙시기가 빨라졌으며 잎의 노화 시기는 늦춰졌다. 섬자리공의 잎몸 길이는 $CO_2$농도와 온도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반면 미국자리공은 $CO_2$+온도상승구에서 높았다. 잎몸 폭 길이는 두 종 모두 $CO_2$+온도상승구에서 높았다. 두 종의 총 잎 수는 구배별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비엽면적은 섬자리공이 대조구에서 높은 반면 미국자리 $CO_2$+온도상승구에서 높았다. 이상으로 볼 때, 지구온난화가 되면 미국자리공이 섬자리꽁보다 $CO_2$농도와 증가에 대하여 더 민감하게 반응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기도 특정도서와 유인도서 식물상 비교 (The Comparison of Flora between Islands Designated for Conservation and Inhabited Islands in Gyeonggi-do)

  • 김경훈;유은화;김갑식;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29-29
    • /
    • 2023
  • 특정도서(特定島嶼)의 다양한 자연생태계, 지형 또는 지질 등을 비롯한 자연환경의 보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함으로써 현재와 미래의 국민 모두가 깨끗한 자연환경 속에서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도서생태계법)' 제6조 및 특정도서 보전기본계획(2015~2024)에 의거하여 한강유역환경청에서는 33개(강화군 8, 옹진군 23, 안산시 1, 화성시 1) 도서를 특정도서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출입과 개발행위가 제한되어 있는 특정도서의 식물상 조사를 도서생태계법 제6조에 의거하여 수행하였고, 인근 유인도서와 식물상을 비교 기록하였다. 조사된 유인도서는 덕적도, 영흥도, 선재도, 측도, 문갑도, 소야도의 6개 도서이고, 무인도서는 특정도서로 지정된 33개 도서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무인도서에서는 90과 225속, 294종, 3아종, 22변종, 1품종, 총 320분류군이 기록되었다. 이 중 국 가적색목록은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모새달(Phacelurus latifolius) 3분류군과 한반도 고유종은 새끼노루귀(Hepatica insularis) 등 3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메귀리(Avena fatua) 등 외래식물 24분류군과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등 생태계교란식물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대조군인 유인도서에서는 116과 350속, 532종, 7아종, 37변종, 3품종, 총 579분류군이 기록되었다. 이 중 선재도에서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매화마름(Ranunculus trichophyllus var. kadzusensis)이 확인되었으며, 국가적색목록은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등 4분류군, 한반도 고유종은 할미밀 망(Clematis trichotoma) 등 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등 53분류군의 외래식물과 가시박(Sicyos angulatus) 등 6분류군의 생태계교란식물이 확인되었다.

  • PDF

제주도 범섬의 식물상 (The Flora of Beomseom Island, Jeju-do)

  • 김찬수;송관필;문명옥;송국만;김진;이은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85-301
    • /
    • 2005
  • 본 조사는 식물상을 밝힘으로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보존관리대책을 마련하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우리나라 최남단에 속하는 도서에 있어서 식물자원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관속식물은 65과 140속 162종 2변종으로 총 164분류군이었는데 그 중 양치식물은 6과 13속 15종, 나자식물은 1과 1속 1종, 피자식물에 있어서는 쌍자엽식물이 49과 97속 114종 1변종으로 115분류군, 단자엽식물은 10과 29속 32종 1변종으로 33분류군이 출현하여 계 59과 126속 146종 2변종으로 계 148종이었다. 미기록 종은 양치식물 중 점고사리, 쇠고비, 큰족제비고사리, 사다리고사리 등 4종, 단자엽식물 중 강아지풀, 줄, 송이고랭이, 꽃토란, 개구리밥, 부채마 등 6종, 쌍자엽식물 중 큰사방오리, 개모시풀, 애기싱아, 미국자리공, 갯장구채, 새머루, 누리장나무, 보리장나무. 진득찰 등 9종 총 16과 19속 19종이었다. 희귀식물로서는 국내 거문도와 제주도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박달목서가 자생하고 있으며, 바위연꽃의 자생지도 확인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은 총 20과 33속 34종 1변종으로 총 35분류군이었다.